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

 1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1
 2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2
 3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3
 4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4
 5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5
 6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6
 7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7
 8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8
 9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9
 10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10
 11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11
 12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12
 13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13
 14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14
 15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15
 16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16
 17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17
 18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18
 19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19
 20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고려속요와 경기체가 비교 및 작품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려속요
1. 개관
2. 청산별곡
1) 청산별곡의 구조 및 내용
(1) 청산별곡의 구조
(2) 청산별곡의 각 연별 내용
(3) 작품의 율격상 특징
2) 작가층 및 성격
(1) 작가층
(2) 청산별곡의 성격
3. 처용가
1) 노래말의 어석연구
2) 노래말의 성격과 의미 검토
3) 고려 처용가의 변전과 문학적 해석
(1) 처용가의 변전과 문화사적 의미
(2) 고려 처용가의 문학사적 해석
4. 정과정

Ⅱ. 경기체가
1. 개관
2. 개념과 생성
3. 경기체가의 율격
4. 경기체가의 형태
1) 형태의 구성과 특색
2) 형태의 기본형
5. 경기체가의 내용
1) 풍류적 내용
2) 송도적 내용
3) 도덕적 내용
4) 불교적 내용
6. 불교계 경기체가
1) 서방가
2) 미타찬, 안양찬, 미타경찬
3) 기우목동가

본문내용
고려 시대에 불려졌던 노래는 크게 1) 고려 초 균여대사의 사뇌가와 , 등 향가계 노래, 2) 을 비롯한 경기체가, 3) , 등의 속요, 4) 고려 말에 발생한 시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가운데 순연한 고려 시대의 노래라 할 수 있는 것은 경기체가와 속요로서, 이들은 바로 전 시대의 시가 양식인 신라 향가의 전형적 서정 형식을 이어받아 우리 고전 시가의 중요한 시가 형식인 조선 시대의 시조 및 가사를 창출하게 한 교량적 역할을 하였다.
고려 속요는 한때 古俗歌나 長歌로 불리기도 한 것으로, 그 형성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대체로 고려 예종 11년(1116)의 송나라 대성악 수입 시기 무렵일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속요의 작자는 대부분 알려져 있지 않다. 이것은 고려 속요가 원래 재래의 민요를 새로운 궁중 무악 혹은 연악으로 재편하여 수용하면서 형성된 것이기 때문이다. 즉 원래 민간에서 유포?전승되던 민요가 궁중의 속악 가사로 수용되면서 개편되었다가 한글 창제 이후에 문헌에 기록되어 전승되고 있는 것이므로 본래의 작자는 사라졌다고 하겠다. 이렇게 보면 고려 속요의 작자층은 고려 시대의 일반 민중이며, 이후 그것을 향유한 왕실 및 권문세족들은 수용자층이 되어 이원적으로 구분된다. 때문에 그 내용도 과 같은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면, 일반 민중의 강렬한 사랑과 이별의 정한이 주류를 이룬다. 훗날 조선조 학자들이 이른바 ꡐ남녀상열지사ꡑ라 하여 지탄한 바로 그것이다.
속요의 형식은 대부분 분절식이며, 각 분절의 말미에는 후렴구가 이어진다. 전후양절로 구분되고 여러 연이 중첩되기도 하는 것이 보통이다. 주로 2?3?4음절의 음수율을 보이는데, 그 중 3음절이 우세하며 3음보가 다수이다. 이러한 고려속요는 음악을 다루는 敎坊 등에 전하다가 조선 시대에 과 등에 정착되어 전한다.

2. 청산별곡

고려 가요 전체에 관한 연구에는 가장 활발히 논의되었던 기존 연구는 語句 解釋에 관한 것들이었다. 그 중에서도 양주동은 「麗謠箋註」에서 어학적 설명을 위주로 하여 작품의 내용을 해석하였다. 또한 김형규는 「古歌(謠)註釋」에서 몇몇 어구의 주석을 위주로 하여서 고가요에 관한 해석을 하였다. 이밖에도 전규태와 박병채는 「高麗歌謠」와 「高麗歌謠의 語釋硏究」에서 어휘를 중심으로 주석을 통해 그 내용을 밝히려고 했다.
서수생은 ꡐ청산별곡 소고ꡑ 에서 작품의 語義를 밝히고, 의 성립연대 및 작자 주인공의 문제에 대해서 나름대로의 의견을 언급했다. 김상억은 ꡐ청산별곡 연구ꡑ에서 작품의 구조 및 작품의 성격을 밝히려 했다. 김완진은 ꡐ청산별곡에 대하여ꡑ에서 등의 논문에서 청산별곡의 화자를 여성으로 보고 이를 토대로 청산별곡의 ꡐ사?미ꡑ와 〈청산별곡〉의 8연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성현경도 ꡐ청산별곡고ꡑ를 통해 김완진의 이런 의견에 동조하였다.
이 밖에도 김택규는 「別曲의 構造」에서 을 두 노래의 합성으로 보았다. 이 밖에 이승명은 ꡐ청산별곡 연구ꡑ를 통해서 에 대한 작자층에 대한 논의 및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김복희는 ꡐ청산별곡의 신화적 의미ꡑ에서 의 구조를 신화적 의미에서 찾아보려고 하였다. 또한 정병욱은 ꡐ청산별곡의 분석ꡑ등에서 작품의 구조를 1-4연과 5-8연의 대비 구조로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