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

 1  [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1
 2  [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2
 3  [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3
 4  [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4
 5  [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5
 6  [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6
 7  [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7
 8  [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8
 9  [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9
 10  [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10
 11  [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11
 12  [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12
 13  [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13
 14  [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14
 15  [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15
 16  [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16
 17  [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17
 18  [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18
 19  [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19
 20  [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개론, 악장론] 용비어천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악장의 개념과 장르 명칭
2. 악장의 장르 구분
3. 악장의 형성 및 전개
4. 악장의 내용 및 특징
5. 악장의 분류 및 작 품
6. 악장의 작가층
7. 악장의 가치 및 의의
본문내용
1. 악장의 개념과 장르 명칭

악장이란 조선왕조의 건국을 찬양하고 정치적 이념을 표상한 노래로 된 궁중의례악을 말한다. 나라의 공식적 행사에 쓰이는 노래로서 고려와 조선의 궁중음악으로 불려진 노래 가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기도 하지만, 흔히 ‘악장’이라면 우리 문학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조선시대 초기(15세기)의 특정한 시가들에 붙여진 역사적 장르 명칭으로 사용한다.
조선이 건국되면서 동양적 통치 관례에 따라 예악(禮樂)을 정비하게 된다. 나라의 공식적 행사인 제향(祭享)이나 연향(宴享) 혹은 각종 연회에 쓰기 위하여 새로 지은 노래 가사들을 특별히 따로 묶어 시가 장르의 하나로 다루는데, 이것이 바로 ‘악장’인 것이다.
그러나 악장을 문학 장르로 설정하려면 통일된 형식과 성격을 보여야 한다. 그런데 작품에 따라 속요체 ․ 경기체가체 ․ 한시현토체 ․ 신체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있어 장르로서의 통일성을 보이지 못하므로 각 작품이 지닌 형식이나 성격에 따라 본래의 장르로 되돌려야 한다는 견해가 대두되었다. 이 경우 문제는 우리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나 같은 독특한 형식을 보이는 작품은 어느 장르에도 귀속시킬 수 없다는 점이다. 또 같은 작품도 형식에 따라 고려 속요에 편입할 경우 속요로서의 성격보다는 조선 초기 시가로서 갖는 특수성이 훨씬 강하게 반영된 작품이라는 사실을 무시하게 된다. 그래서 악장의 통일성을 형식보다 내용에서 찾아 창업주나 왕업을 찬양하고 기리는 송도적(頌禱的) 성격을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음에 착안하여 송도가(頌禱歌), 송축가(頌祝歌), 송시(頌時), 송도시(頌禱時), 아송문학(雅頌文學)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자는 제안도 있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조규익, , 민속원, 2005
조동일, , 지식산업사, 2005
김명준, , 다운샘, 2004
김학성 ․ 권두환, , 새문사, 2002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 참고문헌
조규태, , 한국문화사, 2007
조동일, , 지식산업사, 2005
장덕순, , 일지사, 1990
Peter H. Lee지음, 김성언 옮김
, 태학사,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