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

 1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1
 2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2
 3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3
 4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4
 5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5
 6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6
 7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7
 8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8
 9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9
 10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10
 11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11
 12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12
 13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13
 14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14
 15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15
 16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16
 17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17
 18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18
 19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19
 20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의 변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2
II. 본론 3
1) 대구지하철화재참사 3
i. 대구지하철화재참사 개요 3
ii. 대구지하철화재참사의 성격 4
iii. 대구지하철화재참사에 대한 이전 연구 5
2) 법과 기구 7
i. 참사 이전 관련법과 기구의 문제점 7
ii.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 이후 관련 법과 기구의 변화 8
iii. 소방방재청과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대한 평가 9
3) 지하철 공사 (대구지하철공사를 중심으로) 10
i. 변동사항 10
ii. 지하철공사 변동에 대한 평가 12
4) 보험 14
i. 보험가입율 14
ii. 상품 신설/홍보 14
iii. 무료대중교통상해보험 15
5) 시민영역 16
i. 시민단체 16
ii. 시민의식 18
6) 기타 19
III. 결론 20
본문내용
I. 서론
90년대 이후 우리는 대중매체를 통해서 여러가지 유형의 대형참사들을 자주 접했다.
대형참사는 인간의 가장 존귀한 가치인 생명권과 직결되는 중요한 사안이다. 자신의 의도나 의지에 상관없이 갑작스럽게, 불확실한 상황에서 일방적으로 생명을 박탈당한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두려운 일이다. 전통적 사회에서의 자연은 인류에게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었으며 어쩔 수 없이 당하는 위협적인 존재였다. 그와 달리 현대사회에 와서는 과학과 기술의 발달에 따라 비로소 등장한 ‘계산된 위험성들’이 점차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이재열. 2004 ; 8)
특히 2003년 2월 일어난 대구지하철화재참사는 비교적 완벽한 재난관리법과 안전관리체계가 확립된 상태에서 일어난 재난이라는 점에서 그 이전의 참사들과는 구분된다.
또한 지하철이라는 교통수단의 특성 때문에 대구지하철화재참사는 한국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지하철은 한번에 많은 인원을 수송하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하면 많은 희생자를 발생시킬 수 있고, 깊은 지하나 하천 위의 교량 등을 주로 이용하여 운행되며, 정해진 역에서만 정차하여 타고 내리는 것이 가능한 폐쇄적인 공간이기 때문에 사고 발생시 쉽게 탈출하기 어렵다.
이 충격적인 참사에 관한 여러 연구가 있었다. 대부분의 연구는 대구지하철화재참사가 일어난 원인, 참사 자체에 대한 분석 등에 치중되어 있다.
때문에 이 연구는 지금까지 소홀하게 여겨진 대구지하철화재참사 이후 한국사회에 나타난 변동사항에 대해 연구한다. 대구지하철화재참사가 위험사회로 진입한 한국사회에, 지하철이라는 안전관리체계가 구축되어있는 탈것에서 발생한 사고라는 점에서 한국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여러 영역에 여러 차원의 변동을 일으켰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이 연구를 진행한다.
참고문헌
재해대책법.
재난관리법.
소방방재청. 「2005년 업무 보고서」(http://www.nema.go.kr)
제15회 소방행정연찬대회 춘천소방서 자료.
통계청. 2000-2003. 주택형태별화재보험현황
오마이뉴스. 2003. 3. 7. “우리의 재난 준비단계는 존재하는가”.
조선일보. 2005. 1. 5. 사회 A12 면.
조선일보. 2005. 2. 17. 사회 A14 면.
조선일보. 2005. 3. 21. 대구 A14 면.
조선일보. 2005. 9. 9. 대구 A13 면.
조선일보. 2005. 10. 06. 사회 A14 면.
모창환. 2004. “도시재난사고에 대한 책무성 분석 : 대구시 지하철사고 사례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5권 제2호.
양기근. 2004. “재난관리의 조직학습 사례 연구 : 세계 무역센터 붕괴와 대구지하철 화재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38권 제6호.
이연. 2003. 3. 20. “재난보도 문제점과 재난보도 준칙(가이드라인) 제정방안에 대한 연구”. 24회 기자포럼
이재열. 2004. 『위험사회와 생태적  사회적 안전』.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이재열, 김동우. 2004. “이중적 위험사회형 재난의 구조 : 대구지하철 화재사고를 중심으로 한 비교사례 연구”. 「한국사회학」 제38질 3호.
인스밸리 (www.insvalley.com)
AIG (www.5004949.com)
KBS (www.kbs.co.kr/2tv/enter/no1/index.html)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