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

 1  [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1
 2  [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2
 3  [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3
 4  [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4
 5  [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5
 6  [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6
 7  [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7
 8  [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8
 9  [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9
 10  [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10
 11  [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11
 12  [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12
 13  [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13
 14  [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14
 15  [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15
 16  [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16
 17  [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17
 18  [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18
 19  [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19
 20  [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경제론] 한중 경제 관계와 동북아 통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한중 경제관계의 현황 및 특성------------------------------------ 4
1) 세계 경제의 국제화와 경제 블록화 추세
2) 한중 협력 현황 개관


2. 한중 경제의 현황----------------------------------------------5
1) 한중 경제통상관계 개관
2) 교역현황
3) 한국의 대중국투자
4) 중국의 대한국투자
5) 분야별 경제협력
6) 한중간의 통상마찰 및 장애요인
3. 한중 FTA---------------------------------------------------17
1) 한중FTA의 의의
2) 한중 FTA의 필요성
3) 농업부분의 파급효과와 쟁점
4) 제조업에서의 파급효과와 쟁점
5) 한중 FTA의 실익과 전망
4. 한국기업의 중국진출 성공사례------------------------------------24
1) 삼성전자
2) 오리온 초코파이
3) 롯데제과
5. 한국기업의 중국진출 실패사례------------------------------------26
1) 중국 투자기업의 사업 철수 현황
2) 중국진출 실패사례의 분석
3) 중국진출 실패의 원인분석
6. 한국기업의 대응방안-------------------------------------------28
1) 확실한 비전을 제시하고 중국시장 진출을 본격화
2) 세분화된 목표시장을 명확히 정의하고 역량을 집중
3) 합작 진출로 시장 접근을 높이고 지적 재산권 문제를 해결
4) 최고급 시장의 하단부분을 공략
5) 궁극적으로 현지화를 지향
7. 한국기업의 중국진출로 바라본 경제협력 전망-------------------------30
8. 한중경제 협력의 전망과 미래-------------------------------------30


9. 동북아 경제 공동체의 전망--------------------------------------31
1)동북아 경제통합의 개관 및 필요성
2)동북아 경제협력의 현재 상황과 전망
10. 동북아 경제통합에 대한 정리와 한국의 전략------------------------35
본문내용


1. 한•중 경제관계의 현황 및 특성

1) 세계 경제의 국제화와 경제 블록화 추세
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경제는 뚜렷한 국제화 추세를 보이며 발전하여 세계 각국의 무역성장률은 경제성장률을 초과하고 있다. 각국은 자국의 확장과 동시에 해외시장도 적극 개척하여 발전도 국제경제 왕래로부터 힘입은 바가 컸다. 한편, 세계 경제의 국제화 추세와 동시에 경제블록화 추세도 진전되고 있다. 1960년에 유럽자유무역연맹이 성립된 후 지금까지 각종 형식과 규모를 갖춘 경제블록이 24개가 형성 되였으며, 이들의 회원국은 140여 개 국가에 달한다. 경제블록화가 무시할 수 없는 경제적인 의의를 지니고 있기는 하지만, 아세아, 태평양지역의 국가들은 사회제도의 차이, 경제발전수준차이, 역사적인 문제 등의 원인에 의해 앞으로도 한동안은 경제블록형성이 다소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을 포함한 이 지역국가들은 자원, 산업, 기술 등 다방면이 있어서 강한 상호보완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양자간 무영왕래 및 협력강화가 경제블록을 대신할 것이며, 이는 세계경제발전의 조류에도 부합하고 각국의 경제적 이익에도 부합한다.

2) 한중 협력 현황 개관
(1)한중 정무관계 현황
1980년대 말 구소련 및 동구권의 붕괴 이후, 한국정부는 세계적인 화해와 협력의 조류에 부응하여 북방외교정책을 대대적으로 추진하였으며, 그 결과 1992년 8월 중국과 수교를 맺게 된다. 양국 수교 후 불과 십 여 년의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한중 양국 관계를 비롯한 정상간 교류는 물론 당•의회 등 상호 고위급 인사 교류 등의 계기를 통해 점차 활성화되고 있으며, 양국은 지난 2003년 7월 노무현 대통령 방중 시 "전면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합의하고 2005년 11월 호금도(胡锦涛) 국가주석의 방한을 통해 이를 한 차원 더 심화 발전시켜 나가기로 합의한 바 있다. 그간 한•중 양국은 지리적 인접성, 문화적 유사성, 상호보완적 경제구조 등
참고문헌

- 이근(2000), 『중국의 기업과 경제』, 북21
- 한국무역협회무역연구소(2005), 『한국경제의 희망 BRICS브릭스』, 월간조선사

- 김선준(2002),“우리나라 대중국 투자기업의 철수 현황과 대응”,[한국수출입은행]
- 김승남(2004), “한국 중소기업의 중국진출 사례연구”, [한국중소기업학회]
- 남영숙 외(2004), “한중 FTA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주요 쟁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한충민(1991), “해외소비자의 한국제품 구매 행위와 마케팅 활성화 방향”,
[한양대학교 아태지역 연구센터]
- 한충민(1993), “고유브랜드 수출 촉진을 위한 기업의 전략”, [한양대학교 아태지역 연구센터]
- 한충민(1993), “97년 논문 공모 中 중국진출 한국 기업의 마케팅 사례 연구”,
[한양대학교 아태지역 연구센터]
- 허원무(2002), “중국에 적합한 마케팅전략7”, [LG주간경제]
- SERI(2001), “중국시장 진출의 성공요인”, CEO Information 제319호
- 두산 세계대백과 사전


- http://www.china.or.kr
- http://www.kotra.co.kr/KOTRA CHINA
- http://www.seri.org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