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개론] [법학개론]배아줄기세포의 연구에 관한 고찰(A+리포트)

 1  [법학개론] [법학개론]배아줄기세포의 연구에 관한 고찰(A+리포트)-1
 2  [법학개론] [법학개론]배아줄기세포의 연구에 관한 고찰(A+리포트)-2
 3  [법학개론] [법학개론]배아줄기세포의 연구에 관한 고찰(A+리포트)-3
 4  [법학개론] [법학개론]배아줄기세포의 연구에 관한 고찰(A+리포트)-4
 5  [법학개론] [법학개론]배아줄기세포의 연구에 관한 고찰(A+리포트)-5
 6  [법학개론] [법학개론]배아줄기세포의 연구에 관한 고찰(A+리포트)-6
 7  [법학개론] [법학개론]배아줄기세포의 연구에 관한 고찰(A+리포트)-7
 8  [법학개론] [법학개론]배아줄기세포의 연구에 관한 고찰(A+리포트)-8
 9  [법학개론] [법학개론]배아줄기세포의 연구에 관한 고찰(A+리포트)-9
 10  [법학개론] [법학개론]배아줄기세포의 연구에 관한 고찰(A+리포트)-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법학개론] [법학개론]배아줄기세포의 연구에 관한 고찰(A+리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줄기세포의 정의

Ⅲ. 줄기세포 연구의 역사

Ⅳ. 줄기세포의 수립과정

Ⅴ. 배아줄기세포의 기술

Ⅵ.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중요성

Ⅶ.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문제점

Ⅷ.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문제점

배아줄기세포 (간세포)는 결국 어른세포가 되면서, 심장, 근육, 뇌, 피부, 혈액 등 무려 260여 종류의 세포들로 자라나 우리의 몸을 이루게 된다. 과학자들은 배아줄기세포의 성장을 인위적으로 조정해서 원하는 세포타입으로 성장을 유도하여, 당뇨병이나 뇌질환관련, 심장질환관련, 등등의 치료에 적용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연구를 위해서는 우선 배아줄기세포를 구해야 하는데, 주로 병원에서 인공수정을 시도하다 남은 수정란이나 낙태한 태아를 냉동보관한 뒤 연구자들에게 공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배아줄기세포는 수정이 된 배아가 자라면서 생기는데, 적절한 조건만 유지해주면 얼마든지 분열을 시켜서 미분화된 채로 자라나게 할 수 있다. 우선 나는 이러한 배아줄기세포 연구가 가질 수 있는 문제점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생명은 수정된 시점부터임에도 불구하고, 배아줄기세포 연구자들은 14일 이전의 미성숙 수정란은 생명이 없는 것으로 간주함으로서, 생명윤리의 문제점을 고의적으로 회피하고 있다.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어느 단계부터 생명체로 볼 것인가 하는 점이다. 생물학적으로 보면 생명은 수정이 된 시점부터 개체로서 성장할 모든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생명이 탄생된 것으로 본다. 이는 크리스찬들이 지적하는 바이기도 하다. 하지만 배아줄기세포 연구자들이나 인간복제 연구를 하려는 연구자들은, 수정은 됐지만 14일 이전의 착상이 안된 미성숙-수정란를 사용한다고 함으로서 생명윤리의 문제를 피하고자 한다. 이러한 미성숙 수정란은 인공수정시 사용하다 남은 수정란 (시험관적으로 여러 개의 수정란이 형성되어도 하나만 사용됨으로)도 포함된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일단 수정이 일어나면 한 개체로 성장할 수 있는 모든 유전적 정보를 이미 부모로부터 물려받은것이므로 생명이 탄생된 것으로 봐야지, 14일이 안되어 착상이 일어나지 않은 미성숙-수정란이라고 해서 생명체가 아니고 일종의 조작가능 한 세포집단으로 보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지지하는 연구자들은 배아줄기세포는 개체형성능력이 제한되었다고 하는데, 이 용어의 의미는 생물학적으로 배아간세포는 배아의 외피층을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자궁내막에 착상할 수 없으므로 생명의 한 개체로 보기 힘들다는 것이다.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배아줄기세포를 수정란으로부터 분리해내기 위해선 어느 정도 자란 착상가능한 수정란을 가지고, 그 수정란의 외피층을 벗겨내고, 안에 있는 배아줄기세포를 시험관에 쏟아냄으로서, 배아줄기세포 를 구할 수가 있는데, 일단 외피층을 벗겨내면 다시는 착상이 가능하지 않을 것이므로 분리해낸 배아줄기세포는 더 이상의 생명체로서의 의미가 없는 것으로 보고자 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 김철근,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과학적, 의학적 가능성과 한계, 한국생명윤리학회 봄철 학술대회, 2002.
◇ 세계일보줄기세포 1번 수립: 추락하는 황 교수에 실낱 희망, 2006. 2. 8.
◇ 씨네뉴스, 황우석, 사태 불구 줄기세포 연구는 계속돼야, 2006년 3월 16일자.
◇ 이민철, 줄기세포의 개념 : 배아 줄기세포와 성체 줄기세포, RICH
◇ 한국경제, 황우석 교수 줄기세포 국제 프로젝트 5개국과 추진, 2005. 1. 3.
◇ 한국과학문화재단, 줄기세포 배아복제 이야기, 아침나라
◇ 황우석, 나의 생명 이야기, 효형출판, 2004
하고 싶은 말
본 자료는 신촌 Y대 경영대학 [법학개론]수업 기말과제로 제출하여 A+를 받았던 리포트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목차를 참고하시고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