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붕당정치

 1  [한국유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붕당정치-1
 2  [한국유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붕당정치-2
 3  [한국유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붕당정치-3
 4  [한국유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붕당정치-4
 5  [한국유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붕당정치-5
 6  [한국유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붕당정치-6
 7  [한국유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붕당정치-7
 8  [한국유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붕당정치-8
 9  [한국유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붕당정치-9
 10  [한국유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붕당정치-10
 11  [한국유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붕당정치-11
 12  [한국유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붕당정치-12
 13  [한국유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붕당정치-13
 14  [한국유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붕당정치-14
 15  [한국유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붕당정치-15
 16  [한국유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붕당정치-16
 17  [한국유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붕당정치-17
 18  [한국유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붕당정치-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유학] 조선시대 성리학과 붕당정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조선후기 유학개관
Ⅱ.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의 형성과 전개
Ⅲ. 퇴․율절충론과 탈주자학적 유학사상의 등장
Ⅳ. 조선의 양명학파
Ⅴ. 호락론쟁과 조선성리학의 재정립
Ⅵ. 조선후기 성리학의 성격
본문내용
율곡 사계의 학통을 이어받아 율곡의 성리학을 주자학의 정통을 이은 것으로 만든 사람은 우암 송시열이다. 우암은 퇴계와 우복의 학설을 공격하고 율곡의 설이 옳음을 논증하는데 평생을 바쳐 노력했는데 이는 당시에 예송문제로 격화된 당쟁과 무관하지 않은 듯하다. 우암이 48세때 유직柳稷등이 율곡의 이기일물설은 주자에 어긋난 육상산의 도기론에 가깝고 율곡이 ‘주자가 참으로 이기호발이라고 생각했다면 주자 또한 과오다’하여 전현을 비방했다는 이유로 율곡의 문묘배향을 반대하자 첫째 주자가 이기호발을 주장하지 않았고 둘째 율곡은 이기는 혼륜무간하다 했으니 일물로 본 것이 아니며 세째 주자도 고승 도겸에게 배운 바 있으니 율곡의 출가도 용납될 수 있다고 율곡을 변호한 일이 있었다. 이러한 일을 계기로 우암은 평생에 걸쳐 율곡의 설과 주자의 성리설이 일치함을 논증하려고 애썼고 그 결과로 나온 저술이 이다. 우암은 다음과 같이 말하여 퇴율의 설이 나누어진 이유를 밝힌다.
“이기는 하나이면서 둘이고 둘이면서 하나이다. 이로 부터 말할 수도 있고 기로부터 말할 수도 있다. 시원으로부터 말할 수도 있고 현상으로 부터 말할 수도 있다. 대개 이기는 혼륜무간渾淪無間하나 이는 스스로 이요 기는 스스로 기이어서 뒤섞이지 않는다. 이런 까닭에 이에 동정이 있다고 말한 것은 이가 기를 주재한 것으로부터 말한 것이고 이에 동정이 없다고 한 것은 기가 운행하는 것으로 부터 말한 것이다. 선후가 있다고 말한 것은 이기의 개념에서 한 말이요 무선후는 이기의 현상에서 한 말이다.”
우암의 이 말만 놓고 본다면 퇴계와 율곡은 각각 이기의 한면을 말한 것으로 근본은 같다고 주장하는것 같다. 우암은 퇴계의 이기호발설이 주자어류의 ‘칠정시기지발 사단시이지발’에서 나왔음을 인정하지만 퇴계의 오류는 그 구절에 너무 집착하여 그와 모순되는 구절이 있음을 간과한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심지어는 “주자의 이 말이 혹 기록자의 실수인지 어찌 알겠는가”라고 까지 말하기도 한다. 그는 율곡의 기발이승일도설의 논리를 계속 밀고나가 사단과 칠정은 모두 정이므로 칠정과 마찬가지로 사단도 선악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하여 당시의 성리학자들을 당혹케 했다.
“퇴계 고봉 율곡 우계는 모두 사단을 순선하다고 여겼으나 주자는 사단에도 불선한 점이 있다고 여겼다. 알지 못하겠도다. 네 분 선생님들은 주자의 이 말을 보지 못했는가. 사단이 어떻게 불선할 수 있는가. 사단도 기발이이승하기 때문이다. 발할때 그 기가 청명하면 이도 순선하지만 그 기가 혼탁하면 이도 그것에 가리워지게 된다.”
참고문헌
정제두, 󰡔하곡집󰡕 존언 하.
장유, 󰡔계곡만필󰡕 권1, 35면.
오종일, 󰡔양명전습록동전고󰡕
한국철학회편, 󰡔한국철학사󰡕 하권 16편, 「조선조양명학과 그 전개」 3,4면, 동명사, 1987.
「16세기 士林의 性理學 理解사림의 성리학 이해」(󰡔한국사론󰡕 8집)
󰡔송자대전 부록󰡕 권19, 기술잡록, 한원진.
이병도, 󰡔한국유학사󰡕, 283면
󰡔갈암집󰡕 권18, 율곡이씨론사단칠정서변.
배종호, 󰡔한국유학사󰡕, 120면, 연대출판부, 1974.
김길환, 󰡔한국철학연구󰡕 하, 4면, 동명출판사,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