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한국인의 역사의식

 1  [역사] 한국인의 역사의식-1
 2  [역사] 한국인의 역사의식-2
 3  [역사] 한국인의 역사의식-3
 4  [역사] 한국인의 역사의식-4
 5  [역사] 한국인의 역사의식-5
 6  [역사] 한국인의 역사의식-6
 7  [역사] 한국인의 역사의식-7
 8  [역사] 한국인의 역사의식-8
 9  [역사] 한국인의 역사의식-9
 10  [역사] 한국인의 역사의식-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사회계열
  • 2006.11.21
  • 10페이지 / hwp
  • 500원
  • 15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역사] 한국인의 역사의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반식민주의 역사학의 성립 -
근대화 과정의 격변기에서 자기의 역사를 체계화하려는 의도는 근대 역사학의 성립을 가속화하였다. 근대 역사학은 일차적으로 전근대 역사학에서 탈피하여 과학화를 도모하는 한편 식민주의 사학에 대항하여 민족의 주체성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였다.
○ 전근대 역사학 : 지배자 중심의 교훈적 역사에 치중하고 역사서술에서도 편년체 또는 기전체 서술 방식을 취한다
○ 근대 역사학 : 위의 방법론을 지양하고 국가. 민족. 민중 중심의 발전적 역사를 목표로 한다. 즉 실증적. 비판적인 서술체계를 취하고 인과관계에서 사회발전을 분석. 종합하려고 시도한다.

근대 역사학은 실학사상에서 태동하였다. 또한 왕실 중심의 편협한 역사인식의 태도에서 벗어나 계몽주의적 속성을 극복하는 한편, 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대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하는 태도를 보여준다. 이런 근대 역사학은 식민주의 역사학에 대항하기 위한 반식민주의 역사학의 성립과 발전에서 성립되었다.
식민주의 역사학은 제국주의 지배를 합리화하고 정당화하려는 식민지 지배이데올로기로부터 배태되었다. 이러한 제국주의 논리에 대응한 반식민주의 역사학은 고대사의 인식체계를 확대하는 한편 전근대 역사서술 방식에서 탈피할 수 있었고 식민주의 역사학에 대항하면서 독자적인 역사학의 토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 반식민주의 역사학은 근대적 역사인식으로 전환을 도모하는 한편 식민지 현실을 타파하기 위한 독자적인 민족의식에 주목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인의 역사의식 - 이범직, 김기덕 엮음 -
한국사학사대요 - 박인호지음 -
현대한국사학사 - 조동걸지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