[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

 1  [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1
 2  [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2
 3  [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3
 4  [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4
 5  [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5
 6  [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6
 7  [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7
 8  [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8
 9  [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9
 10  [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10
 11  [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11
 12  [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12
 13  [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13
 14  [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14
 15  [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15
 16  [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16
 17  [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17
 18  [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18
 19  [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19
 20  [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사관리] 방출관리에 대한 심층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Ⅱ 방출관리 2
1. 방출관리의 의의 2
2. 방출관리의 유형 3
3. 내부 방출관리 5
4. 외부 방출관리 7
5. 방출관리의 전개방향 12

Ⅲ 우리나라 방출관리 현황과 문제점 13
1. 우리나라 방출관리 현황 13
2. 우리나라 기업의 방출관리 문제점 15

Ⅳ 선진기업의 방출관리 17
1. 미국 17
2. 일본 20
3. 한·미·일 기업의 방출관리 비교 22

Ⅴ 방출관리의 기본 방향과 내용 23
1. 기본방향 24
2. 유형별 세부내용 24

Ⅵ 방출관리 주체의 과제 29
1. 개인(종업원) 29
2. 기업 30
3. 정부 32

Ⅶ 결론 33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만남 뒤의 헤어짐, 태어남 뒤의 죽음과 같이 기업도 고용과 방출의 흐름이 있기 마련이다. 그러나 삶의 진리는 자연스러운 것인 반면 퇴사의 문제는 극히 부자연스러운 것으로 부작용이 따를 수 밖에 없다. 어떻게 하면 ‘방출’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인가? 방출관리는 이로부터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제 인생에는 세 번의 전환점이 있었습니다. 첫 번째는 취직한 것, 두 번째는 결혼한 것, 세 번째는 외환위기 때입니다.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를 겪으며 인생의 목표와 계획이 모두 달라졌습니다.”
제일기획에서 광고기획을 맡고 있는 A차장(36). 그는 입사 6년 차였던 외환위기 당시의 회사 분위기를 잊지 못한다. 광고계에 불황이 몰아치면서 선배와 동료 가운데 20% 이상이 명예퇴직으로 직장을 떠나던 뒷모습….”

2002년 11월 21일 자 동아일보에 ‘IMF 5년 한국 어떻게 변했나-평생직장은 없다’ 라는 제목의 기사의 시작부분이다. 본문을 좀 더 들여다 보면,

“(전략)…▽잊혀진 전설 ‘평생직장’〓한국노동연구원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외환위기 직전인 1997년 10월 155만9000명이던 30대 그룹과 금융기관, 공기업의 직원 수는 2001년 10월 122만2000명으로 줄었다. 4년 만에 전체 직원의 21%가 감소한 것... (중략)… 대기업이 상시 구조조정체제를 갖추며 회사원들이 느끼는 ‘심리적 정년’은 크게 낮아져 ‘사십오세 정년’을 줄인 ‘사오정’이라는 말이 유행했다…(중략)… 외환위기 이전까지 찾아보기 힘들던 비(非)자발적 이직도 일상화됐다. 한국노동연구원 전병유(田炳裕) 연구위원의 연구에 따르면 외환위기 이전인 1995년 말부터 1년간 3% 수준이던 비(非)자발적 이직률은 2000년 말부터 1년간 31.1%로 10배 이상 뛰어올랐다. 해고로 인한 이직도 같은 기간 0.8%에서 16.1%로 껑충 뛰었다…”

위와 같이 1997년 외환위기 이후 현재까지 한국 사회의 구조조정 문제를 다룬 기사나 뉴스들을 심심치 않게 접할 수 있다. IMF를 전후로 비정년/비자발 퇴직의 급격한 증가는 개개인은 물론 한국사회 전체적으로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세계적인 추세로 받아들이지 않으면 안 되는 현실이라는 것을 또한 인정해야 한다.

경영학을 공부하는 입장에서 가해자(?)인 회사 쪽에서 바라보도록 하자. 외환위기 이전 ‘확보à유지à방출’로 이어지는 인사 관리의 로지스틱스 프로세스 중 방출 관리 분야는 정년에 의한 또는 자의에 의한 퇴직이 대부분이었으며, 이 범주를 벗어나는 ‘방출’은 한국인 정서상 터부시 되고 과소 평가 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 기업의 생존을 위한 노력에서 구조 조정 등 방출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지금이다. 이런 까닭에 우리 인사관리 연구 8조는 인사 방출 관리에 초점을 맞추어 심층분석을 해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강식(1997) 「한국기업 명예퇴직제도의 실태」, 한국인사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 1997

김규동(2001) 「 국내외 outplacement 성공사례」”인력조정과 전직지원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토론회”, 할표 자료, 한국노동연구원

김동헌(1998) 「 한국기업과 미국기업의 OPC 동향」「 인사관리」10월호

김동헌(2001) 「 성공적인 실직자 지원 모형」”인력조정과 전직지원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토론회”, 발표 자료, 한국노동연구원

노동부(2001) 「 전직지원프로그램 제도화 방안」 고용정책실 보험제도와 발표 자료

박우성, 이주희(2000) 「 2차구조조정과 노사관계」 한국노동연구원

삼성경제연구소(1998) 「 무한경쟁시대의 화이트칼라 인력 개발」

삼성경제연구소(1998) 「 IMF와 실업」

삼성경제연구소(1998) 「 구조조정이후 조직안정화 방안」 내부자료 미공개

안희탁(2005) 「 일본기업의 재고용제도」「 인사관리」5월호

차갑부(1999) 「 퇴직전후 교육프로그램 연계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교육한 연구」, 1999, vol 37, No 1, pp347~368

최강식,이규용(1999) 우리나라 기업의 고용조정 실태(III) 한국노동연구원

최종태, 현대인사관리론, 2005, 박영사

한국경영자총협회(1999), 「 한국기업의 퇴직관리 실태」, 정책조사자료 No 99-01

LG주간경제 “FLow중시 HR전개”, 2002

Abelson, R(2001), ‘Employees sue over ranking system’, New York Times Services March 19, 2001

Graig, L.A and Paganelli, Valerie(2000) Phased Retirement: Reshaping the End of Work 1999 survey Report, Watson Wyatt, Compensation and Benefits M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