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 조직효과성의 측정 변인 탐색

 1  [경영학] 조직효과성의 측정 변인 탐색-1
 2  [경영학] 조직효과성의 측정 변인 탐색-2
 3  [경영학] 조직효과성의 측정 변인 탐색-3
 4  [경영학] 조직효과성의 측정 변인 탐색-4
 5  [경영학] 조직효과성의 측정 변인 탐색-5
 6  [경영학] 조직효과성의 측정 변인 탐색-6
 7  [경영학] 조직효과성의 측정 변인 탐색-7
 8  [경영학] 조직효과성의 측정 변인 탐색-8
 9  [경영학] 조직효과성의 측정 변인 탐색-9
 10  [경영학] 조직효과성의 측정 변인 탐색-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영학] 조직효과성의 측정 변인 탐색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소개의 글
II. 조직효과성의 개념
III. 선행연구의 탐구
IV. 사례 1 학교에서의 조직 연구
V. 국내의 연구동향
VI. 사례의 분석
참고문헌

조직효과성 평가준거 빈도표 (자료 : R. M. Steers, "Problems in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Q. Vol 20, p.549, 1975 )
본문내용
I. 조직효과성의 개념
조직효과성에 관련된 문헌들을 고찰한 바와 같이 조직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여러 학자들이 효과성에 대한 일치된 정의를 찾아보기 어렵고, 조직효과성 차원에 대한 연구자들의 조작적인 정의가 표준화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방법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조직효과성의 측정변인도 학자마다 약간씩 다르게 되고 있다. 즉, 조직효과성의 개념과 연구 방법상의 차이로 인해서 그 평가 기준도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연구된 문헌들을 고찰한 결과를 가지고 본 연구에 알맞은 조직효과성 평가 기준을 설정하고자 한다.
Thorndike는 1949년 처음으로 조직효과성 측정 기준을 생산성, 순이익, 목표 달성도, 조직 안정성과 성장도라고 제시하였다. Campbell(1973)은 조직효과성 변수를 성과, 생산성, 조직원의 만족, 배당된 이익, 이직률 등을 들고 있다. 즉, 조직효과성에 관한 초기의 모형은 대개 성과, 생산성, 직무만족, 이윤, 융통성과 같은 단일변인적 준거를 사용한 연구였다(Steers, 1975: Cunnungham, 1977: Hitt & Middlemist, 1979). 이러한 단일변인 모형은 단순하고 사용이 용이하므로 많이 사용되었으나 측정변인이 학자에 따라 다양하며, 합일되는 변인이 거의 없으며, Steers(1975)도 단일변인모형은 정의하기가 어렵고, 연구자의 편견 때문에 조직효과성의 이해에 거의 기여하지 못하였다고 비판한 바 있다.

II. 선행연구의 탐구
Hoy & Miskel(1982:p395)은 조직효과성의 차원을 크게 적응적 기능, 목적달성 기능, 통합적 기능 그리고 잠재적 기능으로 나누고 각 기능에 따른 조직효과성의 지표와 조직효과성의 부가적 변수를 제시하였다. 각 기능에 따른 조직효과성의 지표로는 ① 적응적 기능에는 적응성-융통성, 혁신성, 성장, 발달, 시설통제를 ② 목적달성으로 하는 기능에는 학문적 성취, 생산성, 자원획득, 능률, 학생의 질을 ③ 통합적 기능에는 직무만족, 이직률, 결석률, 갈등-응집력, 조직풍토, 개방적 의사소통을 ④ 잠재적 기능에는 충성심, 학교에의 관심도, 학교와의 동일시각, 과업에 대한 동기, 역할과 규범의 일치 등 21개 지표를 들고 있으며, 이에 따른 조직효과성의 부가적 변수로는 각각 시간(단기, 중기, 장기), 수준(개인, 학급, 학교, 교구, 학구), 그리고 관련자(학생, 교사, 행정가, 일반인) 등을 제시하고 있다. Hoy & Miskel이 제시한 조직효과성 측정근거를 살펴보면 교사의 행위와 관련되고 있는 효과성 차원은 통합차원의 준거들이 대부분이며 이것 역시 학교수준의 교사평가의 성격을 띠고 있다. Miskel , Fevurly & Stewart(1979)의 조직구조와 과정, 지각된 학교효과성, 충성심 및 직무만족에 관한 공동 연구에서 지각된 조직효과성을 기준으로 학교의 생산성, 적응성, 융통성을 들고, 생산성은 교육의 질과 양 및 능률이 그 구성요소가 되며, 적응성은 상징적 적응성과 행동적 적응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효과적인 학교는 산출과 효용이 양적으로 많고 질적으로 훌륭하며 적응성과 융통성을 보여주는 학교라고 하였다. 그들은 조직 효과성 평가기준을 생산성, 적응성, 융통성의 3개 변수 외에도 교직원의 충성심과 직무만족을 논하고 교직원의 충성심과 직무만족이 조직효과성의 중요한 지침이 되며, 조직 효과성의 평가 기준은 생산성, 적응성, 융통성, 충성심, 직무만족의 5개 변수로 추론한다.

III. 사례 1 학교에서의 조직 연구
학교 현장에서의 조직효과성에 대한 이론적이며 실험적인 연구는 Cameron(1978)에 의해 실시되었는데 그는 고등교육기관의 조직효과성 평가 기준으로 ① 학생의 교육적 만족도 ② 학생의 학문적 발달 정도 ③ 학생의 업무적 발달 정도 ④ 학생의 인성적 발달 정도 ⑤ 교직원의 만족 정도 ⑥ 교수의 자질과 전문적 성장 ⑦ 체제 개방성과 지역사회 연계성 ⑧ 현장에서의 자연 획득력 ⑨ 조직건강의 9개 변수를 들고 있다. 그의 연구가 학교 현장에서 효과성 측정에 관한 최초의 종
참고문헌
전점봉(1999). 학교 조직풍토와 학교조직효과성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현명(1998). 학교에 대한 교사의 헌신과 학교조직 효과성과의 관계. 전북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회규(2000). 중등학교 교사의 문화와 학교조직 효과성에 관한 분석 연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남두(1992). 학교조직의 환경ㆍ문화ㆍ효과성간의 관계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주삼환(1974).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에 관한 가설 검증.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차경호(1999).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호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한성희(1986).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교사의 직무성, 만족도 및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정원(1997). 자기표현성이 건강 및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황영숙(2001).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부담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lbrow, M.(1970). Bureaucracy. New York : Praeger Publisher.
Allport, G.W.(1961). Pattern and Growth in Personality.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Andrew, F.M. & Withey, S.B.(1976).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Americans' Perceptions of Life Quality. New York: Plenum Press
Angle, H.L., and Perry, J.L.(1981). An Empirical Asess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dministrative Science
하고 싶은 말
조직효과성의 개념과 변인을 찾아보는 내용입니다. 선행연구의 탐구로 조직효과성을 연구한 자료를 정리하였고 사례로서 학교에서의 조직 연구를 찾아보았습니다. 국내의 연구동향의 분석과 사례를 분석하였고 조직효과성 평가준거 빈 도표를 R. M. Steers, "Problems in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Q. Vol 20, p.549, 1975의 기준에 의하여 정리하여 도표로 게재 하였습니다. 논문수준이라 가격이 약간 비쌉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