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요법] 현실요법에 관한 심층 고찰

 1  [현실요법] 현실요법에 관한 심층 고찰-1
 2  [현실요법] 현실요법에 관한 심층 고찰-2
 3  [현실요법] 현실요법에 관한 심층 고찰-3
 4  [현실요법] 현실요법에 관한 심층 고찰-4
 5  [현실요법] 현실요법에 관한 심층 고찰-5
 6  [현실요법] 현실요법에 관한 심층 고찰-6
 7  [현실요법] 현실요법에 관한 심층 고찰-7
 8  [현실요법] 현실요법에 관한 심층 고찰-8
 9  [현실요법] 현실요법에 관한 심층 고찰-9
 10  [현실요법] 현실요법에 관한 심층 고찰-10
 11  [현실요법] 현실요법에 관한 심층 고찰-11
 12  [현실요법] 현실요법에 관한 심층 고찰-12
 13  [현실요법] 현실요법에 관한 심층 고찰-13
 14  [현실요법] 현실요법에 관한 심층 고찰-14
 15  [현실요법] 현실요법에 관한 심층 고찰-15
 16  [현실요법] 현실요법에 관한 심층 고찰-16
 17  [현실요법] 현실요법에 관한 심층 고찰-17
 18  [현실요법] 현실요법에 관한 심층 고찰-18
 19  [현실요법] 현실요법에 관한 심층 고찰-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실요법] 현실요법에 관한 심층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현실 요법 발달 단계
1. 3단계로 보면
1) 조지헤링턴(George L. Harrington)기
2) 윌리암 파워즈(William Powers)기
3) 에드워드 데밍(Edward Deming)기
2. 5단계로 보면
1) 현실요법 잉태기(1958-1962)
2) 로스엔젤레스에서의 현실요법 탄생기(1962-1967)
3) 현실요법 확장기(1967-1977)
4) 현실요법 확산을 위한 조직 개편기(1977-1982)
5) 1980년 초부터 현재까지의 확장기
Ⅲ. 현실요법과 통제이론
1. 통제 이론
1) 인간의 기본 욕구
2) 현실 세계(Real World), 지각 세계(Perceived), 질적 세계(Quality World)
2. 현실 요법의 특징
1) 실존적 - 현상학적 성향
2) 의학적 모델의 거부
3) 성공적 정체감(Success identity)과 긍정적 탐닉/중독(Positive Addition)
4) 책임에 대한 강조
5) 과거 탐색의 가치에 대한 과소평가
6) 전이의 가치에 대한 과소평가
Ⅴ. 현실 요법의 적용과 절차
1. 상담 환경 가꾸기
2. 상담 과정
Ⅵ. 집단상담 과정에서 현실요법의 적용
Ⅶ. 현실요법과 내적통제성과의 관계
Ⅷ. 현실요법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Ⅸ. 현실 요법의 공헌과 한계점
Ⅹ. 결론
본문내용
현실요법은 내담자들이 그들의 삶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목적으로 선택이론에 바탕을 둔 상담방법이다. 따라서 현실요법을 이해하려면 먼저 그 기초가 되는 선택이론(choice theory)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Glasser는 1984년에 『통제이론, 우리가 우리의 삶을 어떻게 통제하는가에 대한 하나의 새로운 설명(Control theory, A New explanation of how we control our lives)』이란 저서를 출간하였으며, 그리하여 그 동안 그의 이론을 통제이론(control theory)이라고 일컬어왔다. 통제이론이란 인간 개인이라는 생명체가 하나의 통제체제로서 어떻게 뇌의 작용에 의해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가를 설명해주는 이론으로서, 여기서 통제의 의미는 자신의 삶에 성취감을 북돋워주고 또한 자신의 삶을 통제하는 긍정적인 개념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통제라고 하면 정치적경제적사회적 힘을 가진 소수가 상대적으로 힘이 없는 대다수의 사람들을 지배하는 부정적인 개념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어서 최근에 Glasser(1998)는 그의 이론의 명칭을 통제이론에서 선택이론(choice theory)으로 바꾸었다. 선택이론은 ꡐ외부통제심리학ꡑ과 반대되는 입장, 즉 ꡐ내부통제심리학ꡑ으로서 현실요법이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행동선택에 대한 책임을 갖게 함으로써 그의 삶의 방향을 바꾸는 데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를 설명한다. 선택이론의 일반적 목표는 내담자로 하여금 책임질 수 있는 방식으로 자신의 욕구들을 충족시키도록 도울 수 있는 선택을 하고, ꡐ질적 세계ꡑ를 창조하는 견지에서 자신이 바라는 것을 얻도록 도와주는 것이다(Nystul, 1999). Wubbolding(1986)은 현실치료의 전개에 사용되는 Glasser의 선택이론 원리를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요약하여 설명하고 있다.
첫째, 인간은 자신의 욕구와 바람(want)을 충족하기 위해 행동한다. 욕구는 유전적인 속성으로 생래적이고 보편적인 것이고, 유전자 속에 지시된 것이나 바람은 특이하고 개인적인 것이다. 인간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으면 만족해한다. 따라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을 때까지 계속해서 어떤 활동을 반드시 하게 된다. Glasser(1986)에 의하면, 모든 인간은 5가지의 기본적인 욕구들을 가지고 태어나며, 행복스럽고 균형 있는 삶을 이끌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본적 욕구들이 충족되어야 한다고 한다. 그 5가지 기본적 욕구들이란 생리적 욕구인 생존의 욕구, 정서적(심리적) 욕구인 사랑과 소속에의 욕구(협동), 힘을 얻고자 하는 욕구(능력), 자유로움에 대한 욕구, 재미를 갖고자 하는 욕구이다.
둘째, 개인이 경험하는 환경으로부터 얻어진 지각현상과 자신이 원하는 것과의 차이(좌절)은 행동유발의 원인이 된다.
셋째, 활동하기, 생각하기, 느끼기와 생리기능으로 이루어진 인간의 전행동(全行動, total behavior)은 목적이 있다. 즉, 인간의 행동은 사람이 원하는 것과 지각한 것 사이의 간격을 줄이고자 자신 안에서 고안된 것을 선택한 결과이다.
넷째, 활동하기, 생각하기, 느끼기와 생리기능은 분리될 수 없는 행동요인으로 우리의 내부에서 형성된다.
다섯째, 인간은 감각체계와 지각체계를 통해 세상을 본다는 것이다. 지각체계에는 두 가지 보편적 수준이 있는데, 일차수준의 지각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반면에, 이차수준의 지각은 판단을 내리고 쟁점이나 사건들에 대해 주관적 가치를 부여하고 말이나 행동으로 자신의 입장을 표명하게 하는 차원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사람들의 모든 불행은 실제로는 그 사람 자신의 선택이다. 선택에는 책임이 따르게 되는데, 그 책임이란 자신의 욕구와 목표의 달성에 대한 책임, 자신의 행위에 대한 책임, 자신의 이웃들과의 관계에 대한 책임, 자신이 수행하는 일에 관한 모든 것에 대한 책임, 자신의 삶의 결정에 대한 책임, 자신의 개인적 행복에 대한 책임과 같은 것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