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고구려의 건국신화, 성립, 멸망과 고구려의 지방행정, 왕위세습, 교육제도, 결혼풍습 및 고구려의 대외관계 분석

 1  [고구려] 고구려의 건국신화, 성립, 멸망과 고구려의 지방행정, 왕위세습, 교육제도, 결혼풍습 및 고구려의 대외관계 분석-1
 2  [고구려] 고구려의 건국신화, 성립, 멸망과 고구려의 지방행정, 왕위세습, 교육제도, 결혼풍습 및 고구려의 대외관계 분석-2
 3  [고구려] 고구려의 건국신화, 성립, 멸망과 고구려의 지방행정, 왕위세습, 교육제도, 결혼풍습 및 고구려의 대외관계 분석-3
 4  [고구려] 고구려의 건국신화, 성립, 멸망과 고구려의 지방행정, 왕위세습, 교육제도, 결혼풍습 및 고구려의 대외관계 분석-4
 5  [고구려] 고구려의 건국신화, 성립, 멸망과 고구려의 지방행정, 왕위세습, 교육제도, 결혼풍습 및 고구려의 대외관계 분석-5
 6  [고구려] 고구려의 건국신화, 성립, 멸망과 고구려의 지방행정, 왕위세습, 교육제도, 결혼풍습 및 고구려의 대외관계 분석-6
 7  [고구려] 고구려의 건국신화, 성립, 멸망과 고구려의 지방행정, 왕위세습, 교육제도, 결혼풍습 및 고구려의 대외관계 분석-7
 8  [고구려] 고구려의 건국신화, 성립, 멸망과 고구려의 지방행정, 왕위세습, 교육제도, 결혼풍습 및 고구려의 대외관계 분석-8
 9  [고구려] 고구려의 건국신화, 성립, 멸망과 고구려의 지방행정, 왕위세습, 교육제도, 결혼풍습 및 고구려의 대외관계 분석-9
 10  [고구려] 고구려의 건국신화, 성립, 멸망과 고구려의 지방행정, 왕위세습, 교육제도, 결혼풍습 및 고구려의 대외관계 분석-10
 11  [고구려] 고구려의 건국신화, 성립, 멸망과 고구려의 지방행정, 왕위세습, 교육제도, 결혼풍습 및 고구려의 대외관계 분석-11
 12  [고구려] 고구려의 건국신화, 성립, 멸망과 고구려의 지방행정, 왕위세습, 교육제도, 결혼풍습 및 고구려의 대외관계 분석-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구려] 고구려의 건국신화, 성립, 멸망과 고구려의 지방행정, 왕위세습, 교육제도, 결혼풍습 및 고구려의 대외관계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고구려 성립과 멸망 과정

Ⅲ. 고구려의 건국신화

Ⅳ. 고구려의 지방 행정

Ⅴ. 고구려의 왕위 세습

Ⅵ. 고구려의 고분

Ⅶ. 고구려의 교육제도
1) 관학으로서 태학
2) 사학으로서 경당

Ⅷ. 고구려의 결혼 풍습

Ⅸ. 4세기 중반 고구려의 형세

Ⅹ. 고구려와 수나라 간의 전쟁

Ⅺ. 고구려의 대외관계 양상
1. 대중국관계
2. 대새외민족관계
3. 대백제․신라관계
4. 대외관계

Ⅻ.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구려는 삼국 중에서 가장 먼저 일어났으며 그들이 압록강의 북쪽 지류인 운하지역에서 단결하기 시작한 것은 1세기 이전으로 올라간다고 생각되지만, 압록강변 통구지방으로 내려와 강력한 왕국으로서 발전하는 것은 제 6 대 태조왕 때, 서기 100년 경 전후부터라고 추측된다. 고구려는 후에 반도안으로 내려와 명실공히 조국의 한나라로 되지만, 남쪽 한족의 나라들과는 달리 처음부터 만주에서 일어나고 만주에서 터전을 잡은 중국의 이른바 한외국가의 하나이며, 중국의 중원을 노린 여러 북방민족들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고구려는 중국측으로 보면 그 근본성격에 있어서 오호십육국의 하나와 똑같은 나라였으며, 이 점에서 신라나 백제와는 전혀 이질적인 존재라고 하겠다. 만일 신라나 백제가 고구려의 배후를 공격하지 않고 평화적인 관계를 유지하였다면 고구려는 비록 일시적일지는 몰라도 화북지방에 그 서울을 둘 수 있었을지 모른다.
이러한 고구려이기 때문에 그 문화는 화북지방뿐 아니라 소위 북방 이민족들과의 접촉을 통해서 서역 및 남시베리아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아들였건 것이다. 그뿐 아니라 일찍부터 낙랑과 직접적 관계를 갖고 또 후에는 그 고지를 점령했기 때문에 낙랑미술의 전통을 가장 많이 받아들이고 또 그것을 남쪽으로 퍼뜨리는 중간역을 하였던 것이다. 고구려의 국토는 충분한 농산물을 생산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들은 당시의 북방민족들이 그러했듯이 물자의 부족을 다른 지방에서 보충하는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 나라는 자연 진취적․호전적으로 되어야 했고, 5부로 형성된 부족국가체제로써 각부에서 차출되는 강력한 전사들이 핵심이 되어 대외적인 발전을 추진해 나아갔던 것이다. 「동이」라는 「이」자가 스스로 말하다시피 그들은 강력으로써 이름났으며, 한제국을 한 때 찬탈한 왕망도 고구려의 저격부대를 그의 대흉노전에 이용하려고까지 하였던 것이다.
참고문헌
◎ 김용만 저(1998), 고구려의 발전-새로 쓰는 고구려 문명사, 바다출판사
◎ 박경철(1996), 고구려의 국가형성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형구(1991), 한국 고대 문화의 기원, 까치
◎ 이도학, 삼국의 상호관계를 통해 본 고구려의 정체성
◎ 김용만(1999), 고구려의 그 많던 수레는 다 어디로 갔을까, 바다출판사
◎ 고운기,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삼국유사, 현암사
◎ 한국역사연구회, 고구려 왕조 700년사, 오상
◎ 김선풍 외(1996), 한국의 민속사상, 집문당
◎ 오순제지음(2004), 우리 고구려 찾아가기, 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