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

 1  [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1
 2  [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2
 3  [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3
 4  [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4
 5  [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5
 6  [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6
 7  [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7
 8  [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8
 9  [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9
 10  [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10
 11  [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11
 12  [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12
 13  [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13
 14  [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14
 15  [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15
 16  [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16
 17  [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17
 18  [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18
 19  [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19
 20  [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작가론] 교산 허균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교산 허균 연구
-시대의 반항아 허균


Ⅰ. 서론
㉠글을 쓰면서
㉡허균의 연구 동향
㉢허균의 평가

Ⅱ. 허균의 개인, 사상적 배경
㉠시대배경
㉡생애
㉢허균의 가계도
㉣허균의 교우관계
㉤사상적 배경
㉥허균의 문학관

Ⅲ. 작품 분석
㉠시문집, 시화집, 시선집
㉡ 전(傳)의 소설화 경향
㉢홍길동전

Ⅲ. 결론
본문내용
㉠글을 쓰면서
당대 명문가요, 앞길이 탄탄대로일 수 있었던 그는 거침없는 말과 행동으로 보수적인 지배층들의 눈 밖에 났다. 허균은 시대의 반항아요, 탁월한 문인이었다. 그의 자유분방한 생활과 예리한 감수성, 그리고 진보적인 기질은 어느 누구보다도 예속의 속박을 벗어나 자유스러운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한 기질 아래서 많은 시와 논설, 시평, 소설, 전 등을 그의 진보적이고 개성적인 사상을 듬뿍 담고 있다. 그 중에서도 홍길동전은 그의 작품 중에서 아마도 가장 그를 잘 나타내는 작품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 글에서는 논(論)으로써 허균의 사상을 확인하고, 그러한 사상이 어떻게 홍길동전과 전(傳)에 담겨져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허균”의 연구 동향
허균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 연구가 방대하여 내가 그 경향을 명백하게 파악하기란 어려운 일이지만, 이 글을 쓰기 위하여 살펴본 연구물들을 토대로 허균에 관한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밝히도록 하겠다.
우선 『홍길동전』에 관한 연구이다.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허균하면 『홍길동전』을 떠올릴 것이다. 『홍길동전』은 최초의 국문소설이자, 허균의 문제작으로 널리 알려졌기 때문일 것이다. 다시 연구 경향을 확인하자면, 많은 연구물들이 허균의 호민론과 인재론을 비롯하여 적서차별에 관한 생각, 그 밖의 사상이 『홍길동전』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 또한 끊임없이 시비가 얽히는 것으로 『홍길동전』의 작자에 관한 문제이다. 허균이 『홍길동전』을 지었다는 사실은 택당 이식의 『택당집 별집』의 기록에 근거할 뿐, 그 밖의 어느 문헌에도 자세한 사실은 나오지 않는다. 이에 과연 이 소설 작품을 허균이 지었느냐 하는 문제는 학계의 큰 쟁점이다..
또한 허균의 사상, 생애를 다룬 연구도 굉장히 많이 이루어졌다. 허균은 조선시대 이단으로 일컬어질 만한 새로운 사상과 개혁의 이론을 내놓았다. 그의 그런 태도가 그때의 사회에서는 경망스럽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오늘날에는 오히려 끊임없는 학문의 욕구를 지닌 정직하고 자유분방한 지성인의 모습으로 보일 수도 있다. 사상에 관한 연구는 주로 ‘허균이 혁신적이고 재능이 있는 인물이었으나, 그 당시 사회에서는 배척당하는 시대를 앞선 사나이’라는 것에 맞추어 쓰이고 있다.
다음은 허균의 시에 관한 연구이다. 허균은 상당히 많은 시를 남겨두었다. 그의 시는 『홍길동전』에 나오는 개혁적이고 진취적인 측면보다는 일상의 삶에 충실한 인간적인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측면이 많다. 이러한 허균의 시를 살펴보는 것을 중심으로 그 밖에도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지은 시, 우국시에 대한 연구물들이 있었다.
시 비평에 관한 연구물도 있었다. 허균은 이미 『시변』이나 손곡 이달과의 편지, 여러 시평에 관한 문집, 시인들에 대한 관점을 토대로 자기가 바라보는 시 세계를 제시하였다. 허균이 살던 그 때에는 허균이 시인으로서도 재능이 있었지만 시 비평가로서의 재능이 탁월했다고 한다. 그러하여 허균이 시에 대한 비평을 어떻게 하였는지를 살펴보는 연구성과도 축적되어 있는 실정이다.
5편의 전(傳)에 관한 연구물이 있었다. 전(傳)에 관한 연구물들은 대체로 허균의 가치관(사회에서 불리한 처지에 놓여있는 인물에 대한)이 전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도선적 성향이 어떠한 식으로 내재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있었다.
이 밖에도 척독에 관한 연구가 있었다. 사실 척독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물론 척독이라고 분리된 편지가 연구물에는 많이 있으나, 척독만 따로 분리하여 연구한 논문들은 거의 없다. 이러한 척독에 관한 연구는 허균이 성소부부고에서 ‘서’와 ‘척독’을 분리시켜 편찬한 사실에 주목하여 척독에서 허균의 어떤 면모가 드러나는지 살펴보고 있다.
참고문헌
강동엽(2003), 『허균과 유토피아』, 한국어문학연구 vol 41, p136~170
김명희(2005), 『허균과 매창의 시조』, 시조학논총 vol 22, .p115~142
김 영(1994), 『허균론』,
김은경(2003), 『허균 전 연구』, 강릉대 국어국문학과 석사
김풍기(2003), 『누추한 내방』, 태학사.
김태준(1998), 『허균의 혁신사상』, 동악어문논집 제33집, 123p~140p
신병주(1995), 『호민을 꿈꾼 자유인 허균』, 선비문화 vol 7, p7~p13
박수천(1996), 『허균의 전과 세계관』
박영호(1994), 『허균 시론 연구』, 한국한문학연구 vol 17, p67~p93
이복규(2004), 『우리 고소설 연구』, 역락
이이화(1997), 『허균』, 한길사
조문주(1992), 『허균의 한문전 연구』, 한문학논집 vol 10, p153~175
조동일(1984), 『한국문학통사 3권』, 지식산업사.
허휘훈(2005), 『북한에서의 허균과 그 문학 연구한문학보』, 우리한문학회.
정병헌·이지영(1998), 『고전문학의 향기를 찾아서』, 돌베개.
허 균(1982). 『성소부부고 8권』, 민족문화추진회
하고 싶은 말
나름대로 정말 열심히 쓴 레포트 겸 논문입니다. 허균에 관한 많은 것들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도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