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

 1  [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1
 2  [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2
 3  [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3
 4  [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4
 5  [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5
 6  [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6
 7  [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7
 8  [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8
 9  [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9
 10  [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10
 11  [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11
 12  [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12
 13  [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13
 14  [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14
 15  [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15
 16  [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16
 17  [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17
 18  [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18
 19  [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19
 20  [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개론]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춘향가
(1) 춘향가의 형성
(2) 춘향가의 성장과 발전
(3) 춘향가의 계통
(4) 춘향가의 자력(磁力)
(5) 춘향가의 음악적 짜임
2. 심청가
(1) 줄거리
(2) 심청가의 근원설화
(3) 심청가의 특징
(4) 심청가에 대한 해석
(5) 심청가의 배경사상
3. 흥보가
(1) 흥보가의 기원 - 기원설화
(2) 구성 - 작품의 내용적 면에서
(3) 주제
(4) 기능적 구조
4. 수궁가
(1) 형성과정
(2) 등장인물 간의 관계
(3) 수궁가의 특징
① 사회적 제약 속의 풍자와 해학
② 서로 다른 두 공간의 입체화
③ 유혹의 모티브
④ 반복구조와 대립구조
⑤ 판소리 수궁가
(4) 수궁가의 주제
5. 적벽가
(1) 적벽가의 특징
(2) 적벽가의 인물분석과 판소리적 성격
6. 변강쇠가
(1) 변강쇠가의 줄거리
(2) 등장인물의 성격
(3) 갈등구조
(4) 변강쇠가의 주제와 그로테스크
본문내용
1. 춘향가


1. 춘향가의 형성
는 한때 실제인물설이나 중국문학 영향설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근원설화를 바탕으로 형성되었다는 견해가 정설로 굳어진지 오래되었다. 한 남자에 대해 정조를 지킨다는 열녀설화, 원통하게 죽은 여인의 넋을 달랜다는 신원(伸寃)설화, 암행어사가 권력자나 부자의 횡포를 징치(懲治)하고 약자의 한(恨)을 풀어 준다는 암행어사설화, 기생과 양반 자제가 사랑한다는 염정설화, 관리가 평민의 여자를 빼앗으려 한다는 관탈민녀형(官奪民女型)설화 등이 의 근원설화로 탐색되었다. 이 외에 몽상(夢祥)설화, 한시(漢詩)설화, 신물교환설화, 수기(手記)설화 등도 근원설화로 제시된 바 있다. 이 설화들이 의 형성에 일정한 몫을 담당하였을 것이지만 이들을 모두 근원설화로 볼 수는 없다. 의 서사적 골격을 제대로 갖춘 설화를 근원설화로 보아야 할 터인데, 그에 적실하게 부합되는 단일한 설화가 없으니 문제가 된다. 현재로서는 대체로 는 관탈민녀형설화를 중심축으로 하고 여타의 다양한 설화들을 종속설화로 수용하여 이루어졌다고 이해하면 무방할 듯하다. 한편, 판소리의 무가기원설(巫歌起源說)에 주목하여 는 ‘근원설화 → 춘향가’의 단순한 과정이 아니라 ‘춘향굿 단계 → 춘향소리굿 단계 → 춘향소리 단계’라는 여러 단계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되었다는 견해도 제시되었다.
가 민중예술의 하나로 소리판에 그 모습을 드러낸 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는 없다. 그런데 충청도 목천(木川) 사람인 만화 유진한(晩華 柳振漢)이 호남을 여행하면서 광대들이 공연하던 를 듣고 지은 (1754년, 영조 30년)를 통해 의 대체적인 등장시기를 짐작할 수 있다. 이 작품이 의 기본 줄거리를 두루 갖추고 있으므로 18세기 중엽에는 이미 골격을 갖춘 가 호남지역에서 널리 불렸으며, 양반층의 관심을 끌 만큼 독자적인 예술성을 일정하게 확보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는 이보다 상당히 앞선 시기에 등장했다고 보는 것이 자연스럽고, 그것은 대체로 17세기 후반인 숙종 연간의 일로 추정할 수 있다. 물론 이 시기의 는 문학적 층위의 사설도 짧고 거칠었으며, 음악적․연극적 층위에서도 그다지 세련되지 못한 소박한 형태였을 것이다.
참고문헌

박정운 “의 교육방법 연구”, 1999
설중한, 판소리사설연구, 국학자료원, 1994
신향숙, 판소리 文學의 神話, 박이정, 1997
동국대 고전산문연구모임, 우리 古典 우리 판소리, 한샘, 1994
백대웅 다시보는 판소리. 어울림.
판소리학회지음. 판소리의 세계. 문학과 지성사.
판소리 문학론 / 정병헌 / 새문사 / 1993
한국사전연구사간 국어국문학사전)
판소리사설과 장단의관계에 관한 연구-김용한-
판소리小史-신구문화사-
판소리사설연구-설중환 국학자료원
판소리의 이해-조동일 창비신
판소리의 이해- “ 변강쇠가」의 미적특질” 판소리 학회 1996
변강쇠가의 해결 될 수 없는 갈등과 그로테스크-성균어문 연구 1996 김창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