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 백석 시의 작품 분석과 작품 평론

 1  [백석] 백석 시의 작품 분석과 작품 평론-1
 2  [백석] 백석 시의 작품 분석과 작품 평론-2
 3  [백석] 백석 시의 작품 분석과 작품 평론-3
 4  [백석] 백석 시의 작품 분석과 작품 평론-4
 5  [백석] 백석 시의 작품 분석과 작품 평론-5
 6  [백석] 백석 시의 작품 분석과 작품 평론-6
 7  [백석] 백석 시의 작품 분석과 작품 평론-7
 8  [백석] 백석 시의 작품 분석과 작품 평론-8
 9  [백석] 백석 시의 작품 분석과 작품 평론-9
 10  [백석] 백석 시의 작품 분석과 작품 평론-10
 11  [백석] 백석 시의 작품 분석과 작품 평론-11
 12  [백석] 백석 시의 작품 분석과 작품 평론-12
 13  [백석] 백석 시의 작품 분석과 작품 평론-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백석] 백석 시의 작품 분석과 작품 평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작품분석
1. 여승
2. 모닥불
3. 산비
4. 초동일
5. 고방
Ⅲ. 백석의 작품 평론
Ⅳ. 결론
본문내용
80년대 중반까지 한국문학사에 단 몇 줄로 기록되던 백석과 그의 시는 요절해버린 시인 기형도가 1987년 신문지상에 소개함으로써 세인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그리고 1988년에 취해진 재북?월북 작가들에 대한 해금조치는 풍속의 세계 속에서 웃음 짓는 백석의 얼굴을 정면에서 바라보게 하였다.
하지만 민족의 생존이 의문시되던 식민지라는 당대의 현실 속에 백석은 한국 최고의 비가(悲歌)를 남긴 채 분단이라는 역사의 이정표 앞에서 그 모습을 감추었다. 해방 후 1961년까지 조선작가동맹에 소속된 백석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기초한 시편들을 조선문학지에 발표하다가 그 행적이 끊겼던 것이다.
얼마 전 소설가 송준씨가 입수하여 공개한 자료(백석의 부인 이윤희씨와 그 가족들의 편지)에 의해 그간 의문시되었던 북한에서의 백석의 행적이 새롭게 드러나게 되었다.공개된 자료에 의하면 백석은 천리마 운동이 한창이던 1959년에 당성이 약한 것으로 지목 받은 작가들을 지방으로 추방시켰던 일명 붉은 편지 사건에 의해 압록강 인근인 양강도 삼수군으로 쫓겨 내려간 것으로 확인된다.또한 1963년 북한 협동농장에서 51세에 사망한 것으로 국내에 알려진 것과는 달리,백석은 그 곳에서 서툰 농사일을 하면서 젊은 문학도들을 양성하다 1995년 1월 8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것을 알 수 있다.

Ⅱ. 작품분석

1. 여승

여승?에는 여승이 된 한 여인의 간고한 생애가 시적 주체의 회상 속에 재구성되어 압축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ꡒ평안도의 어늬 산 깊은 금덤판 / 나는 파리한 여인에게서 옥수수를 샀다 / 여인은 나어린 딸아이를 따리며 가을밤같이 차게 울었다ꡓ는 회상으로 제시된 여인의 생애의 한 장면이다. 시적 주체의 회상 속에 재구성된 데서도 드러나듯 여인의 생애에 관한 이야기는 시인의 마음 속에 오랫동안 잠겨 있다가 형상화되었다고 하겠고 그러면서 그 이야기에는 창작자의 형언할 수 없이 안타까운 마음이 스며들어 있다고 하겠다. 그렇지만 여인의 생애에 관한 이야기가 단지 시인의 안타까운 마음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에 그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오히려 시인은 여승의 생애에 관한 이야기를 소중하게 시로 형상화하고 싶었을 듯하고 자신의 감정 표현은 그에 수반되는 사항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바다와 나비?에 대해 회화적 기법의 도입을, ?여승?에 대해 소설적 기법의 도입을 운위하는 논리는 얼마나 타당성을 지니는가. ?바다와 나비?의 선명한 이미지에서 회화적 기법을 찾고 ?여승?의 생애에 관한 서사에서 소설적 기법을 찾는 것은 얼핏 보아 타당하다고 생각될 여지도 없지 않다. 하지만 그러한 피상적 관점이 경직되게 적용되어 이미지 묘사와 사건 서술이 시에서 비본질적인 것으로 간주될 때 문제가 발생한다. 나비의 이미지와 여인의 생애에 관한 서사가 엄연히 ?바다와 나비?와 ?여승?의 핵심적 자질임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비시적 요소로 몰아내는 것은 심각한 시각 장애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아무래도 그것은 시에서 율격을 음악적 기법의 도입이라고 보고 비시적 요소로 취급하는 것과 비슷한 수준의 잘못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