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문학]한국 현대시의 흐름

 1  [한국현대문학]한국 현대시의 흐름-1
 2  [한국현대문학]한국 현대시의 흐름-2
 3  [한국현대문학]한국 현대시의 흐름-3
 4  [한국현대문학]한국 현대시의 흐름-4
 5  [한국현대문학]한국 현대시의 흐름-5
 6  [한국현대문학]한국 현대시의 흐름-6
 7  [한국현대문학]한국 현대시의 흐름-7
 8  [한국현대문학]한국 현대시의 흐름-8
 9  [한국현대문학]한국 현대시의 흐름-9
 10  [한국현대문학]한국 현대시의 흐름-10
 11  [한국현대문학]한국 현대시의 흐름-11
 12  [한국현대문학]한국 현대시의 흐름-12
 13  [한국현대문학]한국 현대시의 흐름-13
 14  [한국현대문학]한국 현대시의 흐름-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현대문학]한국 현대시의 흐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언
2) 초기 시의 형성 과정
(1) 저항과 개화의 논리
(2) 집단 의식과 개체 의식
(3) 낭만적 시의 전개
3) 근대적 시정신과 형상화
(1) 전통과 형이상의 결정
(2) 프로 시의 전개
(3) 순수 서정성의 확대
(4) 모더니티의 인식과 그 영향
4) 주체 의식의 확립과 그 의미
(1) 인간 존재와 민족 의식의 탐구
(2) 허무 의식과 그 극복
(3) 현실 인식과 언어의 문제
(4) 산업화 시대와 시
5) 결언
본문내용
1) 서언

우리의 근·현대시는 그 형성 초기부터 안팎으로 극심한 충격과 고뇌를 함께 지니면서 전개되어 왔다. 이 충격과 고뇌의 근원이 무엇인가에 대한 탐색 과정과 발전적 해결을 위한 노력이야말로 현대시가 걸어온 길이었고, 그것은 몇 가지 이유로 해서 우리의 사상사 내지 정신사의 핵을 밝혀 내는 하나의 시금석으로 현재에도 우리 앞에 놓여 있다.
우리의 근·현대시는 형성 단계에서 정치적·민족적 의식에 시인들이 자유롭지 못하였고 따라서 형상화에의 노력이 그만큼 뒤로 물러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1920년 경부터는 이와 상반되는 입장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시정신과 형상화 중 어느 측면에의 경사는 여러모로 우리 시를 이끌어온 힘이었다.
이와 아울러 근대에 이르러 시작된 우리말과 우리 글에 대한 새로운 깨달음은 근대 의식과 더불어 우리 시를 보다 우리 것답게 만든 원동력이었다. 그러나 언어에 대한 인식의 변모도 그리 단순한 것만은 아니었다. 시의 핵심적인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시에 異物質을 실어오기에 시인들은 언어에 대해 고심했고, 이에 대한 천착 역시 우리의 중요한 문화 자산인 것이다.
이밖에도 의식 및 계층 간의 전근대적인 측면과 근대적인 측면의 갈등을 비롯하여 보수와 진보의 대립 등의 의미 구조뿐만 아니라 정형과 자유형, 전통 지향과 모더니티 지향 간의 상호 보완 및 충돌에 대한 냉철한 인식의 필요성은 지나간 우리의 근·현대시를 돌아보는 현재의 시점에서 더욱 절실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