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

 1  [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1
 2  [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2
 3  [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3
 4  [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4
 5  [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5
 6  [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6
 7  [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7
 8  [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8
 9  [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9
 10  [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10
 11  [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11
 12  [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12
 13  [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13
 14  [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14
 15  [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15
 16  [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16
 17  [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17
 18  [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18
 19  [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19
 20  [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개론] 판소리 작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춘향가
1. 「춘향가」의 성격
2. 「춘향가」의 기원
3. 「춘향가」의 전승과정
4. 「춘향가」의 짜임
5. 「춘향가」의 이본
6. 「춘향가」의 근원 설화
7. 「춘향가」의 특징
8. 「춘향가」의 주제

Ⅱ. 심청가
1. 「심청가」의 성격
2. 「심청가」의 근원설화
3. 「심청가」의 전승과정
4. 「심청가」의 이본
5. 「심청가」의 특징
6. 「심청가」의 주제

Ⅲ. 흥보가
1. 「흥보가」의 성격
2. 「흥보가」의 기원
3. 「흥보가」의 전승과정
4. 흥보가의 특징
5. 「흥보가」의 전승계보
6. 「흥보가」의 인물분석
7.「흥보가」의 미적 표현 효과와 정서적 특질
8.「흥보가」의 주제
9. 「흥보가」창본의 음반

Ⅳ. 수궁가
1. 「수궁가」의 성격
2. 「수궁가」의 근원설화
3. 「수궁가」의 전개과정과 변모양상
4. 「수궁가」의 더늠과 유파별 전승 계보
5. 「수궁가」의 인물분석
6. 「수궁가」의 구조적 특징
7. 「수궁가」의 주제와 풍자성

Ⅴ. 적벽가
1. 「적벽가」의 성격
2. 「적벽가」의 줄거리
3. 「적벽가」의 기원과 변모 과정
4. 「적벽가」의 판소리 내용 구조
5. 「적벽가」의 창작 사설
6. 「적벽가」의 이본
7. 「적벽가」의 창자와 전승계보
8. 「적벽가」의 주제

Ⅵ. “실전판소리”- 창을 잃은 판소리
1. 무숙이타령
2. 배비장타령
3. 강릉매화타령
4. 옹고집타령
5. 장끼타령
6. 변강쇠가
7-1 가짜 신선타령
7-2 숙영낭자전

Ⅶ. 창작판소리
1. 창작판소리의 역사
2. 창작판소리의 작품

본문내용
Ⅰ. 춘향가
춘향과 이도령의 신분을 초월한 지고지순한 사랑과 여인의 정절을 강조하면서 한편으로는 탐관오리인 변학도를 등장시켜 지배계급의 횡포와 억압에 대한 서민들의 날카로운 비판의식을 담고 있다.

1. 「춘향가」의 성격

「춘향가」는 판소리 다섯 마당 가운데 가장 많이 불리고 가장 사랑을 많이 받는 판소리이다. 문학성으로나, 음악성으로나, 연극적인 짜임새로나, 지금까지 전해지는 판소리 다섯 마당 가운데서 가장 예술성이 높은 마당으로 꼽히며 청중들에게 사랑을 받는 판소리이다. 길이도 가장 길어서 한 마당을 다 부르는 데 짧은 바디는 다섯 시간, 긴 바디는 여덟 시간이나 걸린다. 춘향가는 화평한 장면, 슬픈 장면, 위풍당당한 장면, 우스운 장면들이 고루 갖추어져 있고 진지한 대목과 재미있는 대목이 적절하게 교차되어 있다.
장단과 조가 변화하고 고르게 짜여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명창들이 각 대목마다 유명한 더늠을 많이 남겨놓아서 음악적으로도 가장 훌륭한 판소리로 꼽힌다. 판소리 다섯마당은 대개 소설화하거나 사설체 그대로 적혀서 책으로 전해오는데 다섯 작품들 중에 가장 오래된 것이 바로 이 「춘향가」이며 그 수효 또한 많아서 이본이 무려 200여 종에 이른다.

2. 「춘향가」의 기원

「춘향가」는 한때 실제 인물설이나 중국 문학 영향설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근원설화를 바탕으로 형성되었다는 견해가 정설로 굳어진지 오래다.
「춘향가」가 민중 예술의 하나로 소리판에 등장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대체로 유진한이 호남을 여행하면서 광대들이 공연하던 「춘향가」를 듣고 지은 「가사 춘향 이백구」(1754년, 영조 30년)를 통해 대체적인 등장 시기를 짐작할 수 있다. 이 작품이 「춘향가」의 기본 줄거리를 두루 갖추고 있으므로 18세기 중엽에는 이미 골격을 갖춘 「춘향가」가 호남 지역에서 널리 불렸으며 양반층의 관심을 끌 만큼 독자적인 예술성을 일정하게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춘향가」는 이보다 상당히 앞선 시기에 등장했다고 보는 것이 자연스럽고 그것은 대체로 17세기 후반인 숙종 연간의 일로 추측한다. 물론 이 시기의 「춘향가」는 문학적 층위의 사설도 거칠었으며 음악적․연극적 층위에서도 세련되지 못한 소박한 형태였을 것이다.

3. 「춘향가」의 전승과정

춘향의 이야기가 어느 때부터 판소리로 불리게 되었는지를 알 갈이 없으나, 영조 30년에 유진한의 문집인 에 실린 「가사 춘향가 이백구」라는 글에, 가색이 춘향의 이야기를 판소리로 부르는 것이 시로 읊어져 있으며, 순조 때의 문인인 송만재가 적은 「관우희」라는 글에는 「춘향가」가 판소리 열두 마당 가운데 하나로 꼽히고 있음으로 보아,「춘향가」는 적어도 숙종 무렵에는 판소리로 불리기 시작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1. 김영주,『판소리 사설의 특성과 미학』, 보고사, 2000
2. 정충권, 『판소리 사설의 연원과 변모』, 다운샘, 2001
3. 판소리학회, 『판소리 연구 제 11집』,도서출판 박이정, 2000
4. 인권환, 『토끼전 ․ 수궁가 연구』, 고대문족문화연구소, 2001
5. 최동현, 김기형,『적벽가 연구』, 신아출판사, 2000
6. 정충권,『흥부전연구』, 월인, 2003
7. 최동현,『판소리 이야기』, 인동, 1999
8. 최동현, 유영대,『판소리 동편제 연구』, 태학사, 1998
9. 판소리학회,『판소리의 세계』, 문학과 지성사, 2000
10. 이광순 외,『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
11. 김태곤 외,『한국구비문학개론』, 민속원, 2003
12. 김진영 외,『실창판소리사설집』, 도서출판 박이정, 2004
13. 김종철 외,『판소리의 정서와 미학』, 역사비평사, 2004



※참고사이트

1. 춘향가 - http://my.netian.com/%7Esupersos/km1/info/html/010608.html
2. 판소리 다섯마당 - http://www.dongchosori.co.kr/data/data.htm
3. 판소리 다섯마당 - http://preview.britannica.co.kr/spotlights/pansori/paf.html
4. 심청가 - http://my.netian.com/%7Esupersos/km1/info/html/010609.html
5. http://kin.naver.com/open100/entry.php?eid=lN/Un7yMzCvtKJRbD2dT3WQa3AEHcpf2
6. http://cafe.naver.com/golddung.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5
7. http://www.cein.or.kr/chonbuk_culture/pansori/pansori_08.html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