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

 1  [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1
 2  [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2
 3  [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3
 4  [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4
 5  [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5
 6  [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6
 7  [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7
 8  [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8
 9  [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9
 10  [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10
 11  [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11
 12  [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12
 13  [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13
 14  [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14
 15  [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15
 16  [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16
 17  [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17
 18  [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18
 19  [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19
 20  [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언론사] 민족지의 쇠퇴, 소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 민족지를 바라보는 관점

- 30~40년대 시대적 배경 및 언론의 흐름

- 「조선일보」연구
1) 「조선일보」의 변질와 소멸
2) 인물탐구 ( 방 응 모 )

- 「동아일보」연구
1) 「동아일보」의 변질와 소멸
2) 인물탐구 ( 김 성 수 )

- 기타 민족지의 쇠퇴와 소멸

3. 결 론
본문내용
1. 서론
1919년 이후 일제의 대 한반도 정책은 소위 ‘문화정책’ 이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국면으로 전개된다. 이는 독립을 염원하는 조선인들에 대한 정신적 동화를 핵심으로 하고 있었으며, 이를 위해 1910년 이후 철저하게 억압 위주였던 언론 정책 역시 다소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조정하게 된다. 이미 이 시기에 수많은 지하언론이 조직되어 민중에 대한 항일의 기운을 고취시키고 있었으며, 일제로서는 이러한 지하 언론을 공개적으로 흡수하고 일제의 지배 정당성을 합리적으로 교육시키고자 하는 목적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를 통해 창간된 대표적인 신문이 바로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였다. 이 두 신문은 일제에 대한 비판적 논조의 기사를 수록하고 그에 따른 수차례의 정간 및 경고, 몰수 조치 등을 받는 등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 민족지로서의 이름을 내걸고 활동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긍정과 부정의 입장은 매우 분분한 의견들이 난무하고 있으며, 연구 역시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이 신문들이 30년대와 40년대를 거치면서 보여줬던 논조들과 기사들, 그리고 대표 경영진들의 행보들은, 과연 이들이 진정한 민족지로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는가에 대한 비판과 수긍의 양면성 논쟁을 가져온 핵심적 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보고서에서는, 과연 민족지라고 규정할 수 있는 기준은 어디에 두어야 하며, ‘조선’ 과 ‘동아’ 두 신문의 쇠퇴와 소멸과정에 집중하여, 핵심적 인물이라고 할 수 있는 방응모, 김성수의 행적을 살펴보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또한 이러한 양상이 나타나게 된 30년대와 40년대의 언론사 관련 시대의 흐름을 살펴보고, 이 두 신문의 민족지적 성격에 대해 간단하게 논의해보는 것으로 구성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