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어학의 이해] 한국어와 스페인어 어순비교

 1  [스페인어학의 이해] 한국어와 스페인어 어순비교-1
 2  [스페인어학의 이해] 한국어와 스페인어 어순비교-2
 3  [스페인어학의 이해] 한국어와 스페인어 어순비교-3
 4  [스페인어학의 이해] 한국어와 스페인어 어순비교-4
 5  [스페인어학의 이해] 한국어와 스페인어 어순비교-5
 6  [스페인어학의 이해] 한국어와 스페인어 어순비교-6
 7  [스페인어학의 이해] 한국어와 스페인어 어순비교-7
 8  [스페인어학의 이해] 한국어와 스페인어 어순비교-8
 9  [스페인어학의 이해] 한국어와 스페인어 어순비교-9
 10  [스페인어학의 이해] 한국어와 스페인어 어순비교-10
 11  [스페인어학의 이해] 한국어와 스페인어 어순비교-11
 12  [스페인어학의 이해] 한국어와 스페인어 어순비교-12
 13  [스페인어학의 이해] 한국어와 스페인어 어순비교-13
 14  [스페인어학의 이해] 한국어와 스페인어 어순비교-14
 15  [스페인어학의 이해] 한국어와 스페인어 어순비교-15
 16  [스페인어학의 이해] 한국어와 스페인어 어순비교-16
 17  [스페인어학의 이해] 한국어와 스페인어 어순비교-17
 18  [스페인어학의 이해] 한국어와 스페인어 어순비교-18
 19  [스페인어학의 이해] 한국어와 스페인어 어순비교-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스페인어학의 이해] 한국어와 스페인어 어순비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어순이론

2. 언어의 일반적인 특징
(1)주어
(2)목적어
(3)보어

3. 한국어 어순의 특징

4. 스페인어 어순 특징

5. ‘한국어VS일본어' '스페인어VS라틴어’ 비교

6. 맺음
본문내용
1. 어순이론
어느 나라의 언어든 언어 표현상에 있어서 기초 어순을 가지고 있다. 언어 변화에 의하여 단어의 문법적 기능이 명확한 고대 인구어는 어순이 고정적이지 않았으나 현대의 인구어 계통의 언어들은 어순이 일정한 형태로 고정된 어순을 가지고 있다. 또한 “文은 발음상 유한한 구문요소가 일정한 차례로 일선상에 맺어진 연쇄라고 볼 수 있다. 이런 면에서 흔히 어순(word-order)이라고도 하는 요소순위는 어느 언어든지 보편적으로 정상적인 규칙이 있다. 이 차례는 오랜 전통으로 굳어진 구문규칙이며, 이 규칙은 사적으로도 좀처럼 개변되지 않는 성질이다(김민수 1993:227).
스페인어는 우리나라와는 다른 어순의 차이로 스페인어 학습에 있어 적지 않은 오류를 가져온다.
문장의 형태는 문의 성질에 따라, 또한 학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지만, 양국어의 대조를 위해 일반적인 구문을 이용하겠다.
어순에 대한 연구는 주로 어순에 의한 언어유형론의 수립 및 어순의 통시적 변화에 대한 관심으로 집중된 형태적 관점, 옛 정보와 새 정보, 화제, 강조 따위가 어순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연구한 기능적 관점, 어린이 말에서의 어순 연구 및 인간의 사고가 어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한 심리적 관점의 3가지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Behagel이 세운 3가지 어순법칙은 초기의 연구 경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제 1법칙: 정신적으로(의미상으로)같은 부류에 속하는 것은 서로 가까이(통사적으로) 위치 한다.
제 2법칙: 앞선 사항을 나타내는 요소, 즉 옛 정보를 나타내는 요소는 새로운 사항을 나 타내는 요소에 앞선다.
제 3법칙: 수식하는 요소는 수식받는 요소에 앞선다(채완 1986:11).

어순의 이론이 본격적으로 전개된 것은 프라그 학파의 학자들에 의해서였다.
“프라그학파를 세운 학자들 중의 하나인 Mathesius는 어순의 결정 요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문법적 기능이다. 문장 구성에 있어서 단어의 위치는 주어, 서술어, 목적어와 같은 문법적 기능에 따라 결정된다.(…). 둘째, 리듬이다. 셋째, 화순이다. 화제는 정상적인 경우 문장 첫머리에 위치한다. 화제-평언의 순서로 배열되는 것은 객관적 어순(object order)이며, 그 반대로 된 것은 주관적 어순(subject order)이다.(…). 넷째. 강조이다. ”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김기혁(2001), 국어학, 박이정.
김동소(2005), 한국어 특질론, 정림사.
김승렬(1988), 국어 어순 연구, 학위논문 고려대.
김은경(1995), 스페인어 어순 연구, 학술저널 어학연구 Vol.31 No.1 서울대학교 어학연구 소, pp21-42.
박영순(1993), 현대 한국어 통사론, 서울: 집문당.
서경석(1999), 서어학개론, 송산출판사
서정수(1996), 현대 국어 문법론, 한양대학교 출판원.
성충훈(1999), 스페인어와 한국어의 어순대조 연구, 울산대학교.
이도열(1996), 한일 어순 비교 연구-A Comparative Study on the Word Order in korean and Japanese, 人文論叢, Vol.3 No.-.
이익섭/임홍번(1983), 국어 문법론, 서울: 학연사.
채완(1986), 국어 어순의 연구, 탑출판사, 서울.
최재희(2004), 한국어 문법론, 태학사.
Chomsky. N.(1981), Lectures on Government and Binding, Dordrecht Foris.
Gili Gaya, S. (1961) Curso superior de sintaxis española, Bibliograf, Barcelona.
Greenberg. H. (ed)(1963), Universals of Languages, MIT Press.
Greenberg/Joseph H.(1966), 'Some Universals of Grammar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Order of Meaningful Elements' in Greenberged "Universals language" MIT Press. Cambrige.
Jo. M. J(1986), Fixed W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