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해 한용운] 만해 한용운의 사상과 작품세계 분석 고찰

 1  [만해 한용운] 만해 한용운의 사상과 작품세계 분석 고찰-1
 2  [만해 한용운] 만해 한용운의 사상과 작품세계 분석 고찰-2
 3  [만해 한용운] 만해 한용운의 사상과 작품세계 분석 고찰-3
 4  [만해 한용운] 만해 한용운의 사상과 작품세계 분석 고찰-4
 5  [만해 한용운] 만해 한용운의 사상과 작품세계 분석 고찰-5
 6  [만해 한용운] 만해 한용운의 사상과 작품세계 분석 고찰-6
 7  [만해 한용운] 만해 한용운의 사상과 작품세계 분석 고찰-7
 8  [만해 한용운] 만해 한용운의 사상과 작품세계 분석 고찰-8
 9  [만해 한용운] 만해 한용운의 사상과 작품세계 분석 고찰-9
 10  [만해 한용운] 만해 한용운의 사상과 작품세계 분석 고찰-10
 11  [만해 한용운] 만해 한용운의 사상과 작품세계 분석 고찰-11
 12  [만해 한용운] 만해 한용운의 사상과 작품세계 분석 고찰-12
 13  [만해 한용운] 만해 한용운의 사상과 작품세계 분석 고찰-13
 14  [만해 한용운] 만해 한용운의 사상과 작품세계 분석 고찰-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만해 한용운] 만해 한용운의 사상과 작품세계 분석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만해 한용운의 작품세계
Ⅲ. 만해 한용운과 불교유신
Ⅳ. 만해 한용운 시의 문학사적 위치
Ⅴ. 만해 한용운 작품의 독특한 시적 구성
Ⅵ. 만해 한용운 시의 우국과 저항의 고뇌
Ⅶ. 만해 한용운과 님의 침묵
Ⅷ. 결론
본문내용
1879(고종 16년) 1944 시인. 독립운동가. 승려. 아명은 유천(裕天),계명(戒名)은 봉완(奉玩). 법명은 용운, 법호는 만해(萬海 or 卍海). 충남 홍성군 경성면 성곡리에서 옹준의 차남으로 출생. 어려서 서당에서 한학(漢學)을 수학, 1896 년 동학군에 가담하여 투쟁하다 실패하고 설악산 오세암()에 은거, 여기서 수년간 머무르며 불경을 공부하는 한편 근대적인 교양서적을 읽어 서양의 근대사상에 접했다. 특히 중국의 선각자 양계초의 은 그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1901년 14세 때 결혼했던 고향의 처가에 돌아와 약 2년간 은신, 그후 다시 집을 나와 방황하다 1905년 강원도 백담사에서 중이 되었다. 이해 만주와 시베리아 등지를 방황하며 견문을 넓히고 귀국, 안변 석왕사에서 참선하다가 다시 만주와 시베리아로 유랑, 1905년에는 일본에 건너가 토쿄, 교토, 등지의 사찰을 순례하고 조동종대학림에서 3개월간 불교와 동양철학을 연구했다. 1911년 만주의 교포실정을 알아보기 위해 도만했다가 교포로부터 밀정으로 외심을 받아 총격을 당해, 이것이 만성 요두증의 원인이 되었다. 이 무렵 친일 승려 이 희광 일파가 원종종무원을 설립,1910년 일본에 건너가 일본 조동종과 연합맹약을 체결하고 돌아오자 그는 이에 분개,1911년 박한영등과 승려대회를 개최, 친일불교의 획책을 폭로하여 그 흉계를 분쇄하는데 성곡했다. 한편 넓은 견문과 근대적인 지식을 터득한 그는 이같은 인식을 토대로 당시 조선 불교의 침체와 낙후성와 운든주의를 대담하고 통렬하게 분석, 비판 한 대저서 을 발표 , 사상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는 학구적인 입장에서 불교를 해설한 이론서가 아니라 조선불교의 현상을 타개하려는 열렬한 실천적 의도에서 집필한 것이다. 여기 제시된 그의 사상은 자아의 발견, 평등주의, 불교의 구세주의등으로서 이후 그의 모든 행동적, 사상적 발전은 이 사상의 테두리 안에서 행해졌다. 1917년경부터 항일투사로서의 행동을 시작했고,1919년 3.1 운동때는 독립선언준비과정에 최인과 더불어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 3년간의 옥고를 치르는 동안를 집필, 그의 독립사상을 집약적으로 표현했다. 1922년 출옥, 각지로 전전하며 강연을 통해 청년들의 각성을 촉구했고 ,1924년 불교청년회의 총재에 취임,1926년에는 시집 을 간행하여 문단에 큰 파문을 던졌다.그는 이미 1918년 동인들보다 앞서 에 두세 편의 작품을 발효한 일이 있고 후일에도 , , 등 장편소설과 상당수의 한시, 시조를 남겼으나 그의 문학사적 위치는 한 귄으로 결정적인 중요성을 갖게 되었다. 그의 문학사적 위치는 특이한 데가 있다. 문단이라는 것의 권외에 있었던 사실, 수입된 문예사조를 업고 다니지 않았던 사실, 동인지의 구성원이 되지 않았던 사실, 즉 문단적 시인이 아니라는 점에서 그는 당시의 문단이 빠져 이던 반(反)역사성과 비(非)사회성에서 초연히 동떨어져 문단적 테두리 안에서는 결코 가능하지 못했던 문학적 깊이와 폭을 달성했다. 50세를 전후하여 심우장에 온거하면서 1927년에는 신간회의 발기인이 되어 경성지부장을 역임, 1929년 광주학생운동때는 민중대회를 열고 독립운동을 도왔고[조선불교총동맹]과 [만당]의 실질적인 지도자로서 활약, 1931년에는 지를 인수, 간행하여 불교청년운동 및 불교의 대중화 운동을 벌였다. 한편 그는 앞서 말한 소설 및 불교관계의 수많은 논설을 집필했다. 일제가 민족지도자를 강요, 그들의 전쟁목적 수행에 이용했을 때 많은 지사와 영도자가 변절했으나 그는 끝까지 만족의 지조를 지켜 서릿발 같은 절개와 칼날 같은 의기를 말해 주는 수많은 일화를 남겼다. 중풍으로 사망, 유해는 화장되어 망우리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1962년 대한민국건국공로훈장 중장을 수여,1967년 비가 파고다 공원에 건립되었으며, 1973년 이 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