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불안정협심증케이스(unstable angina case study)

 1  [간호학] 불안정협심증케이스(unstable angina case study)-1
 2  [간호학] 불안정협심증케이스(unstable angina case study)-2
 3  [간호학] 불안정협심증케이스(unstable angina case study)-3
 4  [간호학] 불안정협심증케이스(unstable angina case study)-4
 5  [간호학] 불안정협심증케이스(unstable angina case study)-5
 6  [간호학] 불안정협심증케이스(unstable angina case study)-6
 7  [간호학] 불안정협심증케이스(unstable angina case study)-7
 8  [간호학] 불안정협심증케이스(unstable angina case study)-8
 9  [간호학] 불안정협심증케이스(unstable angina case study)-9
 10  [간호학] 불안정협심증케이스(unstable angina case study)-10
 11  [간호학] 불안정협심증케이스(unstable angina case study)-11
 12  [간호학] 불안정협심증케이스(unstable angina case study)-12
 13  [간호학] 불안정협심증케이스(unstable angina case study)-13
 14  [간호학] 불안정협심증케이스(unstable angina case study)-14
 15  [간호학] 불안정협심증케이스(unstable angina case study)-15
 16  [간호학] 불안정협심증케이스(unstable angina case study)-16
 17  [간호학] 불안정협심증케이스(unstable angina case study)-17
 18  [간호학] 불안정협심증케이스(unstable angina case study)-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간호학] 불안정협심증케이스(unstable angina case study)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간호력
2.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1)병인론(Pathophysiology)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2)임상증상(Clinical Manifestation)
3) 진단(Diagnosis)
4)치료(Treatment)
5)간호(Nursing care)
3. 대상자의 간호과정(Nursing Process for This Case)
(1) 초기사정자료 (Initial Data, 간호력)
(2) 간호과정(Nursing Process)
4.투약(Medication and Fluid Administration)
5.특수치료(Special Treatment)
6.진단적 검사결과
7.참고문헌(references)
본문내용
2.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1)병인론(Pathophysiology)
불안정형 협심증은 흔히 중간형 관상동맥 증후군(intermediate coronary syndrome)이라고도 하며 만성적으로 조절된 안정형 협심증과 급성 심근경색증의 중간 단계에 위치한 위험한 상태의 협심증이다. 따라서 치료의 목적은 협심증 증상을 완화시키고 심근경색을 예방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흔히 심장중환자실에서 입원치료를 통한 적극적인 치료 및 간호가 요구된다.
백혈구 증가나 SGOT, CPK CK의 상승이 없으며 심전도상에서는 심근허혈로 인하여 ST와 T파의 변화가 나타나나 Q파의 출현 등의 심근경색증 소견은 볼 수 없다. 불안정 협심증을 나타내는 환자의 20~30%에서는 3개월 이내에 심근경색증으로 이행된다.
불안정형 협심증의 5가지 기전으로는 ① 죽상경화반의 균열위로 폐쇄를 일으키지 않는 혈전(주로 혈소판 응집), ② 역동적 폐쇄-이형(Prinzmetal) 협심증의 경우와 같이 관상동맥 연축이 생기는 경우 또는 미세혈관 협싱증의 경우와 같이 미세관상동맥의 비정상적 수축이 생기는 경우, ③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이후 심한 기질성 혈관협착이 생기는 경우, ④ 동맥염증으로 혈전이 생기는 경우, ⑤ 고정된 심한 관상동맥 질환이 있는 사람에게 빈맥, 발열, 갑상선 중독증과 같이 심근의 산소요구량이 증가하는 경우이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전이 작용하게 된다.

2)임상증상(Clinical Manifestation)
환자 대부분은 흉통을 호소한다. 발작적인 흉통이 안정 중에도 나타나며 운동 중에 발생한 흉통은 안정을 취해도 경감되지 않는다. 발작 횟수가 증가되고 흉통의 지속시간이 길어지며 흉통의 강도가 심해지나 분명한 심근괴사의 증거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 때 흉통은 30분 혹은 그 이상 지속되며 환자는 흔히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게 된다.
흉통 없이 호흡곤란, 피로, 심계항진 또는 실신의 증세로 나타나기도 한다. 임상적으로 관상동맥내경이 75% 이상 죽상경화반이나 혈전에 의해 막히게 되면 운동할 때 심근에 산소공급의 부족으로 특징적인 흉통을 유발하고, 내경이 90~95%좁아지면 가만히 있을 경우에도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수문사 서문자 외
성인 내∙외과 간호학 형설출판사 최정신 외
하고 싶은 말
성인간호학 실습으로 심장내과에서 본 환자에 대해 쓴 케이스입니다.
A+맞았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