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 유아교육에 있어 도덕성발달과 도덕성교육 및 언어발달과 언어교육 분석

 1  [유아교육] 유아교육에 있어 도덕성발달과 도덕성교육 및 언어발달과 언어교육 분석-1
 2  [유아교육] 유아교육에 있어 도덕성발달과 도덕성교육 및 언어발달과 언어교육 분석-2
 3  [유아교육] 유아교육에 있어 도덕성발달과 도덕성교육 및 언어발달과 언어교육 분석-3
 4  [유아교육] 유아교육에 있어 도덕성발달과 도덕성교육 및 언어발달과 언어교육 분석-4
 5  [유아교육] 유아교육에 있어 도덕성발달과 도덕성교육 및 언어발달과 언어교육 분석-5
 6  [유아교육] 유아교육에 있어 도덕성발달과 도덕성교육 및 언어발달과 언어교육 분석-6
 7  [유아교육] 유아교육에 있어 도덕성발달과 도덕성교육 및 언어발달과 언어교육 분석-7
 8  [유아교육] 유아교육에 있어 도덕성발달과 도덕성교육 및 언어발달과 언어교육 분석-8
 9  [유아교육] 유아교육에 있어 도덕성발달과 도덕성교육 및 언어발달과 언어교육 분석-9
 10  [유아교육] 유아교육에 있어 도덕성발달과 도덕성교육 및 언어발달과 언어교육 분석-10
 11  [유아교육] 유아교육에 있어 도덕성발달과 도덕성교육 및 언어발달과 언어교육 분석-11
 12  [유아교육] 유아교육에 있어 도덕성발달과 도덕성교육 및 언어발달과 언어교육 분석-12
 13  [유아교육] 유아교육에 있어 도덕성발달과 도덕성교육 및 언어발달과 언어교육 분석-13
 14  [유아교육] 유아교육에 있어 도덕성발달과 도덕성교육 및 언어발달과 언어교육 분석-14
 15  [유아교육] 유아교육에 있어 도덕성발달과 도덕성교육 및 언어발달과 언어교육 분석-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유아교육] 유아교육에 있어 도덕성발달과 도덕성교육 및 언어발달과 언어교육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유아교육과 도덕성 발달
1. 도덕성의 개념과 구성 요인
2. 도덕성 발달에 관한 이론
1) 학습 이론
2) 인지 이론
3) 정신분석 이론
3. 도덕성 기초교육의 의미와 필요성
Ⅲ. 유아 언어 발달
1.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
2. 음성언어 발달
Ⅳ. 문자 언어 발달
1. 문해의 발달
2. 읽기 발달
3. 쓰기의 발달
Ⅴ. 언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유아의 개인적 요인
2. 가정환경 요인
3. 교육 환경 요인
Ⅵ. 유아 교육기관에서의 언어 교육
1. 언어 발달을 위한 환경 구성
2. 언어 발달을 위한 인적 환경
3. 교사의 역할
Ⅶ. 유아의 언어영역 평가
Ⅷ. 결론
본문내용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교육 가능연령(敎育可能年齡)에 대한 암묵적 합의는 대체로 6-7세 전후였다. 따라서 1970년대 후반까지 대다수 국가의 공교육 시작연령은 6세를 전후한 시기였으나, 교육가능연령이 점차 낮아진다는 판단에 따라 오늘날에는 3세를 공교육의 시작점으로 보고 있는 국가가 많아지고 있다.
국가 책임하의 공교육을 3세로 낮게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이미 프랑스와 일본이 앞장서고 있고, 대다수의 OECD 국가들도 이에 보조를 맞추려 애쓰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을 단순히 돈 많은 선진국들의 사치스런 조기교육 확장 정책으로 폄하하면 안된다. 취학전의 3-6세 사이의 방치는 엄청난 교육학적 손실이라는 증거가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인간의 두뇌활동을 거울 보듯 들여다 볼 수 있는 의학 장치들이 개발되면서부터 인간의 학습가능시기가 3세부터라는 점은 이제 아주 분명해졌다. 그리고 학습활동은 결국 두뇌의 활발한 활동으로 관찰된다는 것이 확실해 지면서, 어떤 종류의 경험이 두뇌 발달과 학습성과를 올리는데 좋은 지도 많이 밝혀졌다.
3-6세의 시기는 창의성 발달, 정서적 안정성(애착) 그리고 사회 도덕적 성향(선악 개념, 신뢰심, 자기통제력)의 결정적 시기라는 점이 분명해졌다. 결정적 시기란 교육학과 심리학의 전문용어로서 ꡒ심리적 특성마다 가장 잘 발달되는 시기가 있는데, 그 시기가 지나면 그 특성의 발달이 어려워진다ꡓ는 의미로 쓰인다.
이미 쟝 피아제도 2-7세에 해당하는 시기를 전 조작기로 명명하고 인간의 일생 중에서 창의성이 폭발적으로 거침없이 나타나는 시기로 보고 있다. 이 시기에 창의성을 조장하는 경험을 넓고 깊게(wide and deep)하게 되면 창의성이 개발되지만, 만약 잘못 다루게 되면 창의성의 싹이 여지없이 망가져 버리게 된다고 한다. 이탈리아 북부의 레지오 에밀리아 지역이 창의성 개발의 첨단지역이라고 한다면, 우리나라는 어쩌면, 그 반대편의 첨단지역이라 할만하다.
사회 도덕적 성향도 마찬가지이다. 정신분석학에서는 인간의 도덕덕 성향을 결정하는 초자아(超自我:superego)가 6세 이전에 형성된다고 보고 있으며, 인간과 사회 생활에 대한 기본적인 신뢰감(basic trust)은 오히려 그 보다도 더 일찍 형성된다고 보고 있다.
오늘날 우리 한국사회에서 보이는 사회적 불건전성과 도덕적 피폐의 현상, 그리고 얼마 전 한국 유니세프의 조사 보고서에 나타난 젊은이들의 정서적 공허함의 뿌리는 3-6세 교육에 대한 철저한 무관심에 있는지 모른다. 미국이 지난 35년간 헤드 스타트 프로그램으로 3-6세를 철저하게 돌보아서 사회적 혁신의 성과를 거두는 동안 우리는 그들을 철저히 돌보지 않아서 뼈아픈 대가를 치루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교육학과 심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 3-6세의 시기는 적어도 창의성과 사회 도덕적 성향의 발달이라는 점에서 최적의 교육시기라는 것이 분명하며, 따라서 이 시기의 교육적 방치는 전 국민의 창의성과 사회 도덕성의 개발을 포기하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이 두 특성의 결여가 바로 지금 한국사회가 맞고 있는 최대의 위기 아닌가? 교육 문맹자들, 특히 유아교육애 대한 문맹자들은 이 엄청난 책임을 져야할 것이다.

Ⅱ. 유아교육과 도덕성 발달

1. 도덕성의 개념과 구성 요인

도덕성(morality)이 무엇인지 한 마디로 정의하기란 매우 어렵지만 도덕성을 ?도덕적 품성?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덕의 개념을 진단함으로 해서 더 명백해지리라 본다. 도덕이란 ?사회생활에 있어서 사람이 사람으로서 행하여야 하는 이법과 그것을 자각하여 실천하는 행위, 법률적 강제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내면적인 것임? 종교적 측면에서 소태산은 도덕이란 그 범위가 넓지만 도덕의 제목만을 해석하면 ?도란 무엇이든지 떳떳이 행하는 길이며, 덕이라 하는 것은 어느 곳 어느 일을 막론하고 오직 은혜가 나타나는 것?이라 했다.
도덕적 태도에 관한 개념이 Freud, Durkheim, Parsons등의 사회 심리학자들의 이론이 기초가 된 이래 ?사회심리학의 근본 문제는 사회가 개개인을 도덕화하는 것이다?하고 말한 Mcdougall의 견해는 공감할 수 있게 되었다.
Freud와 Durkheim을 따라, 대부분의 사회과학자들은 도덕화란 문화적으로 주어진 외부의 규칙을 보상, 징벌, 동일화 현상을 통해 내면화하는 과정으로 보았다. 의심의 여지없이, 도덕화 과정의 목적은 내면적 기준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라는 것이며 이러한 내면적 기준은 아동의 마음에 반하여 주어진 외부적 금기가 단순히 ?새겨지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라는 가정을 부인할 수 없다. Piaget, Baldwin과 같은 발달심리학자의 견해에 따르면, 내면적 도덕 기준은 오히려 초기의 태도와 개념들의 전이된 형태의 결과이다. 이러한 전이는 아동이 끊임없이 상호 작용하는 사회적 세계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그 사회적 세계의 질서에 대한 인지적 성장과 함께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