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말 문인지식층의 동인의식과 문명의식

 1  고려 말 문인지식층의 동인의식과 문명의식-1
 2  고려 말 문인지식층의 동인의식과 문명의식-2
 3  고려 말 문인지식층의 동인의식과 문명의식-3
 4  고려 말 문인지식층의 동인의식과 문명의식-4
 5  고려 말 문인지식층의 동인의식과 문명의식-5
 6  고려 말 문인지식층의 동인의식과 문명의식-6
 7  고려 말 문인지식층의 동인의식과 문명의식-7
 8  고려 말 문인지식층의 동인의식과 문명의식-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 말 문인지식층의 동인의식과 문명의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14세기의 역사적 배경
2. 고려 문인들의 大元帝國下 의 세계 경험
3. 文明교체기에 있어서 東人意識과 문명의식 고려 문인들의 大元帝國下 의 세계 경험
4. 목은 작품에서 나타나는 그의 심정
4. ‘사(士)’로서의 자각(自覺)에 따른 문학의 논리
5. 목은 문학에 대한 평가 문제
6. 맺음말
본문내용
1. 14세기의 역사적 배경

14세기는 역사상 대전환기였다. 서구에서 르네상스운동이 14세기에 개시되었는데 같은 시기동양에서는 유라시아 대륙으로 그 활동영역을 넓혔던 몽골의 대원제국(大元帝國)이 막북(漠北)으로 철수하고 명조(明朝)가 출현하면서 한반도에도 고려와조선의 왕조교체가 일어난 것이다. 조선왕조의 성립에 대해서는 사대부사회, 사대부문화로서 의미가 부여되고 있다. 사대부는 유학―성리학을 사회의 지도이념으로 수용하였던바 무엇보다 문학이 그 시대 성격을 풍부하고도 뚜렷이 대변하고 있는 것이다.
필자는 일찍이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에 의한 고문창도가 이 역사전환의 정신적 준비로서 의미가 있었음을 논해보았다. "고문창도를 통해서 사대부문학이 형성되어나갔을 뿐 아니라, 사대부다운 가치관과 인간형이 정립되어, 사대부 계급은 다가온 역사전환기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 역사의 무대에서 주역을 담당했던 인물을 손꼽자면 정몽주(鄭夢周)와 정도전(鄭道傳)을 비롯해서 김구용(金九容), 이숭인(李崇仁), 권근(權近) 등이다. 그런데 이들 제제다사와 익재 이제현 사이에는 목은 이색(牧隱 李穡)이 존재한다. 익재의 계승자로서 역사적 영향력을 확장시킨 것은 목은의 공이었다.


2. 고려 문인들의 大元帝國下 의 세계 경험

원제국의 판도 속으로 칭기스칸과 그 후계자들이 공략했던 땅이 전부 포괄되었던 것은 아니었으나 『제왕운기(帝王韻紀)』에서 이승휴(李承休, 1224~1300)가 “영토의 광대, 인민의 다중이 개벽 이래 견줄 데 없다”고 찬탄했던 그대로 공전절후의 대제국이 들어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