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

 1  [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1
 2  [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2
 3  [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3
 4  [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4
 5  [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5
 6  [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6
 7  [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7
 8  [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8
 9  [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9
 10  [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10
 11  [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11
 12  [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12
 13  [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13
 14  [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14
 15  [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15
 16  [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16
 17  [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17
 18  [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18
 19  [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19
 20  [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소설] 이태준 문학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이태준의 생애
1. 연보
2. 작품세계의 특성과 전개

Ⅱ. 1930년대 문학과 이태준
1. 1930년대 문학 속 이태준의 문학사적 위상
2. 《문장》과 ‘상고주의’
3. 이태준의 『문장강화』

Ⅲ. 작품분석

1. 까마귀
2. 복덕방
3. 해방전후 - 한 작가의 수기

Ⅳ. 7차 교육과정
본문내용
2. 작품세계의 특성과 전개

1) 초기
문단 데뷔작 「오몽녀」를 발표한 1925년 7월로부터 「불우선생」과 「달밤」을 발표한 1933년 가을 이전의 시기를 이태준의 초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작품에는 다양한 경향들이 뒤섞여 있다. 동화나 꽁트 형식의 작품 대부분이 이 시기에 발표되며, 작가 자신을 화자로 하는 심경소설이나 현실인식을 그대로 드러내는 작품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이 시기가 이태준 고유의 ‘스타일’을 확립해가는 습작기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때문에 이 시기의 작품들은 그의 작품세계 전반의 맹아적 단계로서 섬세한 고찰이 요망된다. 다양한 형식실험이나 정제되지 않은 인식의 표출과정에서 오히려 이태준 문학관의 원형을 감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1) 동화 창작의 원인과 의미
상허의 초기작들은 대략 몇 가지의 특성들을 보이고 있다. 그 첫째는 동화류가 많다는 것이다. 일본에서 돌아온 상허가 직장을 얻지 못해 방황을 하다가 처음 잡은 직장이 였다. 이곳에 취직한 이래 상허는 󰡔학생󰡕이나 󰡔신생󰡕과 같은 잡지의 편집에 관여하는 한편 󰡔어린이󰡕 등에 동화류를 많이 발표한다. 「어린 수문장」, 「불쌍한 소년 미술가」, 「슬픈 명일 추석」, 「쓸쓸한 밤길」, 「불쌍한 삼형제」, 「외로운 아이」와 같은 작품들이 그것이다. 이처럼 작가로서의 활동을 본격화하는 시기에 왜 동화류를 많이 발표했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이유가 밝혀져 있지 않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보면 4년 전에 데뷔작 「오몽녀」를 발표했을 뿐, 문단적으로 이름이 알려져 있지 않은 상허로서는 아직 본격적인 작품발표 창구가 충분하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고아체험에 의거한 이야기를 통해 어린아이들을 계몽하는 한편, 부분적인 형태로나마 자신의 창작의욕을 표출하는 기회로 이러한 글들을 쓰게 되지 않았나 생각할 수 있다. 또, 동화창작의 보다 직접적인 이유를 소파 방정환과의 관계에서 찾아야 할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상허문학회(1993). 『이태준 문학연구』. 서울: 깊은샘.
(1998). 『1930년대후반 문학의 근대성과 자기성찰』. 서울: 깊은샘.
송인화(2003). 『이태준 문학의 근대성』. 국학자료원
이태준, 정영우 주해(1997). 『아버지가 읽은 문장강화』. 깊은샘.
이태준(1988). 『문장강화』. 창작과 비평사.
장영우(1996). 『이태준 소설연구』. 태학사
장석주(2000).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1권)』. 시공사.
황석연(2003). 『현대소설 너를 읽어주마』. 즐거운 학교


박헌호(1997). “이태준 문학의 소설사적 위상”, 성균관대 대학원 박사논문
신형기(2000). “[특집1 - 이태준 문학연구의 비판적 검토] 해방 이후의 이태준”. 상허학보 제5집. 70-73쪽.
장영우(1993). “[단편소설론] 문학과 정치 - 해방 후 이태준 소설 연구 -”. 상허학보 제1 집. 160~192쪽.
최용석(1999). “상허 이태준 단편 소설 연구-현실 인식의 변모 과정을 중심으로”. 어문론 집. 456-466쪽.
최정주(1994). “이태준의 연구”. 한국언어문학 제3집. 363-385쪽.


국립국어원 http://www.korean.go.k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