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서정론] 고려가요

 1  [전통서정론] 고려가요-1
 2  [전통서정론] 고려가요-2
 3  [전통서정론] 고려가요-3
 4  [전통서정론] 고려가요-4
 5  [전통서정론] 고려가요-5
 6  [전통서정론] 고려가요-6
 7  [전통서정론] 고려가요-7
 8  [전통서정론] 고려가요-8
 9  [전통서정론] 고려가요-9
 10  [전통서정론] 고려가요-10
 11  [전통서정론] 고려가요-11
 12  [전통서정론] 고려가요-12
 13  [전통서정론] 고려가요-13
 14  [전통서정론] 고려가요-14
 15  [전통서정론] 고려가요-15
 16  [전통서정론] 고려가요-16
 17  [전통서정론] 고려가요-17
 18  [전통서정론] 고려가요-18
 19  [전통서정론] 고려가요-19
 20  [전통서정론] 고려가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통서정론] 고려가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려가요 개관
2. 주요 작품 소개
2.1. 동동
2.2. 가시리
2.3. 서경별곡
2.4. 사모곡
2.5. 상저가
2.6. 정읍사
2.7. 쌍화점
2.8. 만전춘별사
2.9. 정석가
2.10. 처용가
2.11. 청산별곡
3. 고려 가요에 대한 논의
3.1. 명칭 및 장르론
3.2. 작자 및 수용자론
3.3. 형식 및 발생론
3.4. 형태 및 율격론
3.5. 미의식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려가요(高麗歌謠)

1. 고려가요 개관

1.1. 명칭 및 개념
고려 시대 문학의 주류는 단연 한문학 이었다. 향가 문학이 쇠퇴한 후 한자에 의한 귀족들의 한시(漢詩), 시화(詩話), 설화(說話) 등의 다양한 한문학이 문학사를 지배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밖에도 경기체가, 고려가요, 시조 등의 문학이 성립되었는데 이것들은 전 시기에서는 볼 수 없었던 독특한 것들이었다. 고려 시대의 문학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고려가요 양식인데, 이 민중의 노래는 사대부 문학과 이중구조를 이루면서 조선조 평민 문학으로 그 전통을 이루고 있다.
고려가요는 고려시대에 창작된 시가로 주로 민중 사이에 널리 전해진 속요(俗謠)를 뜻한다. 넓은 뜻으로는 고려시가(高麗詩歌) 모두를 포함하며 ‘고려가사(高麗歌詞)’ ‘고려가요’, 줄여서 ‘여요(麗謠)’, 또는 ‘고려장가(高麗長歌), 또는 '고속가(古俗歌)라는 이름으로 통한다. 그러나 좁은 뜻으로는〈한림별곡(翰林別曲)〉,
참고문헌
김광순,『한국문학개론』, 경인문화사. 1996.
김문태, 「고려속요의 조선조 수용양상」, 『조선시가연구』 제5집, 한국시가학회, 1999.
김선기, 「고려 속요의 소위 구전설에 대한 비판」, 어문연구학회 어문연구제25집, 1994.
김종서, 『고려사절요』, 민족문화추진회, 1985.
김준영, 『한국고전문학사』(5판), 형설출판사, 1982.
김쾌덕. 『고려노래 속가의 사회배경적 연구』, 국학자료원, 2001.
김학동 외, 『한국문학개론』, 새문사, 1992.
김학성, 「고려가요의 작자층과 수용자층」, 한국학보 제31집, 일지사, 1983.
김학성, 『국문학의 연구』, 성대출판부, 1987.
김학성, 『한국고시가의 거시적 탐구』, 집문당, 1997.
김학성. 「고려가요의 작자층과 수용자층」, 일지사, 한국학보, 1983.
김홍규. 「고려속요의 장르적 다원성」, 한국시가연구 창간호. 한국시가학회, 1997.
박병채, 「고려가요의 어석 연구」, 국학자료원. 1994.
성 현. 『용재총화』, 민족문화추진회. 솔, 1997.
성호주, 「고려속요의 재조명과 연구사적 반성」, 수련어문학회 수련어문논집 제12권, 1985.
유종국, 「고려속요 원형 재구」,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제99권, 1988.
이남구, 「高麗俗謠의 餘音硏究」,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1982
임주탁.「수용과 전승 양상을 통해 본 고려가요의 전반적인 성격」, 진단학회. 진단학보, 1997.
장성수, 「高麗俗謠 餘音의 樣相과 機能」, 경북대학교 석사논문, 1990
전규태,『고려시대의 가요 문학』, 새문사. 1982.
정병욱,『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77.
정출헌.「고려가요의 층위(層位)와 그 전승양상(傳承樣相), 민족문학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 1998.
조해숙, 「고려가요를 중심으로 본 여음, 후렴의 성격과 그 후대적 변모양상」, 전농어문연구 제 10집, 1988
차주환 역. 『고려사 악지』,을유문화사, 1972.
최동원 외. 『한국문학개론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