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

 1  [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1
 2  [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2
 3  [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3
 4  [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4
 5  [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5
 6  [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6
 7  [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7
 8  [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8
 9  [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9
 10  [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10
 11  [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11
 12  [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12
 13  [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13
 14  [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14
 15  [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15
 16  [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16
 17  [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17
 18  [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18
 19  [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19
 20  [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회] 교회 개척, 갱신, 교회사회사업, 교회 소그룹활동과 청년부활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교회란
Ⅱ. 교회 개척
1. 교회 개척의 내부적 조건
2. 교회 개척의 외부적인 조건들
1) 장소의 중요성
2) 성전의 위치 설정
Ⅲ. 교회의 갱신
1. 교회 갱신의 개념
2. 교회 본질에 기초한 갱신
3. 갱신의 도구로서의 소그룹
Ⅳ. 가정폭력 치유를 위한 교회사회사업
1. 교회사회사업과 목회적 돌봄
2. 목회적 돌봄과 교회사회사업의 과제로서의 가정폭력
Ⅴ. 교회 소그룹
1. 구약에 나타난 소그룹
2. 신약에 나타난 소그룹
Ⅵ. 소그룹 활동
1. 양육
2. 예배
3. 공동체적 교제
4. 전도
Ⅶ. 청년부의 역할과 중요성
1. 차세대의 교회 지도자
2. 교사로서의 역할
3. 선교 및 봉사의 주역
Ⅷ. 한국교회 청년부의 현실
1. 교회교육의 사각지대
2. 청년지도자의 부재
3. 청년부에 대한 부정적 시각
Ⅸ. 마치며
본문내용
교회는 기독교 시대에 들어와서 형성되어진 기독 공동체에 대한 명칭으로 신약시대부터 사용되었다. 하지만 교회의 본질을 밝히기 위해서는 옛 언약과 새 언약 사이의 불가분리의 관계성을 고려할 때 , 신약의 교회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구약의 용어를 살펴봄이 바람직하다.
교회라는 낱말에 해당되는 구약성서의 용어에는 ꡒ카할(qahal)" 과 ꡓ에다(edah)"가 있다. 전자의 어근은 ꡐ부른다ꡑ라는 어근을 가지고 있고, 후자는 ꡐ지명하다ꡑ, ꡐ택한다ꡑ라는 의미를 지닌다. 고 하지만 이 용어가 처음부터 공동체를 부르기 위해 사용된 것은 아니었다. 구약시대 전반에 걸쳐 유대인들을 독특히 종교적 공동체로 부르기 위해 어떤 특별한 용어를 사용할 것은 전혀 없었다. 이스라엘이란 명칭 자체는 종교적 명칭으로서 주로 언약한 백성을 의미했으며, 결코 국민 또는 민족적 그룹을 의미하지 않았다. 카활 경험이후 국가가 파멸되고 또 많은 유대사람들이 다른 나라에 정착하여 디아스포라를 형성하게 되면서 부터 히브리용어인 ꡐ카할ꡑ이 종교적인 의미를 얻게 되었고, 특별히 예배를 드리거나 율법을 듣기 위해 모인 유대인의 성회를 가르키는 말로 사용하게 되었다.
즉 ꡐ카할ꡑ은 단순히 유대인이나 유대사회와는 구별되게 계약에 충실한 백성들의 모임을 나타내는 말로 정착된다. 이러한 ꡐ카할ꡑ의 언어적 특성은 자연히 ꡐ남는자ꡑ 사상에로 우리의 관심을 이끈다. 왜냐하면 ꡐ남는자ꡑ는 이스라엘의 민족적 배반과 타락에 물들지 않은 경건한 소수의 하나님의 백성들이기 때문이다.
남은자에 대한 구약성서의 언급은 주로 예언자의 글에 언급되어 있으며 ( 사1:9, 7:9, 6:7, 14:32 ; 습3:12-15, 학1:12-14, 슥8:6, 스9:8, 14-15, 느1:2-3 ), 중간기 유대교 묵시문학에 까지 계속되었다. 남은 자에 대한 사상은 이스라엘의 죄에 대한 하나님의 무서운 심판에서 피할 길을 얻은 경건한 소수의 사람들이 하나님의 사역에 동참하여 하나님의 뜻을 성취하기 위한 사명을 가진 공동체로서 보호되어 남겨져 하나님이 그들을 중심으로 의로운 일을 하신다는 것이다. 역사 안에서 여러가지의 역경을 무릎쓰고 믿음을 지킨 사람들은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자신을 남는자로 생각하게 되었고, 교회 역시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카할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를 담아 ꡐ에클레시아ꡑ란 말로 번역하였다. 초기 기독교의 공동체는 결국 의식적으로 그들 자신을 히브리적 유산과 관련시키면서도 유대적 예배 공동체들과 구분하여 ꡐ에크레시아ꡑ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유대적 예배 공동체는 ꡐ에다ꡑ란 말을 제한시켜 유대인이 예배를 드리기 위하여 모이는 장소와 건물을 의미하도록 하여 ꡐ시나고그ꡐ로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교회가 ꡑ에클레시아ꡐ라는 용어를 선택한 것은 건물과 장소를 포함한 교회보다 ꡒ경건하고 의로운 하나님의 백성의 모임ꡑ이라는 측면에서 인식했다고 볼 수 있다. 교회는 거룩한 장소 보다는 거룩한 사람이란 사상이 나올 수 있게 되는 배경이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