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조선시대 유교교육사상과 실학교육사상

 1  [교육학] 조선시대 유교교육사상과 실학교육사상-1
 2  [교육학] 조선시대 유교교육사상과 실학교육사상-2
 3  [교육학] 조선시대 유교교육사상과 실학교육사상-3
 4  [교육학] 조선시대 유교교육사상과 실학교육사상-4
 5  [교육학] 조선시대 유교교육사상과 실학교육사상-5
 6  [교육학] 조선시대 유교교육사상과 실학교육사상-6
 7  [교육학] 조선시대 유교교육사상과 실학교육사상-7
 8  [교육학] 조선시대 유교교육사상과 실학교육사상-8
 9  [교육학] 조선시대 유교교육사상과 실학교육사상-9
 10  [교육학] 조선시대 유교교육사상과 실학교육사상-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학] 조선시대 유교교육사상과 실학교육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교 교육 철학
(1) 교육 이념
(2) 교육 목적
(3) 교육제도와 교육과정
1) 성균관
2) 사학
3) 향교
4) 서원
5) 서당
(4) 유교 교육 사상가
1) 퇴계이황
2) 율곡 이이
3) 권근
2. 실학교육사상
(1) 교육철학
(2) 교육방법
(3) 실학 교육 사상가
1) 유형원
2) 이익
3) 박지원
4) 정약용
5) 이덕무
본문내용
1. 유교 교육 철학

조선시대는 고려 시대에 비해 문물제도가 잘 정비됨에 따라 교육 제도로써 발달을 하게 되었다. 조선은 억불정책을 실행했으며 유교, 곧 성리학의 철학적 이론으로 무장된 도학을 국가이념으로 받아들였다. 세종때에는 유교적 교화체계를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유교 사회의 기틀을 확립했다. 조선 초기에 사화가 일어났고, 조선 중기 16세기에는 도학의 이상정치가 조광조 등 사림파에 의해 추구되다가 실패하게 된다. 결국 이들이 정치의 담당자가 되는 사림정치시대를 열었다. 이 시기부터 소수서원을 비롯하여 서원설립이 활발해지고, 향촌의 유림활동이 확신되면서 지역사회에서 향약을 시행하게 되었다. 그로인해 향촌 질서의 유교적 교화가 심화되었다. 이 시대에 성리학은 발전을 하게 되고, 퇴계이황, 율곡이이, 권근에 이르러 불붙은 사단칠정의 논쟁은 당시 대표적인 성리학의 논쟁으로써, 학문적인 큰 업적을 남기게 된다.
조선 후기에는 가정의례를 중심으로 한 예학의 발전과 성리학적인 논쟁 확대 및 청나라를 배척하는 의리론이 강화되면서 정통 도학이 크게 양향력을 발휘하였다. 하지만 성리학의 사변적 공허성과 의리론의 비실리적 명분주의에 대한 성찰을 하면서 현실 사회제도의 개혁과 실용성을 중요시 하는 새로운 학풍으로써 실학이 등장하였다.
18세기 초, 양명학이 형성되었다. 서유롭 문물을 수용하면서 로마카톨릭교 신앙운동이 일어나자 도학파는 이단사설을 배척하고 정부는 형벌로 금압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다양한 신념들이 서로 비판하는 다원적 상황 속에 놓여 있었다.

(1) 교육 이념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로 학문, 수신, 교육, 정치로 학문과 수신은 수기에 속하고 교육과 정치는 치안에 속하는 것으로 내 자신에 관한 것으로 수업과 수양이 있으며, 수기는 유교의 윤리설이고 치은인 정치설로 상대방이 있는 것으로 정명과 경륜이 필요하다고 하며, 이것을 달성하려면 존양과 궁리가 필요했다. 존양은 존심양성으로써, 수양의 기본으로 선량한 마음을 보존하고 천성을 그대로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마음을 전일히하는 도는 물욕에서 벗어나는 길이라 하였다. 궁리는 도리라는 뜻으로 사리를 추구하고 나아가서는 우주의 근본원리인 천인등을 깨치고 배우고 생각하는 것이다. 또한 성인은 인간 본래의 성품을 다하는 사람, 자기를 완전히 실현하는 사람으로 유교에서의 성인, 요, 순, 주공, 공, 맹 등을 들 수 있다.
결국 성리학이란 성현을 본받아 배우고 수양하는 것으로, 군자의 학으로서 군자에 대해 배우고 노력하는 성인의 경지에 도달하려는 학문이다.
조선 중기 이후부터 성리학이 성행하였는데, 유교주의 이념의 인식을 기약하게 된 것은 조광조, 서경덕, 조식, 이황, 이이 등에 와서 형성 되었다. 이들은 개인적 수양을 위한 학문을 한 동시에 후학을 지도, 일반 민중을 교화한 실천적 교육사상가로 수신, 수기, 청렴절의의 교육을 중요시 하였다. 이는 현대적인 개념에서도 중요한 뜻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조선 왕조에 있어서 교육철학의 전체적인 흐름이 실생활의 분비보다 수기면을 강조한 사음 중심의 교육과 공리공담의 이기설, 이기호발설이나 사단 칠정론에 편중하여 실사실물의 학문을 경시한 것 등은 비판받아야 할 것이다.
18세기 조선사회에는 실지 사정에 입각한 실제적 사고를 세우기 위해 실학파가 대두 되었다.

하고 싶은 말
교육학 시간에 과제로 작성한 레포트 입니다. 조선시대 유교교육사상과 실학교육사상의 교육내용 이념에 대한 비교와 교육사상가들에 대한 내용이 자세히 서술되어 있으며, 부분별로 잘 나누어 져 있어서 부분별 발췌가 편한 자료입니다. 수업시간 중 잘 쓴 레포트라며 교수님께서 직접 말씀해주신 레포트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