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 교실붕괴

 1  [교육사회] 교실붕괴-1
 2  [교육사회] 교실붕괴-2
 3  [교육사회] 교실붕괴-3
 4  [교육사회] 교실붕괴-4
 5  [교육사회] 교실붕괴-5
 6  [교육사회] 교실붕괴-6
 7  [교육사회] 교실붕괴-7
 8  [교육사회] 교실붕괴-8
 9  [교육사회] 교실붕괴-9
 10  [교육사회] 교실붕괴-10
 11  [교육사회] 교실붕괴-11
 12  [교육사회] 교실붕괴-12
 13  [교육사회] 교실붕괴-13
 14  [교육사회] 교실붕괴-14
 15  [교육사회] 교실붕괴-15
 16  [교육사회] 교실붕괴-16
 17  [교육사회] 교실붕괴-17
 18  [교육사회] 교실붕괴-18
 19  [교육사회] 교실붕괴-19
 20  [교육사회] 교실붕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사회] 교실붕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현재 학교교육의 실태


2. 교실붕괴의 정의


3. 구체적 사례 & 분석
- 현 교사와 학생들의 경험담


4. 발생원인 분석
- 교육정책 및 학교정책,
- 가정 및 학부모
- 교사
- 학생


5. 대책 (교실 붕괴를 막을 대안)

6. 결론
본문내용
1. 현재 학교교육의 실태
"라이머의 학교는 죽었다"를 빌리지 않더라도 사회 곳곳에 나타나는 우리 교육현실은 명실상부하게도 실패하고 그 제도의 기능은 이미 마비되어 말기암환자에 비유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의 현주소가 반드시 라이머의 기능주의적 교육의 비판에서 보듯이 기능주의의 폐단에서 오는 것도 상당부분 일리가 있다. 그러나 라이머의 기능주의 비판은 한 측면으로서의 우리교육현실을 파악하는 도구에 불과한 것이다. 방대한 교육실패를 갈등론적으로만 파악할 수 없고 우리사회 독특한 사회문화 의식과 교육제도, 교육의식 등 우리의 교육문화와 관계되는 다양한 변수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라이머가 기능주의적 측면에서의 학교는 죽었다고 말하지만 우리사회의 모든 구석구석의 시스템이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파악되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모든 시스템 속에 기능주의의 철학이 깔려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학교교육은 급변하는 정보산업사회에 적절하게 적응하지 못하는 단순히 마비 상태에 있다고 보여 진다. 말라 가는 교육현실에 소나기와 같은 단비가 필요하고 그리하여 학교교육은 살아나야 한다. 침묵하는 속에서 다양한 교육을 이행하는 학교가 있는 한 학교는 죽지 않을뿐더러 사회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