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기구론] 기후변화와 국제기구 -교토체제의 성립과 그에 따른 국제기구들의 동향

 1  [국제기구론] 기후변화와 국제기구 -교토체제의 성립과 그에 따른 국제기구들의 동향-1
 2  [국제기구론] 기후변화와 국제기구 -교토체제의 성립과 그에 따른 국제기구들의 동향-2
 3  [국제기구론] 기후변화와 국제기구 -교토체제의 성립과 그에 따른 국제기구들의 동향-3
 4  [국제기구론] 기후변화와 국제기구 -교토체제의 성립과 그에 따른 국제기구들의 동향-4
 5  [국제기구론] 기후변화와 국제기구 -교토체제의 성립과 그에 따른 국제기구들의 동향-5
 6  [국제기구론] 기후변화와 국제기구 -교토체제의 성립과 그에 따른 국제기구들의 동향-6
 7  [국제기구론] 기후변화와 국제기구 -교토체제의 성립과 그에 따른 국제기구들의 동향-7
 8  [국제기구론] 기후변화와 국제기구 -교토체제의 성립과 그에 따른 국제기구들의 동향-8
 9  [국제기구론] 기후변화와 국제기구 -교토체제의 성립과 그에 따른 국제기구들의 동향-9
 10  [국제기구론] 기후변화와 국제기구 -교토체제의 성립과 그에 따른 국제기구들의 동향-10
 11  [국제기구론] 기후변화와 국제기구 -교토체제의 성립과 그에 따른 국제기구들의 동향-11
 12  [국제기구론] 기후변화와 국제기구 -교토체제의 성립과 그에 따른 국제기구들의 동향-12
 13  [국제기구론] 기후변화와 국제기구 -교토체제의 성립과 그에 따른 국제기구들의 동향-13
 14  [국제기구론] 기후변화와 국제기구 -교토체제의 성립과 그에 따른 국제기구들의 동향-14
 15  [국제기구론] 기후변화와 국제기구 -교토체제의 성립과 그에 따른 국제기구들의 동향-15
 16  [국제기구론] 기후변화와 국제기구 -교토체제의 성립과 그에 따른 국제기구들의 동향-16
 17  [국제기구론] 기후변화와 국제기구 -교토체제의 성립과 그에 따른 국제기구들의 동향-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기구론] 기후변화와 국제기구 -교토체제의 성립과 그에 따른 국제기구들의 동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目 次


Ⅰ. 서 론


Ⅱ. 기후변화협약과 교토체제
1. 기후변화협약
2. 교토체제
3. 아태지역신기후협약


Ⅲ. 교토체제와 아태지역신기후협약
; 자유주의와 현실주의의 입장에서
1. 현실주의와 자유주의의 국제기구에 대한 입장
2. 자유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본 교토체제
3. 현실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본 아태기후신협약


Ⅳ.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기구들의 입장
; 국제기구의 분류에 따라
1. 교토체제 지지 입장의 국제기구
(1) ENGO(Environmental NGOs)
(2) BINGO(Business and Industry NGOs)
(3) ONGO(Operational NGOs)
2. 교토체제 반대/상이 입장의 국제기구
(1) BINGO(Business and Industry NGOs)
(2) ANGO(Advocacy NGOs)


Ⅴ. 결 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탈냉전 후 그 동안 저차원의 정치라고 간주되던 환경 문제는 전지구의 평화를 위협하는 기제로 나타나게 되었으며 이제는 환경이 새로운 국제정치의 이슈로 떠올라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고 더 나아가서는 평화를 불안정하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는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그 중에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국제적 협력의 일환으로 기후변화협약과 교토체제가 탄생하였다. 하지만 미국의 교토체제 거부와 함께 아태지역신기후협약이 형성되었고 이는 국제정치의 성격을 잘 대변해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교토체제와 아태지역신기후협약, 두 체제의 형성과 발전, 내용의 측면을 자유주의적․ 현실주의적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국제정치에 대한 시각을 보다 정확히 하는 데에 보고서의 1차 목표가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교토체제에 대한 찬반 입장의 다양한 국제적 행위자들을 살펴봄으로써 환경 이슈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국제사회의 현상들을 조망하는 것에 2차 목표를 두었다.
그러므로 먼저 기후변화협약과 교토체제의 성립과정과 특징을 조망한 후 교토체제와 아태지역신기후협약의 기구에 대한 자유주의적․ 현실주의적 관점의 분석을 사례별로 실시함으로써 국제정치의 특성을 파악해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국제기구 분류에 따른 교토체제에 대한 입장별 정리를 통하여 현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적 활동 상황을 종합해 보고자 한다.


Ⅱ. 기후변화협약과 교토체제

1. 기후변화협약

기후변화에 관한 협약(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은 지구 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한 범지구적 노력의 첫 시도이다. 1979년과 1990년에 열린 제 1,2차 세계기후회의를 통해 추진되었으며 1991년부터 5차례에 걸쳐 개최된 정부 간 협상위원회에서 각국의 입장을 조정하고 주요 쟁점에 관한 토의를 거친 끝에, 1992년 5월 9일 유엔기후변화 협약이 채택되었고 현재 186개국이 비준하고 있다.
참고문헌

박재영(2001), 국제기구론, 서울, 법문사.

에코프론티어(2006), 서스테이너빌리티 Sustainability: New Business Driver, 서울, 어드북스.

조현재, 임상균 전병득, 현경식, 김기철(2006), CO2 전쟁,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Karns, M. P. and Mingst(2004), K. A., International Organizations, Boulder, CO, Lynne Rienner.

Skjærseth, John B. and Skodvin, Tora(2003), Climate change and the oil industry: Common problem, varying strategies,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Toman, Michael A.(2001), Climate change economics and policy: an RFF anthology, Washington DC, Resources for the Future.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이 분야 신규자료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