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

 1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1
 2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2
 3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3
 4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4
 5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5
 6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6
 7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7
 8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8
 9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9
 10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10
 11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11
 12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12
 13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13
 14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14
 15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15
 16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16
 17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17
 18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18
 19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19
 20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에 관한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정약용의 업적
1. 학문에서의 업적
2. 과학기술 발달의 업적
3. 다산 정약용의 역학(易學)에 끼친 영향
Ⅲ. 정약용의 사상
1. 철학사상
2. 실학사상
3. 다산의 교육 사상
4. 다산의 정치 사상
5. 다산의 경제 사상
6. 다산의 사회 사상
7. 반(反)풍수사상
8. 반(反)지역차별 사상
9. 문학사상
10. 다산의 인간관과 목민사상
Ⅳ. 정약용의 세계관과 문화론적 이해
1. 자연관: 개척의 대상으로서의 물(物)
2. 인간관: 욕망에 대한 낙관론
3. 사회관: 민권사상과 계약론적 발상
Ⅴ. 결론
본문내용
다산은 영조 38년(1762) 6월 16일 아버지 나주 정씨(羅州 丁氏) 재원(載遠)과 어머니 해남 윤씨(海南 尹氏)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나주 정씨는 처음 본관을 압해(押海)로 하였으나 영조 때 나주로 본관을 바꾸었다. 시조(始祖) 고려 검교대장군 정윤종(丁允宗)으로부터 6세(六世) 공일(公逸)까지 압해도에 거주하였고 7세(七世) 원보(元甫)가 황해도 덕수(德水)로 이거하였다.
시조 이하 6세의 분묘는 압해도에 있었으나 고려말 압해도가 왜구의 침탈로 실토(失土)됨에 따라 소실되었다. 압해도는 본래 군치(郡治)의 섬으로 박씨, 정씨, 주씨, 홍씨 등이 본거지로 하였으나 고려조에 현치(縣治)로 하였다가 현이 없어지고 나주에 소속되었다. 고려말에는 왜구의 침략으로 빼앗겼던 비운의 섬으로 지금은 행정구역이 신안군 압해면이다.
다산이 1822년 회갑을 맞아 스스로 지은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에 의하면 다산의 선조들은 8대를 연이어 문과에 급제하여 옥당(玉堂)에 들었다. 처음으로 벼슬한 선조는 홍문관 교리를 지낸 자급(子伋-11世)이다. 그때부터 이어져 부제학을 지낸 수강(壽崗-12世), 병조판서를 지낸 옥형(玉亨-13世), 좌찬성을 지낸 응두(應斗-14世), 대사헌을 지낸 윤복(胤福-15世), 관찰사를 지낸 호선(好善-16世), 교리를 지낸 언벽(彦璧-17世), 병조참의를 지낸 시윤(時潤-18世)이 모두 당대의 선비들이 선망하던 옥당에 들었다.
옥당은 궁중의 서적을 관리하고 문서를 처리하며 임금의 자문에 응하던 홍문관의 별칭으로 당대에 글 잘하던 선비들이 임명되었으며 임금에게 경론(經論)을 강연하던 관직도 겸하였다. 역대 문과급 제자들의 명부인 에도 옥당에 임명된 급제자들의 이름 위에는 그 사실이 따로 표시될 정도로 옥당에 드는 것을 개인은 물론 가문의 영광으로 알았다. 하지만 병조참의를 역임했던 다산의 5대조 정시윤(1646-1713)이 만년에 마현(馬峴)으로 이주한 이후 고조 증조조부의 3대에서는 벼슬길에 오르지 못했다. 숙종 이후 극심해진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권력을 잃은 남인이 겪는 당연한 일이었다. 아버지(載遠) 때에 와서야 정조(正祖)의 즉위로 남인계에 벼슬길이 트이자 과거시험을 거치지 않고 선조의 공훈이나 특별한 배려로 임명되던 제도인 음사(蔭仕)로 진주목사까지 역임했다.

Ⅱ. 정약용의 업적

1. 학문에서의 업적

다산(茶山) 정약용은 실학을 집대성한 조선조 후기의 학자로 정치, 경제, 역리, 지리, 문학, 철학, 의학, 교육학, 군사학, 자연과학 등 거의 모든 학문 분야에 걸쳐 방대한 양의 저술을 남겼다. 500여권에 달하는 이 저술들은 깊고도 넓은 학문 세계로 인하여 오늘날까지 살아 있는 우리의 고전이 되고 있다
정약용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 , 가 있다.
1797년부터 1799년까지 약 2년간 황해도 곡산부사로 봉직하며 , 와 같은 잡저를 남겼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