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케이션] 막말방송에 대한 내용분석(MBC, SBS, KBS2의 오락프로그램을 중심으로)

 1  [커뮤니케이션] 막말방송에 대한 내용분석(MBC, SBS, KBS2의 오락프로그램을 중심으로)-1
 2  [커뮤니케이션] 막말방송에 대한 내용분석(MBC, SBS, KBS2의 오락프로그램을 중심으로)-2
 3  [커뮤니케이션] 막말방송에 대한 내용분석(MBC, SBS, KBS2의 오락프로그램을 중심으로)-3
 4  [커뮤니케이션] 막말방송에 대한 내용분석(MBC, SBS, KBS2의 오락프로그램을 중심으로)-4
 5  [커뮤니케이션] 막말방송에 대한 내용분석(MBC, SBS, KBS2의 오락프로그램을 중심으로)-5
 6  [커뮤니케이션] 막말방송에 대한 내용분석(MBC, SBS, KBS2의 오락프로그램을 중심으로)-6
 7  [커뮤니케이션] 막말방송에 대한 내용분석(MBC, SBS, KBS2의 오락프로그램을 중심으로)-7
 8  [커뮤니케이션] 막말방송에 대한 내용분석(MBC, SBS, KBS2의 오락프로그램을 중심으로)-8
 9  [커뮤니케이션] 막말방송에 대한 내용분석(MBC, SBS, KBS2의 오락프로그램을 중심으로)-9
 10  [커뮤니케이션] 막말방송에 대한 내용분석(MBC, SBS, KBS2의 오락프로그램을 중심으로)-10
 11  [커뮤니케이션] 막말방송에 대한 내용분석(MBC, SBS, KBS2의 오락프로그램을 중심으로)-11
 12  [커뮤니케이션] 막말방송에 대한 내용분석(MBC, SBS, KBS2의 오락프로그램을 중심으로)-12
 13  [커뮤니케이션] 막말방송에 대한 내용분석(MBC, SBS, KBS2의 오락프로그램을 중심으로)-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커뮤니케이션] 막말방송에 대한 내용분석(MBC, SBS, KBS2의 오락프로그램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차례

1. 문제 제기
2. 연구문제
3. 연구방법
가. 분석대상의 선택
나. 분석대상의 정의
(1)오락프로그램
(2)탈 공손 언어
(3)탈 공손 행동
다. 분석단위의 선정
라. 분석유목표
마. 분석결과보고
(1) 방송사 간 오락 프로그램의 탈 공손 행위 실태분석
(2)탈 공손행위와 시청률의 관계에 대한 분석
4. 맺음말
본문내용
1. 문제 제기

최근 지상파 방송사들의 수위를 넘은 ‘막말 방송’에 대해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오락 프로그램에서 나타나고 있는 방송 언어 사용 실태는 위험한 수준에 이르렀다. 실제 사례로 SBS(서울방송)는 예능 프로그램 (연출 김재혁, 김용권ㆍ이하 라인업)에서 방송된 ‘김구라의 욕설 방송’에 대해 예능국 국장이 직접 공개사과를 하고 해당 PD를 중징계하는 일도 발생했다. 이는 SBS만의 경우가 아니다. MBC(문화방송)의 간판 오락프로그램 ‘무한도전’은 막말방송 때문에 방송위원회의 경고를 받았다. ‘무한도전’은 ‘하찮은 놈’, ‘짝퉁’, ‘썩소’ 등 비속어, 반말, 유행어, 조어, 은어를 자막과 함께 반복 방송해 지적을 받았다. 이밖에도 라디오, 위성방송 등 많은 대중매체들이 막말의 남발로 인해 시청자들에게 철퇴를 맞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근본적으로 방송출연자들의 문제점으로 국한 할 수도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올바른 방송의 중요성에 대한 근본적 인식 부족이 가장 근본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부족은 프로그램제작 과정 전반에 걸쳐 나타날 수 있다. 방송대본의 집필에서 출연자들의 즉흥적 언어구사에 이르기까지 방송의 기본적인 공적 기능과 사회규범 형성기능에 어긋나는 경우가 허다하다. 결과적으로 시청자들은 이런 무분별한 재미 위주의 언어사용의 직접적인 피해자이지만, 대부분이 즐거움이라는 기능적 효용 아래서 묵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이러한 쇼․오락프로그램의 ‘막말’과 비방기제에 대하여 탄력적이 견해를 갖는 사람들도 있다. 방송이란 사회적인 현실을 반영하여, 시대에 흐름에 따라 변화해가는 것이기 때문에 요즘의 비방과 막말 또한 새로운 방송의 시도나 표현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가장 큰 기능인 즐거움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비방과 막말은 불가피하다는 견해도 존재한다. 더 이상 기존의 콩트나 건전한 개그는 요즘의 시청자들에게 즐거움을 가져다주지 못한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지나친 출연자들 간의 비방이나 반말, 은어 등을 포함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은 모두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다.
참고문헌
강길호. 1992a. 커뮤니케이션 목표와 체면 목표. 한국언론학보, 제27호.
1994.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공손전략. 한국언론학보, 제32호.
강연임. 2007. 오락프로그램 자막언어의 유형과 기능. 한국언어문학회. 제62권
김영용. 1999. 방송과 언어 : 오락 프로그램의 언어문제와 개선방안. 한국방송학회
오미영. 2006. 방송 언어의 탈 공손경향에 대한 분석.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전규찬. 2004. 텔레비전 오락의 문화정치학. 한울아카데미.
차인태. 2002. 방송언어 관계자(제작자, 출연자, 작가 등)의 언어자질 향상 방안연구. 방송 언어 사용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방송위원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