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

 1  [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1
 2  [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2
 3  [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3
 4  [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4
 5  [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5
 6  [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6
 7  [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7
 8  [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8
 9  [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9
 10  [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10
 11  [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11
 12  [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12
 13  [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13
 14  [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14
 15  [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15
 16  [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16
 17  [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17
 18  [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18
 19  [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19
 20  [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소설] 이상 날개 문학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이상의 생애

Ⅱ. 모더니즘과 심리소설

1. 모더니즘
2. 심리소설

Ⅲ. 이상의 시세계
1. 내용적 특징
2. 형식적 특징

Ⅳ.이상의 소설세계

1. 이상 소설의 글쓰기 양상

Ⅵ. 이상의 소설과 7차 교육과정

Ⅶ. 임용고시 기출문제
본문내용
2. 전기적 특징

1) 집안의 과도한 기대
이상은 아버지 김연창의 아들이면서도 백부 슬하에 자식이 없었기에 3살때 젖이 떨어지자마자 백부집에 양자로 들어간다. 실제로 족보에 오르지는 않았지만 명복상 백부 김연필의 아들이고, 강릉 김씨의 장손이며 또한 할아버지 김병복의 장손자이기도 했다. 이렇게 그에게는 유교적 이데올로기의 이름으로 지배하고 있는 억압체계들이 너무 많았다. 특히 집안을 일으켜야 한다는 장손으로서의 의무감, 혈통 잇기의 짐은 그를 억눌렀다. 혈통잇기라는 의무감 때문에 이상이 가족을 사랑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족이라는 기존 질서의 테두리에서 벗어나고자 애쓰게 만들었던 것이다. 그런 억압은 점점 심해져 조상에 대한 증오로까지 이어졌다.

2) 개명에 대하여
‘이상’의 이름에 대한 설에는 여러 가지가 많지만 총독부 기사 시절 공사장 인부가 ‘김상’을 ‘이상’으로 잘못 호명한데서 기인했다는 설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경성고공의 졸업 앨범에 ‘이상’이라는 필명이 뚜렷이 나타나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이미 김해경이 예술가 이상을 의식적으로 창조해냈음을 알 수 있다.
1930년대가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일제는 노골적으로 우리 민족의 말살정책을 자행하기 시작하여 창씨개명을 시행한다. 그러나 일제의 거듭되는 강압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사람들이 창씨개명을 따르지 않았다. 그들에 의하면 성과 이름을 바꾸는 일은 곧 피와 뿌리를 부정하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 이상이 그의 이름인 김해경을 버리고 다른 성명을 택한 것은 1930년대 초두였다. 이 연대는 우리 사회 속의 재래식 행동규범과 의식성향이 일제 말기보다 한결 짙게 깔려 있었을 때다. 그런 시기에 이상이 이름을 바꾼 일은 매우 파격적인 행위일 수밖에 없다. 그는 한 집안을 책임져야 하는 김해경에서 벗어나 자신이 추구하는 예술 속에서 자유롭게 마음껏 활개칠 수 있는 새로운 인물 ‘이상’이 되고 싶었던 것이 아닌가 싶다.
참고문헌
◈ 참고 문헌 ◈

곽미자, 『이상 시 연구』, 상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7.
이윤정, 『이상 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고명수, 『한국 모더니즘 시인론』, 문학아카데미, 1995.
권혁남, 『이상소설연구』, 한양대학교, 2003.
강상희, 『한국모더니즘소설론』, 문예출판사, 1999.
강운석, 『한국 모더니즘 소설 연구』, 국학자료원, 2000.
김윤식, 『한국 현대문학 비평사조』, 한샘, 1988.
김윤식, 『한국문학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민음사, 1989.
김진석, 『한국심리소설연구』, 태학사, 1998
나병철, 『근대성과 근대문학』, 문예출판사, 1995.
서준섭, 『한국 모더니즘 문학 연구』, 일지사, 1988.
윤병노, 『한국 근형대문학사』, 명문당, 2000.
최혜실, 『한국 모더니즘 소설연구』, 민지사, 1992.
최혜실, 『한국현대소설의이론』, 국학자료원, 1994.
최혜실, 1930년대 한국 심리소설연구-최명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학위 논문,1986
김주현, 『이상 소설 연구』, 소명출판, 1999.
김윤식 정호웅, 『한국소설사』, 문학동네, 2004.
김용직, 『한국현대시인연구 (상)』, 서울대 출판부, 2000
김상태, 의 동굴 모티프, 문학과 비평, 탑 출판사, 1987.가을
김주현, 이상소설에 나타난 패로디에 관한 연구, 1993.9
김윤식, 『이상 문학전집 2』, 문학사상사,1991
이병렬, 『현대 소설 109선 2』, 문원각, 1993.
김윤식, 속의 . 문학사상. 1997년 10.
김주현, 의 실험성과 문제성. 문학사상. 1996년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