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시론] 임화 시론

 1  [시와 시론] 임화 시론-1
 2  [시와 시론] 임화 시론-2
 3  [시와 시론] 임화 시론-3
 4  [시와 시론] 임화 시론-4
 5  [시와 시론] 임화 시론-5
 6  [시와 시론] 임화 시론-6
 7  [시와 시론] 임화 시론-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와 시론] 임화 시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임화는 누구인가?
Ⅱ. 임화의 시론
가. 담천하의 시단 일년; 조선(朝鮮)의 시문학(詩文學)은 어디로?
1. 시대정신 대변자로서의 시인
2. 복고주의 비판
3. 기교주의 비판
1) 방법론 비판
2) 기교파에 대한 비판
3) 김기림 비판
4. 프로시의 발전방향
나. 기교파(技巧派)와 조선시단(朝鮮詩壇)
1. 박용철 비판
2. 20년대의 낭만파의 시와 30년대의 기교파의 시
Ⅲ. 임화의 시
본문내용
Ⅱ. 임화의 시론
지금까지 임화에 대한 연구는 주로 그의 시적 경향을 논의하거나 아니면 그의 문학이론을 프로문학과 관련해서 논의하는 쪽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그의 시론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것은 그의 대부분의 시론이 아주 단편적인 것이라든가, 또는 너무 소략하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결과가 아닌가 한다. 그가 쓴 본격적인 시론인 『담천하의 시단 일년』과 『기교파와 조선 시단』등 두 편은 김기림 등 기교파에 대한 비판에 치중하고 있다는 약점을 지니고 있기는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을 통하여 1930년대의 경향시, 즉 프로시의 이론을 전개하고 그것의 체계화를 시도하고 있어서 김기림의 시론에 대칭되는 1930년대의 시론이라는 점에서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은 1935년의 시에 대한 총평의 형식으로 되어 있는 임화의 대표적인 시론 중에 하나이다. 이 글에서 임화가 강조하는 것은 아래의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겠다.

가. 담천하(曇天下)의 시단 일년(詩壇一年) ; 조선(朝鮮)의 시문학(詩文學)은 어디로?
1. 시대정신 대변자로서의 시인
임화는 시인에 대해서, 시대 현실에 대해 보다 명확하게 직관할 수 있는 사람으로서 높은 명예를 차지할 만한 존재로 인식하였다. 시인이란 가장 잘 모든 것을 알고 이야기하는 ‘이상적 인간’에 가까운 인간이라는 것이다. 여기에서 강조되는 것은 시인의 시대정신 대변이다. 그의 이런 정의는 문학이 사회적 현실이라는 거대한 체계 속에서만 이해된다는 마르크스주의적 문학론을 지향한다. 1935년 당시 일본의 식민지배 하에서 한국어가 위기에 처하게 되는데, 이에 당시 조선의 현실에서 시인들이 얼마나 정확히 침통한 시대적 현실을 감수하고, 시대정신을 어떻게 자기의 시적 언어를 통해 반영․표현하고 있는가를 생각해 봄을 중요한 과제로 보고 있다.
2. 복고주의 비판
고전문학의 부흥, 재음미를 주장하며 나타난 복고주의는 1935년 문학계의 가장 큰 테마의 하나였다. 임화는 이것을 황혼이 되면 비상하는 ‘미네르바의 부엉이’처럼 옛 문화와 예술이 임종을 당할 때 나타나는 고유한 현상으로 여겼다.
참고문헌
김윤식, , 문학과사상사, 1973
이승훈, , 고려원, 1993
유종호, , 문학동네, 2002
윤여탁, , 태학사, 1990
김정훈, , 국학자료원, 2001
하고 싶은 말
발표수업 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