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

 1  [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1
 2  [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2
 3  [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3
 4  [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4
 5  [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5
 6  [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6
 7  [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7
 8  [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8
 9  [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9
 10  [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10
 11  [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11
 12  [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12
 13  [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13
 14  [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14
 15  [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15
 16  [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16
 17  [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17
 18  [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18
 19  [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19
 20  [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답사보고서] 전라북도 고창, 부안 -신재효고택, 판소리박물관, 고창읍성, 선운사, 내소사, 부안향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고창신재효고택
Ⅱ. 고창판소리박물관
Ⅲ. 고창읍성
Ⅳ. 선운사
Ⅴ. 내소사
Ⅵ. 부안향교

본문내용

Ⅰ. 고창 신재효 고택(高敞申在孝古宅) - 중요민속자료 제39호

1. 소재지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453
2. 신재효(1812∼1884)의 일생과 업적
본관 평산(平山)이며 호는 동리(桐里)·호장(戶長). 본명은 백원(百源)이다. 전북 고창 출생으로 아버지 광흡(光洽)은 경기도 고양 사람으로 한성부에서 직장(直長) 조선 시대에 둔 종칠품 하급 벼슬. 종친부, 상서원 등 30여 개의 중앙 부서에 두었다.
을 지내다가 고창현의 경주인(京主人) 고려·조선 시대에, 중앙과 지방 관아의 연락 사무를 담당하기 위하여 지방 수령이 서울에 파견하던 아전 또는 향리
을 하던 선대의 인연으로 고창에 내려와 관약방(官藥房)을 하여 재산을 모았다. 어머니는 경주 김씨로 절충장군 상려(常礪)의 딸이다. 신재효는 어려서 총명하였고, 또한 효성이 지극하여 그런 이름을 지었다 한다. 어려서 아버지에게 수학하였고, 사십이 넘어서 부근에 살던 대석학과 학문을 의논하였다고 하는데, 그가 누구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그는 고창현의 향리와 서민들과 깊이 사귀었을 뿐만 아니라, 죽은 뒤에 여러 향반(鄕班)들이 만장을 써 보낸 것으로 보아, 신분을 넘어선 폭넓은 교류를 맺었으리라 추정된다. 그는 아버지가 마련한 기반을 바탕으로 35세 이후에 이방이 되었다가 나중에 호장(戶長) 고을 각 관아의 벼슬아치 밑에서 일을 보던 사람의 우두머리.
에 올랐다.
1876년 기민(飢民)을 구제한 공으로 통정대부가 되었으며, 이어 절충장군을 거쳐 가선대부에 승품되고 호조참판으로 중추부동지사를 겸직하였다. 그는 종래 계통없이 불러 오던 광대소리를 통일하여 등 6마당으로 체계를 세우고, 그 대문과 어구를 실감나게 고쳐 독특한 판소리 사설문학을 이룩하였다. 특히 등은 창극화까지 하였으며, 등의 판소리단가와 판소리 가집(歌集)인 등의 작품을 남겼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