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 환두대도에 대한 조사보고서

 1  [유물] 환두대도에 대한 조사보고서-1
 2  [유물] 환두대도에 대한 조사보고서-2
 3  [유물] 환두대도에 대한 조사보고서-3
 4  [유물] 환두대도에 대한 조사보고서-4
 5  [유물] 환두대도에 대한 조사보고서-5
 6  [유물] 환두대도에 대한 조사보고서-6
 7  [유물] 환두대도에 대한 조사보고서-7
 8  [유물] 환두대도에 대한 조사보고서-8
 9  [유물] 환두대도에 대한 조사보고서-9
 10  [유물] 환두대도에 대한 조사보고서-10
 11  [유물] 환두대도에 대한 조사보고서-11
 12  [유물] 환두대도에 대한 조사보고서-12
 13  [유물] 환두대도에 대한 조사보고서-13
 14  [유물] 환두대도에 대한 조사보고서-14
 15  [유물] 환두대도에 대한 조사보고서-15
 16  [유물] 환두대도에 대한 조사보고서-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유물] 환두대도에 대한 조사보고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1. 연구목적
2. 연구사 및 방법
Ⅱ. 환두대도란
Ⅲ. 형태분류
1. 소환두대도
2. 삼엽문환두대도
3. 삼루문환두대도
4. 용봉문환두대도
5. 규두대도
Ⅳ. 제작기술
1. 주조
1) 환두대도에서의 적용
2. 단조
1) 환두대도에서의 적용
3.조금
1) 타출기법
① 형상타출
② 반복타출
2) 투조
3) 입사
① 선입사
② 소입입사
4. 진금
1) 가열압축
2) 수은아말감
3) 수은박
4) 칠분
5) 칠박
5. 목공
6. 혁공
Ⅴ. 환두대도의 상형문양
1.외환에 의한 형상
1) 상원하방문
2) 삼환문
2. 외환에 표출된 형상
1) 주룡문
2) 당초문
3.환내의 장식에 의한 문양
1) 삼엽문
2) 용봉문
3) 귀문
Ⅵ. 환두대도의 기능
Ⅶ. 마무리
본문내용
Ⅱ. 환두대도란

환두대도는 둥근 고리모양의 병두를 가진 검, 혹은 도를 뜻한다.
이는 중국에서 환수도 혹은 한수도 라 불리며 중국과 일본, 우리나라에서의 각 부위의 기능과 명칭을 달리 표기하고 있어 다소 혼란이 일고 있다. 중국 측에서는 옥으로 만든 고리는 환, 금속으로 만든 고리는 광으로 표현한다는 주장이 있으나 문헌상의기록에 따르면 이는 재질에 관계없음이라 나와 있고, 일본 측에서는 칼의 크고 작음을 놓고 대도와 태도 로 혼용하고 있으나 에 대해서 말영아웅이 지은 『일본상대영무기』에 태도라 불리움은 평안시대(해이안 8~11C) 이후라 기록 되어있어 대도를 따르는 것이 바람 직 하다 보인다.
칼은 일반적으로 외날을 가진 도와 양날을 가진 검으로 구분 된다 그러나 이것은 편의적인 분류일 뿐 실제의 유물이나 문헌기록의 내용에 있어서는 양자가 뚜렷한 구분이 없이 경우에 따라 혼용되고 있다. 백기소일낭은 『춘추좌씨전』 . 『사기』 . 『한서』 . 『삼국지』 . 『후한서』 . 『송서』 . 『고사기』 . 『일본서기』등의 문헌기록에서는 도와 검의 용례를 검토한 바 있다 그에 의하면 검은 ①양날의 칼 ②대체로 짧고 ③칼 몸이 곧바르고 휘어진 부분이 없음이라 하였고, 도는 ①외날의 칼 ②길이가 긴 칼(1m 이상)이 많음 ③칼 몸의 중앙부분이 휘어진 경우도 있음 등의 경우로 구분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 구분은 일반적으로 이해되고 있는 경우에 불과하며 실제의 문헌기록을 검토한 결과는 양자가 뚜렷한 구분 없이 혼용되고 있으며 다만 도검의 시기적인 선후관계는 어느 정도 인정된다고 하였다. 또한 기능적 측면에서 볼 때 양날의 칼은 찌르는 것에 적합하고 외날의 칼은 자르거나 내려치는 것에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고 오늘에 이르러 편의적으로 구분 ․사용되고 있는 개념이다.
참고문헌
백제의 역사 /충청남도,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공편]
삼국시대의 환두대도 연구 / 구자봉 영남대 대학원 2005
삼국시대 환두대도의 병부에 대한 연구 : 장식기법을 중심으로 / 마경희 동아대 대학원 2006
한국의 전통무기 :한국의 도와 궁 :역사속에 숨겨진 칼 "환두대도" /해군사관학교 2003 制海. 제57호 2003
環頭大刀의 分類와 名稱에 대한 考察 /具滋奉 1995 嶺南考古學 17('95.12)
하고 싶은 말
환두대도는 중국 일본 등에서도 출토되고 있으며 이는 당시 동아시아 삼국간의 문화적 영향을 알 수 있는 자료이기에 우리는 이에 대하여 조사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