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

 1  [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1
 2  [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2
 3  [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3
 4  [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4
 5  [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5
 6  [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6
 7  [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7
 8  [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8
 9  [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9
 10  [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10
 11  [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11
 12  [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12
 13  [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13
 14  [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14
 15  [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15
 16  [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16
 17  [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17
 18  [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18
 19  [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19
 20  [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보사회론]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Who is Walter Benjamin?
1.Aura of Benjamin
2.왜 벤야민인가?

Ⅱ.벤야민의 기술복제시대와 아우라
1.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2.아우라(Aura)란 무엇인가?
3.기술복제시대의 아우라의 몰락

Ⅲ.기존 예술, 기술복제시대의 예술과 어떻게 다른가?
1.기술복제시대 예술작품의 특징
2.기술복제의 예술 : 사진과 영화’

Ⅳ.대중 : 예술을‘달리’보다
1.예술작품을 대하는 대중의 태도변화
2.예술로 얻는 지각의 심화

Ⅴ.정보화 시대와 아우라
1.기술복제에서 전자복제로
2.디지털 환경 속의 아우라
본문내용
1. Who is Walter Benjamin?
1.1. Aura of Benjamin
1.1.1. 비주류, 혹은 선구자로서의 벤야민 김광남,「발터벤야민의 미학에서 아우라(Aura)의 몰락과 지각의 변화」, 2005, 대진대 철학과 문화철학전공 석사, p. 1~3 참조
1.1.1.

발터 벤야민 Walter Benjamin, 1892~1940, 이하 ‘벤야민’으로 표기.
은 20세기 초반, 세계경제공황과 그 뒤를 이어 나치스(Nazis)의 부상이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던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 제 1차 세계대전 후인 1918년에 일어난 독일혁명Die Deutsche Revolution으로 1919년에 성립한 독일 공화국. 온건파인
사회민주당, 중앙당, 민주당이 내각을 결성하고 바이마르 헌법을 제정했으며, 1929년 말기에 시작된 세계경제공황으로 경제적
타격을 받은 후 1933년 히틀러A.Hitler의 나치스 정권 수립으로 소멸되었다.
말기에 활동한 문화철학가이자 미학자이다. 그는 루카치 G. Lukάcs, 1885~1971
, 아도르노 T. W. Adorno, 1903~1969
와 함께 당시 독일 문화비평계를 대변한다.
벤야민은 제국주의가 전쟁으로 치닫던 광기의 시대에 유럽 대륙 한복판에서 대중문화의 본질에 대해 고민했다. 그는 맑스 K. Marx, 1818~1883
의 유물론과 유대교 신비주의를 미학적으로 결합하여 대중문화의 현실을 파악하고 미래를 진단했다. 유태계 독일인이었던 그는 도저히 결합할 수 없을 것으로 보였던 두 가지 전통을 자신의 텍스트 안에서 하나로 만들어내고 있다. 다시 말해서 벤야민은 “기술복제의 등장으로 예술 작품의 아우라(Aura)가 몰락한다”는 그만의 독특한 언어―즉, 텍스트―로 현대 대중문화의 징후를 분석한 것이다.
하지만 벤야민은 아렌트 H. Arendt, 1906~1975
가 지적한 바와 같이 당대에는 비주류 학자였다. 동시대인들에게는 인정받을 수 없고, 사후에야 명성을 얻게 된 벤야민의 독창성에 대해 아렌트는 "사후명성이란 분류할 수 없는 사람들, 즉 그 작품이 기존 질서에 들어맞지도 않고, 또한 미래의 분류에 적합한 새로운 장르를 도입하지도 않은 이들의 운명"이라고 평했다. H. Arendt,「Illuminations」, 1969, p. 3.; 리차드 커니,「현대 유럽철학의 흐름」, 곽영아 역, 1992, 한울, p. 222~223에서
재인용
그는 특유의 비의적(秘義的) 문체와 난해한 방법론적 성찰 때문에 당시 게오르게 S. George, 1868~1933
학파의 영향권에 아래 있던 강단문학으로부터 외면당했다. 이에 대하여는 [나. 벤야민의 생애]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한다.
또한 유대주의(zionism)에 대한 호의와 깊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유럽의 문화전통을 포기할 만큼 신념에 찬 유대민족운동가도 아니었다. 그리고 루카치나 브레히트 B. Brecht, 1898~1933
를 통해 맑스주의를 접하게 된 후에도 자신의 신학적 이념을 굽히지 않음으로써 정통 맑스주의에서도 비껴서고 있다. 게다가 학술적이고 경제적인 지원을 받았던 프랑크푸르트학파 프랑크푸르트학파Frankfurter Schule:1930년대 이후 프랑크푸르트의 사회연구소를 무대로 활약한 철학자들의 조직.
중심인물로는 호르크하이머 M.Horkheimer, 아도르노, 마르쿠제H.Marcuse, 프롬E.Fromm, 하버마스J.Habermas, 슈미트
A.Schmidt 등이 있다. 정통파 마르크스주의의 교조주의(敎條主義)에 반대하면서도, 어떤 의미에서든 마르크스의 동기(動機)를
계승, 그것을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미국 사회학의 방법을 결합시켜 현대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비판이론을 전개하였다.
에서의 그의 위치를 살펴봐도 벤야민은 비주류학자였다. 오창호,「맥루한과 벤야민」, 한국언론학회,『한국언론학보』, 48권 3호, 2004, p. 413~414에서 인용.

참고문헌
김광남,「발터벤야민의 미학에서 아우라(Aura)의 몰락과 지각의 변화」, 2005, 대진대 철학과 문화철학

H. Arendt,「Illuminations」, 1969 ; 리차드 커니,「현대 유럽철학의 흐름」, 곽영아 역, 1992, 한울

오창호,「맥루한과 벤야민」, 한국언론학회,『한국언론학보』, 48권 3호, 2004

반성완,「발터 벤야민의 비평개념과 예술개념」,『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1983, 민음사, p. 357.

앤디 메리필드,『매혹의 도시, 맑스주의를 만나다』, 남청수 역, 2005, 시울 참조.

베른트 비테,『발터 벤야민』, 윤미애 역, 2001, 한길사 참조.

김준연․ 배용준,『예술과 철학』, 2003, 문경출판사

노베르트 볼츠․ 빌렘 반 라이엔『발터 벤야민 : 예술, 종교, 역사철학』, 김득룡 역, 2000, 서광사

심혜련, 『발터 벤야민의 아우라 개념에 관하여』, 146쪽

권수미, Digital 사진의 「Aura」의미 규명에 관한 연구

고형재, 기계 복제시대의 미술작품에 있어서 'Aura'에 대한 연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