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공학, 디자인] 전통적인 한국 건축미와의 접목 연구

 1  [토목공학, 디자인] 전통적인 한국 건축미와의 접목 연구-1
 2  [토목공학, 디자인] 전통적인 한국 건축미와의 접목 연구-2
 3  [토목공학, 디자인] 전통적인 한국 건축미와의 접목 연구-3
 4  [토목공학, 디자인] 전통적인 한국 건축미와의 접목 연구-4
 5  [토목공학, 디자인] 전통적인 한국 건축미와의 접목 연구-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토목공학, 디자인] 전통적인 한국 건축미와의 접목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서 론
1.1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방법
2. 한국의 전통미 분석
2.1 한국미의 해석
2.2 한국미의 해석을 통한 한국의 건축미적 요소 추출
2.2.1 한국미의 자연스러움 ; 중심/주변부의 구분과 이원적 배치
3. 토목 공학의 간단한 분석
3.1 자연과 관계된 토목공학 분석
4. 토목공학과 전통적 한국 건축미와의 접목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토목공학 디자인 ; 전통적인 한국 건축미와의 접목 연구


1. 서 론

우선 토목공학이란 무엇인지 언급해보자. 토목공학이란 도로 ·하천 ·도시계획 등 토목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는 공학의 한 부문이다. 하지만 이 논문은 현재의 이론과 실제에 집중된 공학의 범위를 벗어난 토목공학과 그 디자인의 접목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현재 토목보다는 건축과 인테리어 쪽에서 담당하고 있는 디자인이라는 부문을 토목공학에 따로 더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 논문을 통하여 토목공학에 공헌하고자 하는 바는 토목 구조물에 있어 디자인 - (한국적인 미적 요소)의 부여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서론에서는 우선 토목공학과 한국적인 미적 요소의 접목이라는 추상적인 문장으로 시작해 보겠다.
1. 1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현재의 토목 구조물은 표현하자면 simplicity(단순함), solidity(견고함) 정도로 표현할 수 있다. 분명 이러한 표현은 실용적인 편리함을 추구하는 이론적인 토목공학의 정의에 있어서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아름다움, 미적인 부분에 있어서 본다면 큰 의미를 찾기 힘든 것이 현재의 토목 구조물이라고 할 수 있겠다. 현재 토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분명 안정성과 실용적인 편리성일 것이다. 또한 실용적이고 안정적인 면에 있어서 현재의 토목은 과거에 비해 훨씬 이상적인 궤도에 올라와 있다. 반면에, 미적인 면에 있어서는 과거보다 현재가 더욱 나아졌다고 할 수 있는 점이 별로 없다. 오히려 과거의 한국의 전통적인 자그마한 돌다리나 목조 구조물들이 더 낫다고 평가되어 지는 경우도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현재의 토목 구조물은 미적인 요소가 많이 부재되어 있다. 물론 모든 토목 구조물이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유명한 영국의 타워 브릿지(Tower Bridge)만 봐도 그 미적 가치는 작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대부분’의 토목 구조물이 그러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구조물의 미적 요소 부재는 어느 분야에서의 부족함으로 오는 것인가? 디자인적인 요소라는 것이 개념 자체에 부재되어 있는 토목공학에 따져야 하는가, 아니면 건축 또는 인테리어에 그 부재를 따져야 하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을 이 논문의 주제로서 답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 김경수, 『건축 미학 산책』(발언, 2000)
- 양용기, 『건축물에는 건축이 없다』(평단문화사, 2006)
- 코바야시 모리타, 『건축미의 과학적 탐구』(보문당,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