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연의 레포트

 1  삼국지연의 레포트-1
 2  삼국지연의 레포트-2
 3  삼국지연의 레포트-3
 4  삼국지연의 레포트-4
 5  삼국지연의 레포트-5
 6  삼국지연의 레포트-6
 7  삼국지연의 레포트-7
 8  삼국지연의 레포트-8
 9  삼국지연의 레포트-9
 10  삼국지연의 레포트-10
 11  삼국지연의 레포트-11
 12  삼국지연의 레포트-12
 13  삼국지연의 레포트-13
 14  삼국지연의 레포트-14
 15  삼국지연의 레포트-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삼국지연의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명대의 역사소설
(1) 역사소설이란?
(2) 역사소설의 기원
(3) 중국의 소설 중 왜 역사소설이 먼저 발달 했는가

2. 작자소개

- 나관중 (羅貫中 , 1330-1400)

3. 삼국지의 줄거리

4. 삼국지의 주요 인물

(1) 조조와 위나라
(2) 유비와 촉나라
(3) 손권과 오나라

5. 삼국지의 판본

(1) 진수의
(2) 배송지의
(3) 민간에서 전해오는 삼국지
(4)
(5) 나관중의 와 모종강본

6. 촉한정통론과 그 피해자

7. 정사와 다른 삼국지
(1) 적벽대전에 관해서
(2) 초선은 실제로 존재했는가?
(3) 촉의 2인자는 제갈량인가?
(4) 죽은 공명이 산 중달을 내치다.

8. 삼국지연의의 문학, 예술적 의의와 그 영향

9. 우리나라에 출간된 삼국지의 작가별 차이점

(1) 월탄 박종화의 삼국지
(2) 정비석의 삼국지
(3) 방기환, 이원섭의 삼국지
(4) 이문열의 삼국지
(5) 황석영의 삼국지
본문내용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삼국지연의》의 원명은 삼국지통속연의이며, 나관중(羅貫中)이 쓴 삼국지연의는 진수(陳壽)의 삼국지와 배송지(裴松之)가 주에서 인용한 야사잡기를 근거로 하고, 평화∙잡극 중의 이야기 줄거리를 취하여 씌어진 작품이다. 삼국지연의의 최초 판본은 가정(嘉靖) 원년(1522년)에 간행된 대자본(大字本) 삼국지통속연의이며, 모두 24권 240칙(則)으로 되어 있으며, 처음에 홍치(弘治) 7년(1494) 금화(金華) 장대기(莊大器)가 지은 서문이 있다. 나관중본 이후에 새로운 판본이 대량으로 나와, 어떤 것은 난잡하고 어떤 것은 정교하지만, 모두 나관중본을 위주로 하여 내용의 변동이 그다지 심하지는 않다. 명(明)말 이탁오(李卓吾)는 나본 240칙을 120회로 합하였다. 청 강희제 때 모륜(毛綸)∙모종강(毛宗崗) 부자는 작품 전체에 대해 전면적인 수정과 윤색을 가하여 많은 줄거리가 역사 사실에 부합하게 되었으며, 작품 전체가 치밀하게 다듬어져서 예술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것이 현재 많이 읽히고 있는 삼국지연의이다.


1. 명대의 역사소설
(1) 역사소설이란?
‘역사소설’은 ‘연의소설’ 또는 ‘역사연의소설’이라고도 한다. 연의라는 명칭은 원말명초에 처음으로 사용되었으며, 나관중의 『삼국지통속연의』에 그 원류를 두고 있다. ‘연의’는 장회체 형식을 띠는 형식으로 주로 역사 사실을 기술하는 장르를 말한다. 이런 까닭에 ‘역사소설’과 ‘연의소설’을 합하여 ‘역사연의소설 ’이라고 한다. 역사연의소설은 대부분 왕조의 흥망성쇠를 중심으로 서술하여, 여러 나라의 이야기, 한 왕조에 관한 이야기를 주로 서술하고 있다. 이런 역사연의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을 중심으로 발전한 것이 영웅전기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은 유구한 역사만큼 역사책 또한 풍부하기 때문에 이러한 수많은 역사책들이 역사소설에 무궁무진한 소재를 제공했다. 특히 ‘좌전(左傳)’, ‘전국책(戰國策)’, ‘사기(史記)’ 등의 역사책은 전쟁묘사에 뛰어났으며, 복잡한 역사사건의 처리가 일목요연하여 구조가 짜임새 있으며, 인물의 행동과 줄거리를 통하여 인물의 성격묘사가 뛰어나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이 역사소설 작품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 김장환, 학고방, 2001.
, 심백준 지음;정원기 옮김, 책이있는 마을, 2001
, 이문열 평역, 민음사, 1993
, 김운회, 삼인, 2004
, 이경선, 일지사, 1976
, 강신석, 중국인문과학, 2000.
2-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 김문경, 사계절, 2004
, 서동훈, 김운회, 장정일 공저, 김영사, 2003.
, 이수웅, 다락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