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 적응과 정체성교육

 1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 적응과 정체성교육-1
 2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 적응과 정체성교육-2
 3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 적응과 정체성교육-3
 4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 적응과 정체성교육-4
 5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 적응과 정체성교육-5
 6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 적응과 정체성교육-6
 7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 적응과 정체성교육-7
 8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 적응과 정체성교육-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 적응과 정체성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이주노동자와 그 자녀들의 현황

3. 국내 재학 중인 이주노동자 자녀들이 겪는 어려움

4. 맺는 말
본문내용
1. 들어가는 말

미국 버지니아공대 총기난사사건은 32명을 살해한 가해자가 1.5세대 이주청소년이라는 점에서 더 큰 충격으로 우리에게 전해졌다. 그는 이국땅에서 돈벌이에 바쁜 부모와 대화가 단절되고 주변사람들로부터 외면당하였으며 정체성의 혼란 등으로 정신적 질환을 겪다가 이러한 엄청난 사건을 저지르게 되었다.
지금 우리나라에는 50만 명의 이주노동자들이 들어와 있고, 국제 결혼율 또한 2005년 14%에서 2006년 18%에 이르도록 급격히 늘고 있어 이미 단일민족사회가 아닌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 들어섰다. 이미 우리 곁에는 다수의 이주노동자 자녀들이 와있고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이 자라나고 있다. 이들 또한 부모의 관심과 사랑에 목말라있으며 우리사회의 편견과 차별로 인해 심한 소외감과 열등감을 느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심각한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다. 그런 측면에서 볼 때 버지니아공대 총기사건이 먼 나라 미국에서의 일만이 아니라는 각성을 하지 않을 수 없으며, 이 시점에서 이러한 논의는 매우 중요하고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2. 이주노동자와 그 자녀들의 현황

이주노동자 가정은 크게 국내인과 외국인이주노동자의 결혼으로 형성된 국제결혼가정, 외국인이주노동자로 국내에 유입되어 외국인이주노동자간에 결혼하여 형성된 외국인이주노동자가정, 마지막으로 모국에서 결혼하여 형성된 가족이 국내에 외국인이주노동자로 이주한 이주가정의 3가지로 나뉜다. 모든 이주노동자 가정은 인권 보장, 노동, 교육, 주거 등의 문제에서 많은 현실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불법 체류 이주노동자 가정의 경우 의료권조차 제대로 보장받지 못해 생존마저도 위태로운 지경에 이르러 있기도 하다. 이 보고서에서 재한몽골학교와 관련해 다루고자 하는 이주노동자들 중 소수는 자녀들과 함께 한국 국적을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 불법 체류 노동자들로써 교육권은 물론이거니와 기본적인 인권 및 의료권까지 보장받기 힘든 입장에 처해 있다. 다만 여기서는 그러한 많은 문제점들 중 이주노동자 자녀들의 교육 문제와 더불어, 자녀들이 한국 생활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몽골인 으로써 겪는 어려움과, 재한몽골학교에 대해 다룰 것이다.
참고문헌
2007 재한몽골학교교감 이강애 발제문 -
2007 국가인권위원회 포럼 자료집, 한건수 -
2007 여성가족부 -
2007 외국인정책본부 -
2007 재한몽골학교 -
2006 시민과 변호사 웹진(시민의 소리), 이은하 -
2006 한국아동복지학회, 노충래, 홍진주 -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