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사] 미군정기의 교육원조

 1  [한국교육사] 미군정기의 교육원조-1
 2  [한국교육사] 미군정기의 교육원조-2
 3  [한국교육사] 미군정기의 교육원조-3
 4  [한국교육사] 미군정기의 교육원조-4
 5  [한국교육사] 미군정기의 교육원조-5
 6  [한국교육사] 미군정기의 교육원조-6
 7  [한국교육사] 미군정기의 교육원조-7
 8  [한국교육사] 미군정기의 교육원조-8
 9  [한국교육사] 미군정기의 교육원조-9
 10  [한국교육사] 미군정기의 교육원조-10
 11  [한국교육사] 미군정기의 교육원조-11
 12  [한국교육사] 미군정기의 교육원조-12
 13  [한국교육사] 미군정기의 교육원조-13
 14  [한국교육사] 미군정기의 교육원조-14
 15  [한국교육사] 미군정기의 교육원조-15
 16  [한국교육사] 미군정기의 교육원조-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교육사] 미군정기의 교육원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미군정기의 시대적 배경
(1) 국제관계
(2) 국내관계

2. 미군정기의 교육원조

3. 미군정기 교육원조의 긍정적 영향
(1) 사회•문화적 측면
(2) 경제적 측면
(3) 정치적 측면

4. 미군정기 교육원조의 부정적 영향
(1) 사회•문화적 측면
(2) 경제적 측면
(3) 정치적 측면

5. 교육원조의 재평가와 현대적 의의


Ⅲ.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한국은 해방 후 일제 식민지시대의 종결과 함께 분단시대의 개막이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해방 후 식민지적 잔재의 청산과 분단을 극복할 수 있는 주체적이고 민족적인 통합원리를 고안해야만 했던 한국의 시대적 과제와는 달리 미군정은 소련의 세력을 견제하고 한국경제의 종속화와 소련을 견제하기 위한 반공적인 이데올로기의 강화 등을 목적으로 견지하였다.
진덕규는 “미군정기는 정치적인 면에서 한국정치사회의 군력구조기반을 어느 정도 설정해 주었으며, 경제적인 면에서는 경제체제, 즉, 자본주의 시장경제제도를 수용할 수 있게 해주었고 사회적인 면에서는 이른바 의 무비판적 수용이라는 문화구조적 표류의 시발을 만들어 주었다.” 라고 미군정이 한국사회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미군정기는 비록 3년이라는 단기간이었지만 그 시기에 일어난 사회 제반 사항의 변화 양상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는데, 당시 시대적 상황은 종전과 동시에 주체적이고 민족적인 사회를 재건해나가기 위해 인적 자원의 생산기제인 교육 분야에서의 변화의 요구에 직면하고 있었다.
한국 교육사에 있어 개화기를 전통 교육과 근대 교육의 갈등기라고 본다면 일제시대는 전통교육과 근대 교육 그리고 군국주의 교육의 충돌기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모든 역사적 경험과 소위 민주주의 교육이 만나는 시기가 바로 1945년 해방으로부터 3년간 계속된 미군정기시기로 볼 수 있다. 미군정기 무상증여 형식으로 제공된 교육원조와 이를 통한 민주주의 교육이념과 제도의 도입으로 한국 사회는 교육기회의 확대와 평등의 이념을 실현하고자 하였고 능력주의에 입각하여 개인의 능력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를 획득할 수 있는 사회 계층 이동의 개방성의 확대라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반면에 민주교육과 민족교육의 통합적 발전보다는 냉전 이데올로기에 의한 편향적이고 관념적인 민주화를 지향하고 미국의 교육문화를 반성적 사고의 과정을 거치지 않은 채 수용하여 대미지향성 및 문화적 식민주의의 고착화를 초래하는 부정적인 측면도 유발하였다.
참고문헌
1. 오욱환·최정실, , 지식산업사, 1993.
2. 한국교육연구소, , 풀빛, 1993.
3. 김동구, , 敎育發展 9권 1호, 1990.
4. 김성학, ,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논문, 1998.
5. 유희원,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6.
6. 金明基, , 韓國精神文化硏究院 碩士學位 論文, 1987.
7. 김태미,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석사학위 논문, 1986.
8 . 이길상, , 교육과학사, 1999.
9. 이진이,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998.
10. 정영근 외, , 문음사, 1999
11. 심포지움/학술토론회(http://www.kistory.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