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신] 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와 문학적 성취

 1  [노신] 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와 문학적 성취-1
 2  [노신] 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와 문학적 성취-2
 3  [노신] 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와 문학적 성취-3
 4  [노신] 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와 문학적 성취-4
 5  [노신] 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와 문학적 성취-5
 6  [노신] 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와 문학적 성취-6
 7  [노신] 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와 문학적 성취-7
 8  [노신] 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와 문학적 성취-8
 9  [노신] 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와 문학적 성취-9
 10  [노신] 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와 문학적 성취-10
 11  [노신] 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와 문학적 성취-11
 12  [노신] 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와 문학적 성취-12
 13  [노신] 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와 문학적 성취-13
 14  [노신] 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와 문학적 성취-14
 15  [노신] 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와 문학적 성취-15
 16  [노신] 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와 문학적 성취-16
 17  [노신] 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와 문학적 성취-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노신] 중국 노신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와 문학적 성취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노신의 생애

Ⅲ. 노신 소설의 시대적 배경
1. 신해혁명
2. 5․4운동과 신문화운동

Ⅳ. 작품을 통해 본 문학적 성취
1. 아Q정전
2. 광인일기
3. 눌함과 방황
1) 현대적 현실주의의 초석
2) 성숙된 현실주의

Ⅴ. 산문
1. 전기잡문
2. 산문시와 회고적인 산문
3. 후기 잡문
4. 노신 잡문의 중대한 성과

Ⅵ. 역사소설

Ⅶ. 결론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노신의 문학세계는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직물운동으로 구성된다. 초기 노신의 문학세계는 이러한 직물운동 속에서 사라지거나 다른 세계로 흡수되지 않고 후기 ≪고사신편≫의 세계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반복된다. 그러나 이러한 반복은 굳어진 형태가 아니라 노신의 정신역정에 따라 새로운 세계를 열어가는 과정 속의 반복이다. 이것은 반복이라기보다는 중첩에 가깝다. 그러면 노신의 문학세계에 중첩되는 이미지가 무엇인지 살펴보자. 첫째, 혁명가의 죽음과 구경꾼의 이미지. 이것은 환등기 사건에서 <광인일기>, <약>, <아Q정전>, <시중>, <주검> 등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이미지로, 중국을 변화시키려는 사람과 사건을 구경거리로 삼아 일회적인 해프닝으로 변질시킨다. 둘째, 식인의 이미지. 이것은 중국 사회가 정체하고 중국 민중이 마비된 영혼을 소유하게 된 역사적 구조를 드러내는 이미지로, 이 구조 속에 포획된 인간은 타인의 불행을 자신의 감각적 쾌락으로 삼아 그 사람을 흔적없이 죽음의 세계로 밀어낸다. 이것은 구경꾼의 이미지와 겹치는 것으로, 민중과 민중 사이의 관계를 지배하는 선험적 구조를 이미지화한다. <광인일기>, <공을기>, <약>, <명천>, <아Q정전>, <축복> 등에 나타난다. 셋째, 초인의 이미지. 이것은 억압적 질서에 반항하고 투쟁하는 정신계의 전사, 근본을 통찰한 무욕적 인간을 나타내는 이미지로 악마파 시인, <광인일기>, <장명등>, <보천>, <분월>, <주검>, <이수>, <비공> 등에 등장한다. 넷째, 허위적 지식인의 이미지. 이것은 근본을 통찰하지 못하고 사욕에 치우쳐 행위하는 인간의 이미지로, 전통 지식인의 허위성과 신지식인의 허위성의 두 가지 형태로 등장한다. 그러나 신지식인의 경우는 허위성을 비판하는 측면과 아울러 그들을 좌절시켜 타락한 삶을 걷게 만드는 사회적 관계에 대해 비판하는 측면을 공유하고 있다. <공을기>, <풍파>, <단오절>, <백광>, <재주루상>, <행복적가정>, <비>, <고로부자>, <고독자>, <상서>, <제형>, <이수>, <채미>, <출관>, <기사> 등에 나타난다. 다섯째, 인정의 이미지. 이것은 식인구조에 의해 희박해져 가는 인간의 원초적 본성이 간간이 드러나거나 유년시절의 추억 속에 나타나는 이미지로 암흑 속의 가느다란 빛이나 틈새로 기능한다. <파악성론>에 나타나는 농민의 노동과 축제, <광인일기>의 어머니의 눈물, <약>의 꽃, <일건소사>의 인력거꾼, <고향>의 아이들의 만남, <사희>의 동심, <시중>의 노동자 등에 구현되어 있다. 노신의 문학세계는 이러한 이미지들이 제각기 위치를 차지하며 상호간에 총체적인 긴장의 흐름을 형성한다. 이미지 사이의 관계양상은 개별시기 노신의 현실인식과 내면세계의 변화에 따라 상이한데, 그것이 바로 불연속성 혹은 문학지평의 확장을 가능케 하는 사유공간이다.
노신문학이 이러한 중첩운동을 가능케 하는 것은 노신의 문학세계가 신해혁명에 대한 체험과 절망에 그 뿌리를 대고 있기 때문이다. 노신은 동시대의 문제를 고민하면서도 항상 그것을 신해혁명의 체험과 연관지어 사유한다. 그래서 노신은 신해혁명에 대한 기억을 통해 동시대의 문제를 풀어나가며, 문학적 상상력이나 이야기 역시 신해혁명 전후의 체험에 기반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노신이 과거 속에 맴돌아 현실과의 긴장관계를 상실한다는 의미가
참고문헌
신진호, ≪중국현대력사소설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론문, 서울, 1993.
유중하, ≪노신 전기문학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론문, 서울, 1993.
이종민, ≪근대 중국의 시대인식과 문학적 사유 - 양계초, 왕국유, 노신, 욱달부를 중심으로≫, 서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론문, 1998.
김시준 역, ≪루쉰소설전집≫,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이철준 외 역, ≪노신선집≫, 여강출판사, 1991
이택후, 김형종 역, ≪중국현대사상사의 굴절≫, 지식산업사, 1994
유약우, 이장우 역, ≪중국의 문학이론≫, 명문당, 1994
전형준 엮음, ≪루쉰≫, 문학과지성사, 1997
임육생, 이병주 역, ≪중국의식의 위기≫, 대광문화사, 1990
조민환, ≪중국철학과 예술정신≫, 예문서원,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