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

 1  [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1
 2  [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2
 3  [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3
 4  [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4
 5  [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5
 6  [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6
 7  [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7
 8  [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8
 9  [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9
 10  [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10
 11  [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11
 12  [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12
 13  [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13
 14  [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14
 15  [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15
 16  [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16
 17  [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17
 18  [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18
 19  [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19
 20  [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에 대한 정리와 비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1.6. 소설의 작품 세계와 문제의식
11.6.1. 나도향
11.6.2. 현진건
11.6.3. 염상섭
11.6.4. 주요섭과 최서해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
11.7.1. 민속극 ․ 창극 ․ 신파극의 위치
11.7.2. 희곡 작품의 출현 양상
11.7.3. 학생극 운동과 김우진
11.7.4. 토월회 시기의 작품
11.7.5. 김정진과 김영팔

본문내용
11.6.1. 나도향

한국의 낭만주의는 국권상실과 3·1운동의 실패로 인한 절망감과 새 출발의 고갈에서 비롯한 감상과 흥분, 또한 그 도피구로서 몽상(夢想), 근대화의 맹아를 제대로 피우지 못한 상태에서의 일본을 통한 세기말적 사상과 서구 낭만주의의 수입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낭만주의는 시대정신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소영현, 「근대소설과 낭만주의」, 『한국 근대문학 양식의 형성과 전개』(깊은샘, 2003), p.81.

식민지적 상황 속의 장애를 돌파하지 못하고 문제의 상황을 진단할 능력마저 결핍된 지식인들이 자기만족을 쉽게 얻으려 한 탓에 진취적인 낭만주의를 거치지 않고 퇴폐적인 낭만주의로 바로 들어섰다. 이러한 퇴폐적이고 허무적인 성향을 띠게 된 것에 대해 낭만주의 작가들이 거의 현실의 부정을 인식의 공통점으로 하고 있으면서도 그 부정되어야 할 현실을 식민지 치하의 정치적이거나 사회적인 원인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불합리한 인습과 문학적 후진성에서 찾고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즉 이들의 현실이나 역사인식에 투철했다기보다는 지극히 피상적이고 감상적인 데 치우쳐 있었던 것이다.
강진호 엮음, 『한국문단 이면사』, 깊은샘, 1999
국어국문학회, 『판소리 연구』, 태학사, 1998
권순종, 『소극장의 개척과 한계』, 중문출판사, 1985
김용관, 『한국 근대희곡의 새지평』, 푸른사상, 2002
김우종, 『한국현대소설사』, 성문각, 1995
김윤선, 「나도향 소설에 나타나는 ‘낭만적 사랑’의 문제」, 2002
김윤식, 『염상섭연구』, 서울대학출판부, 1989
김윤식․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1
김윤식 외,『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2006
김종균, 『염상섭 소설연구』, 국학자료원, 1999
김종일, 『판소리사 연구』,역사비평사, 1996
나도향 전집 上』, 집문당, 1988
나도향, 『환희』, 소담출판사, 2001
박상준, 『1920년대문학과 염상섭』, 역락, 2000
박종화, 「나도향 10년기 추억 편편」. 신동아. 1935,9,
박종화, 「오호 도향」, 《신민》제 18호, 1926, 10,참고문헌
문학사상연구회, 『염상섭 문학의 재인식』, 깊은샘, 1998
민병욱, 최정일 공편, 『한국 극작가․극작품론』, 삼지원, 1996
백철, 『신문학사조사』, 신구문학사, 1983
배봉기, 『김우진과 채만식의 희곡연구』, 태학사, 1997
상허학회, 『한국 근대문학 양식의 형성과 전개』, 깊은샘, 2003
서연호,,『한국희곡전집.1』, 태학사, 1996
소영현, 「근대소설과 낭만주의」, 2003
송백헌, 「현진건」,『한국문학작가론』, 집문당, 2000
신동욱, 『현진건의 소설과 그 시대인식』, 새문사, 1981
신춘호,『최서해』,건국대학교 출판부, 1994
심우성,『韓國의 民俗劇』,創作과 批評社, 1976
양승국, 『한국 근대연극비평사 연구』,태학사, 1996
양승국, 『한국 신연극 연구』, 연극과 인간, 2001
우리극연구회,『한극 근대희곡 연구사』, 도서출판 해성, 1994
우리어문학회, 『한국 문학과 낭만성』, 국학자료원, 2002
우스이 요시미, 고재석/김환기 역, 『일본 다이쇼 문학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1
유민영, 『한국근대연극사』, 단국대학교출판부, 1996
유민영, 『한국연극운동사』, 태학사, 2001
유민영, 『한국연극학의 위상』, 태학사, 2002
유민영, 『한국 현대 희곡사』, 홍성사, 1982
윤홍로, 『나도향 : 낭만과 현실의 변증(辨證)』, 건국대학교출판부, 1997
이보영, 『난세의 문학 - 염상섭론』, 예지각, 1991
이재명,「한국 근대 희곡문학의 분석적 연구 1: 홍사용의 [할미꽃]과[제석(除夕)]에 대하여 」『예체능논집』vol.26, 명지대학교 예체능 연구소, 1996
임규찬, 『한국 근대소설의 이념과 체계 : 1920年代 小說을 중심으로』, 태학사, 1998
임화, 「朝鮮近代劇 發達過程」, 『演劇運動』창간준비호, 1932.5
임화,「소설문학의 20년」, 『임화신문학사』, 한길사, 1993
장만기,『韓國民俗劇』, 南海文化社, 1983
장한기, 『증보 한국연극사』,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0
장원재, 『한국근대극 운동과 언론의 역할관계연구』, 연극과 인간, 2005
정봉석, 『일제강점기 선전극 연구』, 월인, 1998
조동일,『한국문학통사 5』, 지식산업사, 2005
조동일, 『한국의 탈춤』, 행림사, 1996
주요섭. 『주요섭단편소설문학전집』,大光文化社, 1984
최서해,『단편선 탈출기』, 문학과지성사, 2004
최원식, 「현진건 소설에 나타난 지식인과 민중」, 『한국현대소설사연구』, 전광용 외, 민음사 , 1984
현길언,『문학과 사랑과 이데올로기: 현진건 연구』, 태학사, 2000
현길언, 『현진건: 식민지 시대와 작가 정신』, 건국대학교출판부, 1995
현길언, 「玄鎭健小說硏究」, 漢陽大學校, 1984
현진건,『(한국 대표 명작)현진건 : 대표작품, 작품해설, 작가평전, 연구자료』, 志學社, 1985
황패강, 『한국문학작가론』,집문당, 2000
강진호 엮음, 『한국문단 이면사』, 깊은샘, 1999
국어국문학회, 『판소리 연구』, 태학사, 1998
권순종, 『소극장의 개척과 한계』, 중문출판사, 1985
김용관, 『한국 근대희곡의 새지평』, 푸른사상, 2002
김우종, 『한국현대소설사』, 성문각, 1995
김윤선, 「나도향 소설에 나타나는 ‘낭만적 사랑’의 문제」, 2002
김윤식, 『염상섭연구』, 서울대학출판부, 1989
김윤식․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1
김윤식 외,『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2006
김종균, 『염상섭 소설연구』, 국학자료원, 1999
김종일, 『판소리사 연구』,역사비평사, 1996
나도향 전집 上』, 집문당, 1988
나도향, 『환희』, 소담출판사, 2001
박상준, 『1920년대문학과 염상섭』, 역락, 2000
박종화, 「나도향 10년기 추억 편편」. 신동아. 1935,9,
박종화, 「오호 도향」, 《신민》제 18호, 1926, 10,참고문헌
문학사상연구회, 『염상섭 문학의 재인식』, 깊은샘, 1998
민병욱, 최정일 공편, 『한국 극작가․극작품론』, 삼지원, 1996
백철, 『신문학사조사』, 신구문학사, 1983
배봉기, 『김우진과 채만식의 희곡연구』, 태학사, 1997
상허학회, 『한국 근대문학 양식의 형성과 전개』, 깊은샘, 2003
서연호,,『한국희곡전집.1』, 태학사, 1996
소영현, 「근대소설과 낭만주의」, 2003
송백헌, 「현진건」,『한국문학작가론』, 집문당, 2000
신동욱, 『현진건의 소설과 그 시대인식』, 새문사, 1981
신춘호,『최서해』,건국대학교 출판부, 1994
심우성,『韓國의 民俗劇』,創作과 批評社, 1976
양승국, 『한국 근대연극비평사 연구』,태학사, 1996
양승국, 『한국 신연극 연구』, 연극과 인간, 2001
우리극연구회,『한극 근대희곡 연구사』, 도서출판 해성, 1994
우리어문학회, 『한국 문학과 낭만성』, 국학자료원, 2002
우스이 요시미, 고재석/김환기 역, 『일본 다이쇼 문학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1
유민영, 『한국근대연극사』, 단국대학교출판부, 1996
유민영, 『한국연극운동사』, 태학사, 2001
유민영, 『한국연극학의 위상』, 태학사, 2002
유민영, 『한국 현대 희곡사』, 홍성사, 1982
윤홍로, 『나도향 : 낭만과 현실의 변증(辨證)』, 건국대학교출판부, 1997
이보영, 『난세의 문학 - 염상섭론』, 예지각, 1991
이재명,「한국 근대 희곡문학의 분석적 연구 1: 홍사용의 [할미꽃]과[제석(除夕)]에 대하여 」『예체능논집』vol.26, 명지대학교 예체능 연구소, 1996
임규찬, 『한국 근대소설의 이념과 체계 : 1920年代 小說을 중심으로』, 태학사, 1998
임화, 「朝鮮近代劇 發達過程」, 『演劇運動』창간준비호, 1932.5
임화,「소설문학의 20년」, 『임화신문학사』, 한길사, 1993
장만기,『韓國民俗劇』, 南海文化社, 1983
장한기, 『증보 한국연극사』,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0
장원재, 『한국근대극 운동과 언론의 역할관계연구』, 연극과 인간, 2005
정봉석, 『일제강점기 선전극 연구』, 월인, 1998
조동일,『한국문학통사 5』, 지식산업사, 2005
조동일, 『한국의 탈춤』, 행림사, 1996
주요섭. 『주요섭단편소설문학전집』,大光文化社, 1984
최서해,『단편선 탈출기』, 문학과지성사, 2004
최원식, 「현진건 소설에 나타난 지식인과 민중」, 『한국현대소설사연구』, 전광용 외, 민음사 , 1984
현길언,『문학과 사랑과 이데올로기: 현진건 연구』, 태학사, 2000
현길언, 『현진건: 식민지 시대와 작가 정신』, 건국대학교출판부, 1995
현길언, 「玄鎭健小說硏究」, 漢陽大學校, 1984
현진건,『(한국 대표 명작)현진건 : 대표작품, 작품해설, 작가평전, 연구자료』, 志學社, 1985
황패강, 『한국문학작가론』,집문당, 2000
참고문헌
강진호 엮음, 『한국문단 이면사』, 깊은샘, 1999
국어국문학회, 『판소리 연구』, 태학사, 1998
권순종, 『소극장의 개척과 한계』, 중문출판사, 1985
김용관, 『한국 근대희곡의 새지평』, 푸른사상, 2002
김우종, 『한국현대소설사』, 성문각, 1995
김윤선, 「나도향 소설에 나타나는 ‘낭만적 사랑’의 문제」, 2002
김윤식, 『염상섭연구』, 서울대학출판부, 1989
김윤식․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1
김윤식 외,『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2006
김종균, 『염상섭 소설연구』, 국학자료원, 1999
김종일, 『판소리사 연구』,역사비평사, 1996
나도향 전집 上』, 집문당, 1988
나도향, 『환희』, 소담출판사, 2001
박상준, 『1920년대문학과 염상섭』, 역락, 2000
박종화, 「나도향 10년기 추억 편편」. 신동아. 1935,9,
박종화, 「오호 도향」, 《신민》제 18호, 1926, 10,참고문헌
문학사상연구회, 『염상섭 문학의 재인식』, 깊은샘, 1998
민병욱, 최정일 공편, 『한국 극작가․극작품론』, 삼지원, 1996
백철, 『신문학사조사』, 신구문학사, 1983
배봉기, 『김우진과 채만식의 희곡연구』, 태학사, 1997
상허학회, 『한국 근대문학 양식의 형성과 전개』, 깊은샘, 2003
서연호,,『한국희곡전집.1』, 태학사, 1996
소영현, 「근대소설과 낭만주의」, 2003
송백헌, 「현진건」,『한국문학작가론』, 집문당, 2000
신동욱, 『현진건의 소설과 그 시대인식』, 새문사, 1981
신춘호,『최서해』,건국대학교 출판부, 1994
심우성,『韓國의 民俗劇』,創作과 批評社, 1976
양승국, 『한국 근대연극비평사 연구』,태학사, 1996
양승국, 『한국 신연극 연구』, 연극과 인간, 2001
우리극연구회,『한극 근대희곡 연구사』, 도서출판 해성, 1994
우리어문학회, 『한국 문학과 낭만성』, 국학자료원, 2002
우스이 요시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