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신화] 단군신화 분석 및 민족주의, 홍익인간과 학교교육

 1  [단군신화] 단군신화 분석 및 민족주의, 홍익인간과 학교교육-1
 2  [단군신화] 단군신화 분석 및 민족주의, 홍익인간과 학교교육-2
 3  [단군신화] 단군신화 분석 및 민족주의, 홍익인간과 학교교육-3
 4  [단군신화] 단군신화 분석 및 민족주의, 홍익인간과 학교교육-4
 5  [단군신화] 단군신화 분석 및 민족주의, 홍익인간과 학교교육-5
 6  [단군신화] 단군신화 분석 및 민족주의, 홍익인간과 학교교육-6
 7  [단군신화] 단군신화 분석 및 민족주의, 홍익인간과 학교교육-7
 8  [단군신화] 단군신화 분석 및 민족주의, 홍익인간과 학교교육-8
 9  [단군신화] 단군신화 분석 및 민족주의, 홍익인간과 학교교육-9
 10  [단군신화] 단군신화 분석 및 민족주의, 홍익인간과 학교교육-10
 11  [단군신화] 단군신화 분석 및 민족주의, 홍익인간과 학교교육-11
 12  [단군신화] 단군신화 분석 및 민족주의, 홍익인간과 학교교육-12
 13  [단군신화] 단군신화 분석 및 민족주의, 홍익인간과 학교교육-13
 14  [단군신화] 단군신화 분석 및 민족주의, 홍익인간과 학교교육-14
 15  [단군신화] 단군신화 분석 및 민족주의, 홍익인간과 학교교육-15
 16  [단군신화] 단군신화 분석 및 민족주의, 홍익인간과 학교교육-16
 17  [단군신화] 단군신화 분석 및 민족주의, 홍익인간과 학교교육-17
 18  [단군신화] 단군신화 분석 및 민족주의, 홍익인간과 학교교육-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단군신화] 단군신화 분석 및 민족주의, 홍익인간과 학교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단군신화의 민속학적, 철학적, 종교적 분석
1. 민속학 분야의 연구
2. 철학․사상 분야의 연구
3. 종교 분야의 연구
Ⅲ. 단군신화와 민족주의
1. 세계관 분석
2. 상징분석
Ⅳ. 홍익인간과 학교 교육
1. 교육 정책 수립과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홍익인간 이념의 중시
2. 학교 현장에서의 구체적이고도 실질적인 홍익인간 교육의 실행
3. 학교가정사회의 연계와 상호 협력을 통한 홍익인간 교육의 실천
본문내용
고조선의 건국신화인 단군신화는 삼국시대를 거치는 동안 세인의 관심에서 거의 잊혀지다시피 하였다. 단군신화 이래 국가가 성립할 때마다 건국 주체들의 필요에 따라 시조와 그 조상이 신화적 인물로 등장하는 신화가 생겨났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 신화들은 고대 건국신화만큼 효력을 발휘하지는 못했다. 민족 전체의 내적 통합과 민족 자존이 중요한 시대적 문제로 떠오를 때, 중세에 만들어진 신화보다 고대 건국신화가 시대사적 역할을 담당해 내게 된다. 이런 사실로 미루어 보아 단군신화는 고조선이 멸망하면서 민간에서 구전된다가 민족적 위기가 심각해진 고려시대에 와서 주목을 받게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단군신화를 비롯한 고대 건국신화는 왜 고려시대에 들어와서 주목받게 되었을까. 고려 역사를 살펴보면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을 얻을 수가 있다. 고려는 잇달아 침략해오는 외적에 맞서 힘겨운 싸움을 지속한 나라였다. 1217년에 수도 개성이 위협당했고, 1231년 몽고군 침략으로 강화도로 천도했으며, 1232년 몽고군이 재침략하여 개성을 유린했으며, 1234년에는 전주와 경주까지 몽고군 말굽에 짓밟히고 말았다. 이규보(1168 ˜ 1241), 一然(1206 ˜ 1289), 이승휴(1224 ˜ 1301)는 이런 시대를 살았던 인물들이다. 그들은 당대 현실에 대하여 남다른 역사의식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역사 의식은 민족의 생존을 지켜나가야 한다는 절박감에 뿌리를 두고 있었으리라 추측된다.
우리 민족사에서 단일국가로서는 처음이었던 고려 시대에 국가 존망의 위기가 계속되자 민족 구성원의 내적 단결을 굳건히 하고 나아가 민족 동질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신화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리란 점을 우리는 쉽게 추론할 수 있다. 계속되는 국난을 극복하는 유일한 방법은 지배층과 피지배층이 혼연일체가 되어 생존을 위해 투쟁하는 방법뿐이었다. 이우성은 ꡒ단군신화가 일연을 거쳐 이승휴에 이르러 민족시조로서의 성격이 명백히 된 것은 끈질긴 저항 정신이 민중 속에 움직이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 움직임이 당시 붓을 쥔 사람들에 의하여 기록과 시로 남게 되었던 것ꡓ(장주근,1995:40)이라고 주장하였는데 그의 이러한 견해는 민족신화 전승이 지닌 민족사적 의미를 정확하게 집어낸 것이라고 판단된다.
민족신화가 지닌 민족사적 의미가 민족 구성원들에게 자긍심과 함께 공동체적 삶의 가치를 일깨워 주었다는 점은 일제 시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일제는 단군신화를 허구라고 비하하여 말살하려 했고 이에 대한 반발로 민족진영에서 단군신화를 구체적으로 연구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결과적으로 일제시대는 단군신화 전승의 역사에서 가장 커다란 위기였고, 반대로 단군신화 전승의 최대 번성기이기도 하였다. 서구열강의 침략으로 민족적 위기가 심화되고 급기야 식민지로 전락하게 되자 그 극복방안을 민족 고유의 정신에서 찾고자 하는 운동이 일어났는데, 단군신앙은 그 운동의 하나로 등장하였다. 3?1 운동이 일어나자 대종교 신도들로 구성된 중광단은 기독교 천도교 학생들과 함께 대대적인 독립만세 시위를 전개하였으며, 다른 종교의 신도들과 대한정의단을 구성하였다. 대한정의단은 독립군 대원을 모집하고 김좌진 등을 초빙하여 군사 훈련을 하였고, 훗날 대한군정부를 조직, 대한군정서로 개칭하여 1920년 청산리 대첩을 이루었다(국사편찬위원회,1997:426)
민족의 위기가 심화되었을 때 단군신화가 우리 민족의 내적 단결을 도모하고 민족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여 우리 민족이 생존권을 지켜나가도록 만든 역사적 사실에서 우리는 민족신화 전승이 지닌 민족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