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대사] 삼국 말기의 정치과정

 1  [한국고대사] 삼국 말기의 정치과정-1
 2  [한국고대사] 삼국 말기의 정치과정-2
 3  [한국고대사] 삼국 말기의 정치과정-3
 4  [한국고대사] 삼국 말기의 정치과정-4
 5  [한국고대사] 삼국 말기의 정치과정-5
 6  [한국고대사] 삼국 말기의 정치과정-6
 7  [한국고대사] 삼국 말기의 정치과정-7
 8  [한국고대사] 삼국 말기의 정치과정-8
 9  [한국고대사] 삼국 말기의 정치과정-9
 10  [한국고대사] 삼국 말기의 정치과정-10
 11  [한국고대사] 삼국 말기의 정치과정-11
 12  [한국고대사] 삼국 말기의 정치과정-12
 13  [한국고대사] 삼국 말기의 정치과정-13
 14  [한국고대사] 삼국 말기의 정치과정-14
 15  [한국고대사] 삼국 말기의 정치과정-15
 16  [한국고대사] 삼국 말기의 정치과정-16
 17  [한국고대사] 삼국 말기의 정치과정-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고대사] 삼국 말기의 정치과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4조. 삼국 말기의 정치과정
■ 고대국가의 대내적 모순 - 국가완성기에 대왕집권체제의 확립에 따른 변동
가. 고구려의 국내계와 평양계
나. 백제의 한강계와 금강계
다. 신라의 범내물왕계와 사륜계
본문내용
14조. 삼국 말기의 정치과정




■ 고대국가의 대내적 모순 - 국가완성기에 대왕집권체제의 확립에 따른 변동
ⅰ. 대왕과 민民의 관계 : 피정복지(지방)까지는 왕의 권력이 미치지 않던 이전과 달리 이 시기에는 피정복지의 민도 왕의 지배를 받는 민으로 파악됨으로써 수취 대상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 왕의 민에 대한 직접지배
ⅱ. 대왕권의 확립과 전쟁의 성격 변화 : 이 시기의 전쟁은 귀족세력의 경제적 기반으로서 포로 획득의 의미가 컸던 과거의 전쟁과는 달리 총력전의 형태를 가졌으며 대왕의 영토를 확장한다는 의미가 더 강해졌다. 왕토 확장의 의미는 왕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전쟁을 지휘하는 친솔형親率型전쟁의 빈도가 높아졌다는 데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그 이전에는 찾아볼 수 없었던 대량의 살육도 포함됐다.
ⅲ. 귀족세력 간의 정치투쟁 : 삼국이 발전 과정에서 귀족세력들의 범위 또한 확대되었고, 왕권전제화가 이뤄지면서 확대된 귀족세력들은 그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분열되고 대립하게 되었다. 이 중 기성귀족세력은 기존의 귀족평의체제 옹호를 통해 기득권을 유지하고자 하였고, 귀족세력 확대 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신진귀족세력은 대왕전제체제에 편승함으로써 세력기반의 확대를 도모하였다. 이 때 정치권력을 장악해야 그들의 경제적 이익을 끌어올 수 있었기 때문에 이들에게 왕위계승은 매우 중요한 문제였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과거에는 귀족회의에서 합의를 통해 왕위계승의 후보를 추대하던 관행이 귀족세력들 간의 이해관계가 걸린 왕위계승권을 둘러싼 쟁탈전으로 변화했다.
ⅳ. 변화의 방향 : 위와 같은 귀족세력 간의 정쟁은 삼국에서 모두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왕에게 집중된 권력을 바탕으로 중앙집권적 귀족관료체제를 통치의 기본구조로 삼는 새로운 사회로 이행하기 위한 과정이었다.
참고문헌
강경구, 『고구려의 건국과 시조숭배』, 서울 : 학연문화사, 2001
강만길 외, 『한국사』3, 서울 : 한길사, 199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5 & 6 & 7, 서울 : 탐구당문화사, 1997
김부식, 이재호 역, 『삼국사기』1ㆍ2ㆍ3, 서울 : 솔출판사, 1997
김영하, 『韓國古代社會의 軍事와 政治』, 서울 :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院, 2002
김정배 편저, 『한국고대사입문. 2, 삼국시대와 동아시아』, 서울 : 신서원, 2006
노중국, 『백제정치사연구』, 서울 : 一潮閣, 1988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서울 : 사계절출판사, 1999
田溶新 역, 『日本書紀』, 서울 : 一志社,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