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

 1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1
 2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2
 3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3
 4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4
 5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5
 6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6
 7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7
 8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8
 9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9
 10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10
 11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11
 12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12
 13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13
 14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14
 15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15
 16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16
 17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17
 18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18
 19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19
 20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 고전시가 심층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고전시가 형식
1. 운, 리듬, 율격
1) 운
2) 리듬
3) 율격
2. 시행 및 시편 구성
1) 시행
2) 시편
3. 음악과의 관계
Ⅲ. 고전시가와 설화
Ⅳ. 작품분석
1. 고대가요
1) 구지가
2) 정읍사
2. 향가
1) 서동요
2) 처용가
3. 고려가요
4. 고려 속요
1) 정과정
2) 가시리
3) 동동
4) 청산별곡
5) 서경별곡
5. 경기체가
6. 시조
1) 이화에 월백하고 ˜이조년
2) 이 몸이 죽어죽어 정몽주
3) 방안에 혓는 촉불 ˜
4) 어져 내일이야 ˜
5) 동짓 기나긴 밤에 ˜
6) 강호사시가 맹사성
7) 도산십이곡 퇴계. 재도론적 문학관
8) 가노라 삼각산아 ˜ 김상헌
9) 강산 죠흔 경을 ˜ 김천택
10) 전원에 나믄 흥을 ˜ 김천택
11) 백구야 말 물어보자 ˜ 김천택
12) 초암이 적료한데 ˜
13) 나모도 바히돌도
14) 가버슨 아해ㅣ들리
15) 싀어마님 며라기
16) 들에 동난지이 사오
17) 두터비 리 물고
18) 귓도리 저 귓도리
19) 개야미 불개야미
20) 창 내고저 창을 내고저
21) 갓나희들이 여러 층이오레 김수장
22) 논밭 갈아 기음 매고
23) 서방님 병 들여 김수장
7. 후기가사
1) 누항사 박인로
2) 선상탄 박인로
3) 일동장유가 김인겸
4) 용부가
5) 우부가
6) 농가월영가 정학유
7) 연행가 홍순학
Ⅴ. 결론
본문내용
우리 시가문학의 초기 형태는 원시시대 祭儀의 현장에서 행해지던 종합예술에 포함되어 있었다. 迎神과 送神의 단계에서 구송되던 샤만의 呪文이나 巫歌 등도, 娛神의 단계에서 부족민들에 의해 행해지던 歌舞樂의 종합예술체 등도 시가문학 그 자체이거나 그 편린을 지니고 있는 것들이었다. 악곡과 함께 가사가 있어야 노래가 이루어질 수 있었는데, 그 가사가 바로 오늘날의 시문학에 상응하는 언어적 구조물이었다. 그리고 노래는 반드시 춤을 동반하기 마련이었다. 따라서 그 당시의 예술은 제의적 기반 위에서 만들어지고 향유되었으며, 결과적으로 그것은 다양한 장르가 통합된 복합예술일 수밖에 없었다.
그 초창기의 작품 가운데 지금 흔적이나마 찾아 볼 수 있는 것들로 時用鄕樂譜에 실려 있는 각종 呪文 형태의 巫歌들과 민요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창작 당시부터 이 단계에 이르기까지 그것들이 겪었을 변모의 실상은 오늘날 전혀 짐작할 수가 없다. 이것들을 제외한다면 본격 서정문학 단계의 첫 작품으로 , , 등 이른바 上古詩歌들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고조선~삼국 초기에 주로 불려진 것으로 보이는데 전 2자는 북방의 노래, 후자는 남방의 노래다. 표기 문자가 없던 당대의 사정상 한자로 번역․기록될 수밖에 없었으며 그 결과 詩經에서 흔히 볼 수 있는 4언체의 고시 형태를 띠게 되었다. 이것들은 제의의 현장에서 불리던 집단예술의 단계를 지나 개인적 정서를 본격적으로 표출한 첫 단계의 노래들이다. 이 노래들은 당대 혹은 그보다 훨씬 전부터 불려오던 많은 노래들 가운데 기록으로 살아남은 것들이다. 이 노래들이 초창기 고전시가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는, 일종의 단서나 암호 역할을 할 수밖에 없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그러나 이 노래들의 잔존은 우연한 사건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것들만 가지고 이 시기 고전시가의 전모를 파악하려 한다는 것은 대단히 위험한 일이다. 이것들이 다양한 노래 장르들 가운데 어느 한 부분만을 대표할 경우, 그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큰 부분들은 捨象되기 마련일 것이기 때문이다. 신중한 접근이 요청되는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
漢譯만으로 기준한다면 네줄 형식의 가사로서 이것들 모두는 짧은 형태의 노래들이다. 그리고 우리 노래의 일반적 기준에 비추어 보아도, 그것들은 가장 간결하며 비서사적인 내용으로서 단순한 민요의 형태를 띠고 있다. 그러나 이 시기의 노래들 모두가 짧은 것은 아니었고 노래로 불렸다고 모두가 서정양식인 것은 아니다. 이 시기에 이미 제의의 현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본풀이類의 무가들은 對象神의 내력담이자 해설이며 신의 강림을 빌던 請拜歌였다는 점에서 그것은 분명 노래로 불려지거나 읊어진 서사체라고 할 수 있다. 부족이나 국가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던 큰 규모의 제의도 있을 수 있고, 洞祭나 재수굿․진혼굿 등 작은 규모의 제의도 있을 수 있다. 이 외에도 종교적 범주를 떠난 개인의 현실적 삶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우리 옛 노래의 한 근원이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당대의 노래를 크게 세 가지 층위로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즉 ꡒ①국가나 부족단위의 공동제의에서 부르던 본풀이류의 무가, ②마을 단위 혹은 가정단위의 무속신앙에서 불려지던 소규모의 무가, ③개인적 차원의 즐거움이나 감정발산을 위주로 하던 비작위적이고 자연발생적인 노래ꡓ 등이 그것들이다. ①은 현재 신화의 형태로 잔존해 있거나 서사문학으로 발전되어 갔으니 이 글에서 더 거론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②는 상당부분 ①과 같은 양상을 보이거나 ③의 일부로 흡수되어 그것과 함께 근대 이전의 이른바 고전시가로 전개되어 나온 부분이다. ①이 후대에 마을굿, 즉 洞祭의 형태로 변모되었고, 그 동제에서 마을사람들을 하나로 묶는 ꡐ신내림ꡑ이나 ꡐ황홀경ꡑ, 또는 거기서 演行되던 歌舞의 형태로부터 노래가 구체화되기 시작했다면 결국 우리노래의 근원은 무속이 대표하는 종교 체험에서 발생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시기의 사람들이 신을 의식하게 된 것은 생존의 관건일 수밖에 없었던 식생활 문제의 해결, 즉 풍요에 대한 기원 때문이었다. 말하자면 이 시기의 제의를 대체로 풍요제의로 보아도 무방하다는 것이다. 중국측 史書들에 나오는 이 시기 우리민족의 제의 양태는 ꡐ놀이ꡑ로 단순화시킬 수 있을 만큼 飮酒歌舞 일변도로 기술되어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