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사회] 성리학의 발전과 그 이론적 심화

 1  [조선시대의 사회] 성리학의 발전과 그 이론적 심화-1
 2  [조선시대의 사회] 성리학의 발전과 그 이론적 심화-2
 3  [조선시대의 사회] 성리학의 발전과 그 이론적 심화-3
 4  [조선시대의 사회] 성리학의 발전과 그 이론적 심화-4
 5  [조선시대의 사회] 성리학의 발전과 그 이론적 심화-5
 6  [조선시대의 사회] 성리학의 발전과 그 이론적 심화-6
 7  [조선시대의 사회] 성리학의 발전과 그 이론적 심화-7
 8  [조선시대의 사회] 성리학의 발전과 그 이론적 심화-8
 9  [조선시대의 사회] 성리학의 발전과 그 이론적 심화-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시대의 사회] 성리학의 발전과 그 이론적 심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사림의 대두

조선 성리학 발전의 초석 - 정암 조광조와 도학정치

조선 성리학의 이론적 심화 -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

성리학 사상 하의 조선 중기 사회상

조선 중기 성리학의 특징
본문내용
사림의 대두

1. 신진사대부(新進士大夫)의 분열

고려 말기 무신세력의 몰락과 권문세족의 횡포로 인한 폐해 속에서, 공민왕의 개혁정치를 통해 신진사대부라는 새로운 사회계층이 중앙정계에 등장했다. 신진사대부는 원과의 문화교류과정에서 선진적인 학문인 성리학을 수용했고, 성리학을 통해서 부조리하고 이율배반적인 사회와 시대를 개혁하고 혁신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우왕 대에 이르러, 신진사대부는 두 개의 파로 갈라지게 되었다. 고려 왕조를 유지하며 현재의 체제 내에서 개혁을 시도하려는 온건파와, 역성혁명(易姓革命)을 통해 새로운 왕조를 창건하려는 급진파로 나뉘게 된 것이다. 이들의 대립은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과 온건파의 대표자격인 정몽주의 죽음으로 인해 급진파의 득세로 막을 내렸다.
1392년 공양왕이 폐위되면서 고려 왕조는 끝이 나고, 태조 이성계를 창시자로 하는 조선 왕조가 시작되었다. 조선 왕조의 창업은 이성계를 중심으로 하는 신흥무인세력과 역성혁명을 꿈꾸던 급진적인 신진사대부들이 결합한 결과였다. 급진적 성향의 신진사대부들은 관학파(官學派) 또는 훈구파(勳舊派)로 불리며 새로운 왕조의 사상적 기반을 제공하게 되었다. 반면 온건한 개혁을 주장하며 조선 왕조의 건국에 참여하지 않은 신진사대부들은 재야로 물러나 훗날 사림(士林)의 모태가 되었다.
관학파는 사장(詞章)을 중시하고 를 국가통치이념으로 내세워 새 왕조의 문물제도 정비와 근세문화 창조에 기여했다. 반면 사림파는 향촌사회에 정착하여 경학(經學)을 중시하고 유교적 철학 연구에 매진했는데, 성종 대부터 중앙정계에 진출하여 관학파를 대신하는 조선 왕조의 새로운 주역이 되었다.
참고문헌

참고자료

도서류
국사편찬위원회 28권「조선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2003)
고영진 (풀빛, 1999)
금장태 (전통문화연구회, 1995)
이동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한국사상사연구회 (예문서원, 2002)

그외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CD EX.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학술 Web DB>한국사 http://ibookpia.dlearni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