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

 1  [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1
 2  [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2
 3  [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3
 4  [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4
 5  [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5
 6  [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6
 7  [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7
 8  [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8
 9  [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9
 10  [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10
 11  [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11
 12  [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12
 13  [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13
 14  [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14
 15  [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15
 16  [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16
 17  [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17
 18  [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18
 19  [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19
 20  [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어영문학] 형식주의비평(햄릿,영굿맨브라운,일상적사용을통해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Hamlet

2.Everyday Use

3.YoungGoodManBrown

작품 본문을 통한 형식주의적 접근(비평)
본문내용
1. Hamlet 비평개요

『햄릿』에 대한 19세기를 풍미한 성격심리비평 특히, A. C. Bradley의 『셰익스피어 비극』(1904)에서 ‘우울증’으로 복수지연을 분석함으로 햄릿에 대한 낭만비평의 완성을 이룬다. 하지만 20세기에 들어 브래들리를 위시한 낭만 비평가들의 성격심리 비평에 대해 반경이 가해진다. 20세기 비평가들은 햄릿을 마치 실재 인물처럼 생각하고 등장인물을 극단적으로 추상화하면서 작품을 분석하는 태도를 거부한다. 1919년 T. S. Eliot은 『햄릿』에서 중요한 것은 작품이고 패턴이지 ‘인물’이 아니라고 성격심리 비평을 비판하면서, 주인공의 감정을 객관화하여 표현해 낼 수 있는 “객관적 상관물”을 『햄릿』에서 발견할 수 없으므로『햄릿』은 “예술적 실패작”이라는 유명한 평을 하고 있다.
1930년대에 들어 셰익스피어 작품의 이미지와 상징 분석을 통하여 작품을 ‘유기적 통일체’(Organic Whole)로 파악하려는 소위 시적 접근(Poetic Approach) 혹은 상징적 접근(Symbolic Approach)이 셰익스피어 작품에 대한 주도적인 접근 방식으로 등장하였다. 이들의 분석 방식은 신비평의 전제에 충실하여 극을 한편의 잘 짜인 시로 간주하고 분석한다. 따라서 성격심리 비평에서 그토록 중시하였던 ‘인물의 성격’은 유기적 통일체를 형성하는 일부요소에 지나지 않는다. 이들에게 중요한 것은 반복되는 이미지와 상징을 통해 패턴을 찾아내고 유기적 통일체로서의 시에 접근하는 것이다. 셰익스피어의 작품이 시의 리듬을 유지하고 시적 언어로 쓰여 있고 시적인 이미저리를 통해 주제가 표현된다고 간주하는 이들은 정교하게 짜인 언어의 결을 비집고 들어가 작품을 해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시적 접근은 비평이라기보다는 ‘해석’이다. 작품의 장단점을 논의하기보다는 작품전체의 구조와 분위기와 주제, 이와 관련된 이미지와 상징, 모티브 등을 중시하면서 마치 한편의 시를 다루려는 듯한 자세를 견지하기 때문이다. 작품에 되풀이되어 나타나는 시적인 이미저리를 분석함으로써 한 작품 전체의 분위기와 주제를 파악하려고 했던 Caroline Spurgeon의 연구는 상당한 자극을 주었으며, 셰익스피어 작품은 근본적으로 시적 비전을 표현한 것이므로 그것을 이해하고 그 상징적 의미를 밝혀 낼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던 G. Wilson Knight의 해석역시 시사적이다.
윌슨 나이트에게 셰익스피어의 각 작품은 하나의 유기적 통일체이고 극의 핵심, 즉 극의 실재(Reality)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작품의 어느 일부 요소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플롯과 등장인물의 행동과 심리와 상징 등을 전체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인물과 사건과 분위기와 관련된 주도적 시적 상징의 패턴을 파악해 낼 수 있어야 한다. 그에게 『햄릿』의 주제는 죽음이고 작품은 질병의 이미저리로 가득 차 있고, 햄릿은 “죽음의 사자”이고 상징이다. 스퍼전의 이미저리 분석과 나이트의 상징 분석은 D. A. Traversi, L. C. Knights, W. H. Clemen, Cleanth Brooks, R. B. Heilman의 셰익스피어 연구로 이어져 1960년대까지 주도적 접근 방식으로 그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클리먼의 『햄릿』분석은 스퍼전과 나이트의 해석을 반영하면서 시적 접근의 전형적인 분석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반복되는 이미지는 작품의 주제 및 분위기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 행동과 사고와 이미지는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본다. 그에 따르면 『햄릿』의 지배적 이미저리는 부패와 병에 관한 이미저리이다. 부패와 문둥이처럼 살이 썩어 들어가게 하는 독과 잡초와 병과 종기의 이미저리가 개별적으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서로 관련을 맺으면서 작품 전체의 톤을 형성하고 주제를 제시한다. 즉 이들 이미지는 작품이 전달하고자 하는 중심 사상과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 통일체를 형성하여 클로디어스의 죄로 인해 썩어 들어가는 덴마크의 암울한 분위기와 악과 투쟁이란 중심 주제를 드러내 준다. 햄릿은 클로디어스를 제거하여 덴마크에 깊이 뿌리를 내려 이를 썩어 들어가게 하는 종기를 도려내야 한다.
셰익스피어의 극을 시로 간주하는 그들의 해석은 19세기의 성격심리 분석 못지않게 극장의 현실과는 유리된 작품 분석이다. 셰익스피어의 극이 심리소설이 아니기 때문에 등장인물의 성격 대신 언어와 이미저리와 상징을 분석의 초점으로 삼아야 한다던 그들의 연구는 아이러니컬하게도 성격심리비평과 동일한 오류를 범하고 있다.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무대 위의 상연을 전제로 쓰인 희곡이지, 심리소설도 시도 아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신비평과 형식주의 : 브룩스 외 / 이경수 외 옮김 (고려원)
문학비평이란 무엇인가 : 심원섭, 김광길 지음 (국학자료원)
Hawthorne 문학연구 : 이병주 (한신문화사, 1995)
Hawthorne과 다양성의 시학 : 박익두 (한신문화사, 1995)
미국문학과 전통 : 천승걸 (서울대학교 출판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