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리더십]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를 통해본 리더십 고찰

 1  [이순신 리더십]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를 통해본 리더십 고찰-1
 2  [이순신 리더십]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를 통해본 리더십 고찰-2
 3  [이순신 리더십]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를 통해본 리더십 고찰-3
 4  [이순신 리더십]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를 통해본 리더십 고찰-4
 5  [이순신 리더십]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를 통해본 리더십 고찰-5
 6  [이순신 리더십]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를 통해본 리더십 고찰-6
 7  [이순신 리더십]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를 통해본 리더십 고찰-7
 8  [이순신 리더십]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를 통해본 리더십 고찰-8
 9  [이순신 리더십]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를 통해본 리더십 고찰-9
 10  [이순신 리더십]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를 통해본 리더십 고찰-10
 11  [이순신 리더십]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를 통해본 리더십 고찰-11
 12  [이순신 리더십]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를 통해본 리더십 고찰-12
 13  [이순신 리더십]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를 통해본 리더십 고찰-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이순신 리더십]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를 통해본 리더십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
Ⅲ. 해금의 시대와 충무공 이순신 장군
Ⅳ.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활동 공간 : 한반도 남해안의 사수
1. 좌수영 시기(1591년 2월 13일˜1593년 6월)
2. 한산도 시기(1593년 7월˜1597년 2월)
3. 우수영․고하도․고금도 시기(1587년 8월˜1598년 11월)
Ⅴ. 이순신과 원균의 역적시비
1. 상반된 역사 기록
2. 당파에 따라 실록 달라져
3. 실제의 역사
4. 군부, 정치적으로 이용
Ⅵ.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리더십
Ⅶ. 결론
본문내용
오늘날 정보사회는 지식과 기술의 공유를 모색하고, 산업국가는 경제적 번영을 추구하지만, 신의(信義)사회는 정의사회 특히 경제정의의 구현을 목표로 한다. 이 난세에서 이순신 같은 위대한 인격자로서의 국가 지도자라야 진정한 신의사회의 사명인으로서 존경의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앞에 전개되고 있는 풍요한 물질이나 아름다운 자연은 일시적인 감탄, 공포, 증오의 대상 외는 아무 것도 아니다.
이순신의 생애를 되돌아 볼 때, 그 인격의 불가대치성(不可代置性)과 절대적 가치성은 물론, 존엄성과 품위의 깊이와 높이 그리고 넓이를 입체적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접근하지 않고서는 정확하게 헤아릴 수 없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그의 살신보국(殺身報國)과 구국제민(救國濟民)의 사명인다움을 다각적으로 부각시키고자 한다. 현재 「충무공전서」를 비롯하여 이순신에 대한 수많은 저서가 출간되고 있다. 그러나 이 가운데는 이순신을 단지 전공을 세운 한 장수란 차원에서 각색하고, 중구난방의 사료를 아전인수식으로 미화?열거한 것이 많다.
그러나 극한적인 악조건의 전투환경 속에서 이순신이 발휘한 초인간적인 리더십에 초점을 맞춰 그의 인격자로서, 지성인으로서, 엘리트로서, 장수로서, 영웅으로서 그리고 사나이 대장부로서 묵묵히 맡은 바에 최선을 다한 행적을 현대적 개념의 리더십 틀에 맞춰 조명해보도록 하겠다.

Ⅱ.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

충무공의 휘(諱)는 순신(舜臣)이고 자는 여해(汝諧)며 성은 이씨이고 본은 덕수(德水)인데 충무는 1643년(인조 21년) 공이 순국후 내린 공의 시호(諡號)이다.
공은 1545년 3월 8일(음력) 한성부건천동(서울 인현동)에서 부친 덕연군 이정의 사형제중 셋째아들로 태어나셨다. 공의 모친 초계(草溪) 변씨의 꿈에 시부(媤父)가 나타나 말씀하시기를 " 이 아이는 반드시 귀인이 될 것이니 이름을 순신이라고 하라 " 고 한 이조(異兆)가 있어서 선공이 그대로 명명을 했던 것이다.
공은 어려서부터 무인의 용력(勇力)과 문인의 재지를 겸비하여 문학을 공부하다가 뜻한 바 있어 22세에 들어서 무예를 연마하기 시작하여 32세 때 비로소 무과에 등제하셨다.
그래서 그 해 겨울에 일종의 초급장교인 권관(權管)으로 임명되어 함경도에 부임하니 공으로서는 첫 벼슬에 오른 셈이다.
공은 말과 행동이 엄격하고 지혜와 용맹이 특출하였으므로 다른 무사들로부터 존경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학문과 서예에까지도 실력을 겸비하셨다.
소년시절부터 같은 동리(洞里)에서 자라온 유서애(柳西厓)는 그의 초인적인 능력을 일찍이 알아 왔는데 그때에 전랑(銓郞)(정부의 인사관)이었던 이율곡이 서애를 통하여 상면을 청하였으나 " 우리는 종친이라 당연히 만나야 하지만 전랑으로 있을 때만은 만날 수 없다 " 고 거절하였으니 이는 그의 청렴함을 단적으로 말해 주는 것이리라.
국경경비에 3년간 임하다가 훈련원을 거쳐 36세가 되던 해 전라도 발포만호(鉢浦萬戶)로 임명되어 포구를 수비하셨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