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이황의 사상과 교육관fp

 1  [교육학] 이황의 사상과 교육관fp-1
 2  [교육학] 이황의 사상과 교육관fp-2
 3  [교육학] 이황의 사상과 교육관fp-3
 4  [교육학] 이황의 사상과 교육관fp-4
 5  [교육학] 이황의 사상과 교육관fp-5
 6  [교육학] 이황의 사상과 교육관fp-6
 7  [교육학] 이황의 사상과 교육관fp-7
 8  [교육학] 이황의 사상과 교육관fp-8
 9  [교육학] 이황의 사상과 교육관fp-9
 10  [교육학] 이황의 사상과 교육관fp-10
 11  [교육학] 이황의 사상과 교육관fp-11
 12  [교육학] 이황의 사상과 교육관fp-12
 13  [교육학] 이황의 사상과 교육관fp-13
 14  [교육학] 이황의 사상과 교육관fp-14
 15  [교육학] 이황의 사상과 교육관fp-15
 16  [교육학] 이황의 사상과 교육관fp-16
 17  [교육학] 이황의 사상과 교육관fp-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학] 이황의 사상과 교육관fp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이황의 생애

3. 이황의 사상적 기본성격
1) 영남학파의 형성

2) 이원론
(1) 리(理)는 자연히 양을 낳고 음을 낳는다.
(2) 리는 본체적[體], 기능적[用]인 두 가지 양상을 가지고 있다
(3) 리는 추상적인 원리로서 그 자신 운동성과 생성력이 있다.
(4) 리는 기에 내재되어 기의 존재 법칙이 된다.

3)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1) 사단칠정이란
(2) 영남학파와 기호학파가 대립, 논쟁하는 불씨가 됨
(3) 사칠논쟁의 학문적 의의
4) 성학집도
5) 주자학과 양명학의 차이-이황은 양명학을 비판함

4. 이황의 경(敬) 사상


5. 이황의 교육사상
1) 청백리의 공직자

2) 이황의 학문방법과 교육방법
(1) 학문의 방법
(2) 교육의 방법

(3) 이황의 교육관
① 이황은 제자를 인격형성에 감화 주는 스승임
② 열성을 다한 강론에 열중함
③ 예를 바탕으로 학문할 것을 요구함
④ 학문의 지속성 강조함

6. 퇴계학의 국제화가 필요함

7. 나오는 말
본문내용

퇴계선생은 높은 벼슬자리는 마다하고 낮으면서도 자연과 더불어 학문을 할 수 있는 외직을 주로 원했다. 원래 이황은 원래 높은 자리에 올라 이름을 날리는 것을 꺼려했으며 그의 형이 간신들에 의해 억울하게 죽음을 당하자 재야로 물러가 숨을 굳혔다고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이황이 살다 간 16세기에 왕은 조광조를 비롯한 사림이 일망타진 된 후 권력에 매달리는 사람들에게 최고 위직을 맡기면서 임금자리를 굳혔다. 그런 상황에서 조심스럽게 자신의 소신을 피력했던 이황도 권력자들로부터 모함을 받았다. 이런 정치 상황에서는 조광조처럼 강하게 나가면 목숨이 위험했다. 이황은 자신이 옳다고 알고 있는 바를 관직에서 실천하지 못할 바에는 차라리 물러 나는게 옳다고 여겼다. 선생은 자주 병에 시달렸으나, 천성이 학문을 좋아하여 독서와 사색에 잠기는 생활을 즐겨하였으며, 오직 어머니를 섬기면서 집안일이나 착실히 다스려 나가려고 했을 뿐 벼슬하여 출세할 뜻은 별로 없었다.

현대의 교육은 근대 서구 사회의 영향으로 미국의 주도적인 교육구조와 방식에 이끌려 가면서 한국사회의 교육은 나아갈 방향을 제대로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올바른 교육방식을 깨닫고, 참된 교육적 인간상을 구현하는데 힘들고 우려되는 점이 적지 않다. 한국 사회의 현실이 과거의 과정이 없이 우연발생적으로 존재할 수 없는 것이기에 한국 교육의 뿌리 속에 나타났던 교육이상과 교육적 인간상은 한국교육의 나아갈 목표와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라는 믿음으로 조선시대 위대한 성인이자 교육자인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교육 이념과 사상을 바탕으로 현대 교육에 접목시켜 보려 한다. 그런데 이들은 16c의 사람이고 현대는 21c의 시점에서 이들의 지혜로 어떻게 현대교육이념의 문제를 논하려 하느냐고 말할 수도 있지만 인간의 본질은 항상 불변하는 것이고 교육의 본질도 변하지 않는 원리가 있는 것이며, 그것을 이해하는 데는 보통사람의 지혜보다는 선현의 지혜를 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퇴계의 사상은 21세기를 이끌어가는 지침으로서 정치가, 교육가들에게 모법이 될 것이며 이러한 사상을 국제화 세계화시키는 작업이 정부와 각 학계에서 활발하게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관련 사이트 : user.chollian.net/~mypc21/leeh.htm my.netian.com/관련 서적 : 최승범의 `선악이 모두 나의 스승이라` -석필 출판사교육사철학/교육과학사퇴계 이황과 도산서원
『국역 퇴계집 I』,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77, 우리에게 있어서 이퇴계는 누구인가/김유혁/항산문고
정성철의 조선 철학사 -좋은책부남철의 조선시대 7인의 정치사상 -사계절정옥자의 시대가 선비를 부른다 -효형 출판
한국의 유학사상/서광사/황의동
하고 싶은 말
이황의 사상고찰이
상세하게 언급잘되어 있습니다
잘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