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

 1  [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1
 2  [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2
 3  [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3
 4  [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4
 5  [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5
 6  [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6
 7  [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7
 8  [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8
 9  [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9
 10  [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10
 11  [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11
 12  [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12
 13  [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13
 14  [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14
 15  [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15
 16  [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16
 17  [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17
 18  [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18
 19  [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19
 20  [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양심리학] 한국인의 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서 론 3

제 2장. 본 론 3
(1)恨의 감정 3
(2)恨의 심리적 특성 4
Ⅰ. ‘恨’의 심리상태 4
Ⅱ. ‘恨’의 심리학적 개념화 8

(3)사례를 통한 한의 심리적 이해 11
①한국 무속(샤머니즘)에서 나타난 한과 굿의 관련성 11
②연산군의 恨 12
③야스쿠니신사참배사건 [靖國神社參拜事件(정국신사참배사건)] 14
④교육열 (치맛바람, 목적지상주의) 16
⑤위안부 할머니( 한맺힌 얼굴 펴질날 언제일까 ) 16

(4)恨의 심리학적 함의 18

제 3장. 결론 20

제 4장. 논의점 21
1. ‘恨’과 ‘怨’이해관점을 통한 ‘한’정서는 우리나라에는 존재하는 하는 것인가? 21
2. ‘恨’이 유독 여성에게서 대표되는 경향 있다. 다음 자료에 대해 논의해보자. 21
3. ‘恨’을 심리학적으로 어떻게 이해하고 치료해야 하는가? 23
본문내용
제 1장. 서 론

동양심리학과 서양심리학의 만남은 인간의 경험과 삶의 관심사 전 영역에 걸치는 새로운 전망으로의 가능성을 지닌 미래의 인간 과학의 중요한 문맥을 약속한다.
한국인은 신체적 심리적인 개인차에도 불구하고 긴 역사 과정에서 우리 민족 고유의 성격과 기질을 형성해 왔다. 그리고 그것은 민족 공동의 것으로 내면화되고 체질화되었다.
민족은 객관적 사실에 의해 주관적으로 자극받게 되면 민족 감정을 표출한다.
이 민족감정은 민족의식과 같은 동전의 앞뒷면의 관계를 갖고 있다.
우리는 노래나 문학, 모든 생활 전반에서 독특한 우리만의 정서를 나타낸다.
그중에서도 여기에서는 한국의 대표적 정서인 한의 개념과 한이 포함하고 있는 심리학적 특성을 통한 심리학적 함의는 무엇인가에 대해서 우선 설명하고 여러 사례들로 표출 된 한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어떻게 해석 되어야 할 것인가를 제시하며 이를 토대로 한 동양에서의 한(恨) 그리고 서양에서의 분노와 연관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 2장. 본 론

(1)恨의 감정

우리가 직접 느끼는 한의 감정들에 대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추상적이기만 한에 대한 막 연한 감정을 원망, 답답한, 무기력, 후회스러움, 고통, 서러움, 슬픔, 체념 등이 가장 보 편적 응답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恨’의 심리상태가 ‘怨’과 섞여있음을 나타내며, 좌절과 이에 따른 고통 및 이것들에 감정적으로 수반되는 불행한 무드상태로 ‘恨’의 심 리가 요약될 수 있는 것 같다.

다시 자신이 그린 한 많은 사람의 감정상태에 대한 질문의 응답을 보면 쓸쓸하고 우울 함, 무감정 및 체념, 안정된 감정상태이나 경우에 따라 감정이 급격히 변화됨, 인정이 많음 등이 가장 보편적 응답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감정상태들은 위의 ‘恨’에 대해 직접 적으로 묻는 질문에 대한 반응과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바, 전자에서는 욕구좌절에 따른 불만족과 심리적 고통이 두드러진 반응특성이나, 후자에서는 이러한 정동성 감정 이 어느 정도 처리되어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심정(affect)상태로서의 ‘恨’이 특징적으 로 나타난다.
참고문헌
최상진. 한의 심리학의 특성.
加瀨英明(1989). 한의 한국인 황공해하는 일본인, 한국브리태니커회사, pp. 45-51.
김열규(1975). 恨脈怨流, 主友.
김열규(1980). 怨恨, 그 짙은 안개, 범문출판사, pp.26-27.
김열규(1986). 한국인 우리들은 누구인가, 자유문학사, pp. 123-133.
김용운(1986). 日本人과 韓國人의 意識構造, 한길사, pp. 106-119.
김용운(1989). 韓日 민족의 原形, 평민사, pp.283-284.
민성길(1991). 홧병과 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연구실.
여동찬(1987). 異邦人이 본 韓國, 韓國人, 중앙일보사 부설경제문제 연구소, pp. 47-50.
이규태(1987). 조선일보, 1987, 12,15.
이규태(1991). 韓國人의 버릇, 신원문화사, pp. 279-281.
이어령(1978). 한국인 재발견, 교학사.
이어령(1982). 중앙일보, 1982, 9,22.
정대현(1987). 한국어와 철학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p. 69-83.
최길성(1991). 韓國人의 恨, 도서출판 예진, pp. 11-28.
한완상, 김성기(1988). 現代資本主義와 共同體이론-恨에 대한 민중사회학적 試論, 한길사, pp. 253-29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