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용사] 조선시대 민속무용

 1  [한국무용사] 조선시대 민속무용-1
 2  [한국무용사] 조선시대 민속무용-2
 3  [한국무용사] 조선시대 민속무용-3
 4  [한국무용사] 조선시대 민속무용-4
 5  [한국무용사] 조선시대 민속무용-5
 6  [한국무용사] 조선시대 민속무용-6
 7  [한국무용사] 조선시대 민속무용-7
 8  [한국무용사] 조선시대 민속무용-8
 9  [한국무용사] 조선시대 민속무용-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무용사] 조선시대 민속무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1. 조선시대의 한국무용
2. 민속무용이란?
3. 민속무용의 형성과 발전


Ⅱ. 본론
1. 민속무용의 종류
1) 나비춤
2) 강강수월래
3) 승무
4) 살풀이
5) 가면극(탈춤)
6) 태평무
7) 진도북춤
8) 무당춤
9) 소고춤
10) 모방춤
11) 허튼춤


Ⅲ. 결론
1. 조선시대 민속무용 정리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조선시대의 한국무용
조선의 개국 초기에는 고려의 정치와 문화를 수용했으나 유교를 바탕으로 하는 국가질서가 확립됨에 따라 전승된 팔관회와 연등회 의식은 축소되고 산대잡극이나 나례가 성행하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특히 나례는 잡희무가 확대되면서 나례가 나희로 인식되었는데, 즉 나례 나희는 전적으로 무(舞)를 위주로 하며 민속무용의 바탕이 된다.
또한 나례도감 또는 산대도감의 설치는 국가적인 행사는 중국사신을 영접하는 자리에 연행됨에 따라 그 규모를 확대해 갔다. 즉 조선의 민속무는 산대도감 계열의 무와 남사당패나 솟대쟁이패가 갖는 각종 잡희의 춤, 무속에서 파생된 무속무, 농민을 위주로 하는 농악무, 사찰에서 행해지는 사찰무와 기방무(妓房舞) 등 광범위한 영역을 가지고 출발했으며 각각의 특성을 지니고 면면히 이어진 춤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조선시대는 궁중무용의 전성기로서 이때 만들어진 춤만도 36종이나 되며 조선 후기까지 추어진 정재는 총 55종에 잘한다. 《악학궤범》에 전하는 시용향악정재에 의하면 〈보태평지무(保太平之舞)〉〈정대업지무(定大業之舞)〉〈봉래의(鳳來儀)〉〈아박무(牙拍舞)〉〈향발(響鈸)〉〈무고(舞鼓)〉〈학무(鶴舞)〉〈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교방가요(敎坊歌謠)〉〈문덕곡(文德曲)〉 등 10가지가 수록되어 있고 조선 후기에 창작된 향악정재로는 〈가인전목단〉〈경풍도〉〈고구려무〉〈관등무〉〈무산향〉〈만수무〉〈망선문〉〈박접무〉〈보상무〉〈사선무〉〈영지무〉〈첩승무〉〈춘광호〉〈춘앵전〉등이고 당악정재로는 〈장생보연지무〉〈연백복지무〉〈제수창〉〈최화무〉등이 있다.
참고문헌

* 「韓國의 民俗춤」, 鄭昞浩 著, 삼성출판사, 1995.
* 「무용이론」, 오레지나, 서차영, 서영님, 전미숙, 성기숙 저
* 「무용사」, 김경숙, 서영님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